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そうですね」에 관한 계량적 실태연구 = A Quantitative Study on the Response Token Soudesu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08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municating information verbally or non-verbally, such as through gaze, facial expressions, and gestures, is called language behavior. The correlation between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was examined by focusing on the head-nodding of speakers when they say “soudesune” (そうですね) using a multimedia corpus, which can be applied in language behavior studies. “Soudesune” can be divided into cases of meaning and functional agreement and cases of disagreement. Research shows that the first case of “soudesune” is accompanied by a high probability of nodding at the time of agreement, while the second case of “soudesune” is accompanied by a very low probability of nodding at the time of disagreemen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speaker is adjusting his/her non-verbal expression (nodding) according to the phrase’s meaning/function, even if the verbal expression is the same. Verbal and non- verbal expressions are shown in relation to each other.
      번역하기

      Communicating information verbally or non-verbally, such as through gaze, facial expressions, and gestures, is called language behavior. The correlation between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was examined by focusing on the head-nodding of speakers...

      Communicating information verbally or non-verbally, such as through gaze, facial expressions, and gestures, is called language behavior. The correlation between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was examined by focusing on the head-nodding of speakers when they say “soudesune” (そうですね) using a multimedia corpus, which can be applied in language behavior studies. “Soudesune” can be divided into cases of meaning and functional agreement and cases of disagreement. Research shows that the first case of “soudesune” is accompanied by a high probability of nodding at the time of agreement, while the second case of “soudesune” is accompanied by a very low probability of nodding at the time of disagreemen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speaker is adjusting his/her non-verbal expression (nodding) according to the phrase’s meaning/function, even if the verbal expression is the same. Verbal and non- verbal expressions are shown in relation to each ot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언어와 시선⋅표정⋅제스처 등 비언어표현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를 언어행동이라고 칭하고, 언어행동연구에 활용 가능한 코퍼스인 멀티미디어 코퍼스를 조사자료로 삼아 「そうですね」 발화시 화자의 고개끄덕임에 주목하여 언어와 비언어표현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そうですね」는 그 의미⋅ 기능상 동의를 나타내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조사⋅ 분석결과 동의를 나타내는 「そうですね」는 발화시 높은 확률로 고개끄덕임이동반되는 반면, 동의를 나타내지 않는 「そうですね」의 경우는 고개끄덕임이 지극히 낮은 확률로 동반된다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이는 동일한 언어표현이라도그 의미⋅기능에 따라 화자는 본인의 비언어표현(고개끄덕임)을 조절하고 있음과, 언어표현과 비언어표현이 상호 무관하지 않게 표출되고 있음을 실증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언어와 시선⋅표정⋅제스처 등 비언어표현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를 언어행동이라고 칭하고, 언어행동연구에 활용 가능한 코퍼스인 멀티미디어 코퍼스를 조사자료로 삼아 「そ...

      언어와 시선⋅표정⋅제스처 등 비언어표현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를 언어행동이라고 칭하고, 언어행동연구에 활용 가능한 코퍼스인 멀티미디어 코퍼스를 조사자료로 삼아 「そうですね」 발화시 화자의 고개끄덕임에 주목하여 언어와 비언어표현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そうですね」는 그 의미⋅ 기능상 동의를 나타내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조사⋅ 분석결과 동의를 나타내는 「そうですね」는 발화시 높은 확률로 고개끄덕임이동반되는 반면, 동의를 나타내지 않는 「そうですね」의 경우는 고개끄덕임이 지극히 낮은 확률로 동반된다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이는 동일한 언어표현이라도그 의미⋅기능에 따라 화자는 본인의 비언어표현(고개끄덕임)을 조절하고 있음과, 언어표현과 비언어표현이 상호 무관하지 않게 표출되고 있음을 실증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영석, "온라인 멀티미디어 코퍼스 구축 -일본 텔레비전 대담방송을 자료로-" 한국일어일문학회 113 : 45-66, 2020

      2 신유리, "담화 전략으로서의 ‘고개끄덕임’과 ‘상체숙이기’: TV 토크쇼 진행자의 행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23 (23): 115-143, 2015

      3 손영석, "계량적 관점에서의 「そうですね」 연구" 46-51, 2021

      4 斉木美紀, "談話分析から見る 「そうですね」" 26 : 45-60, 2008

      5 林四郎, "表現行動のモデル" 92 : 62-74, 1973

      6 蓮沼昭子, "続日本語ワンポイントレッスン" 17 (17): 94-95, 1988

      7 南不二男, "現代日本語の構造" 大修館書店 1974

      8 孫栄奭, "映像KWICによる言語行動の直観的探索-対談番組のマルチメディア⋅コーパスを例に-" 165-170, 2016

      9 임시은, "応答詞「そうですね」について - WH質問への応答を中心に -" 한국일본어학회 (61) : 113-131, 2019

      10 小出慶一, "応答詞 「そうですね」 の機能について" 47 (47): 85-97, 2011

      1 손영석, "온라인 멀티미디어 코퍼스 구축 -일본 텔레비전 대담방송을 자료로-" 한국일어일문학회 113 : 45-66, 2020

      2 신유리, "담화 전략으로서의 ‘고개끄덕임’과 ‘상체숙이기’: TV 토크쇼 진행자의 행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언어학회 23 (23): 115-143, 2015

      3 손영석, "계량적 관점에서의 「そうですね」 연구" 46-51, 2021

      4 斉木美紀, "談話分析から見る 「そうですね」" 26 : 45-60, 2008

      5 林四郎, "表現行動のモデル" 92 : 62-74, 1973

      6 蓮沼昭子, "続日本語ワンポイントレッスン" 17 (17): 94-95, 1988

      7 南不二男, "現代日本語の構造" 大修館書店 1974

      8 孫栄奭, "映像KWICによる言語行動の直観的探索-対談番組のマルチメディア⋅コーパスを例に-" 165-170, 2016

      9 임시은, "応答詞「そうですね」について - WH質問への応答を中心に -" 한국일본어학회 (61) : 113-131, 2019

      10 小出慶一, "応答詞 「そうですね」 の機能について" 47 (47): 85-97, 2011

      11 孫栄奭, "マルチメディア⋅コーパスの構築と活用-表現行動の計量的研究のために-" 22 : 65-90, 2010

      12 石井正彦, "マルチメディア․コーパス言語学" 大阪大学出版部 2013

      13 김은숙, "「そうですね」に関する一考察 -談話機能を中心に-" 한국일본어학회 (35) : 55-71, 2012

      14 Duncan, S, "Some Signals and rules for taking speaking turns in conversations" 23 (23): 283-292, 1972

      15 Kita, S, "Nodding, aizuchi, and final particles in Japanese conversation: How conversation reflects the ideology of communic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39 (39): 1242-1254, 2007

      16 Koture, M, "Nodding and smiling in silence during the loop sequence of backchannels in Japanese conversation" 39 (39): 1275-1289, 2007

      17 Kraut, R, "Listener responsiveness and the coordination of conversation" 43 (43): 718-731, 1982

      18 Maynard, S. K, "Interactional functions of a nonverbal sign-head movement in Japanese dyadic casual conversation" 11 (11): 589-606,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3 0.78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