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근대경찰이 도입된 후, 경찰학이 학문적 위상을 가진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경찰학과 인접 학문분야와의 경계성, 체계화, 정체성 확립 수준은 그리 만족스럽지 않다. 학자들의 학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73220
2010
-
근대경찰 ; 행정경찰 ; 서유견문 ; 대륙법계 경찰 ; 경찰학 ; Modern Police ; Administrative Police ; Soyukyonmun ; Continental Policing System ; Police Science
351
KCI등재
학술저널
374-414(41쪽)
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에 근대경찰이 도입된 후, 경찰학이 학문적 위상을 가진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경찰학과 인접 학문분야와의 경계성, 체계화, 정체성 확립 수준은 그리 만족스럽지 않다. 학자들의 학문...
한국에 근대경찰이 도입된 후, 경찰학이 학문적 위상을 가진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경찰학과 인접 학문분야와의 경계성, 체계화, 정체성 확립 수준은 그리 만족스럽지 않다. 학자들의 학문적 배경에 따라서 경찰제도 및 경찰학을 이해하는 관점에도 많은 차이가 있다. 근대 이후 한국 경찰제도 발전과정은 크게 두 가지 시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근대와 前근대를 구분할 수 있었던 1894년 갑오개혁기에 도입된 프랑스 및 독일을 중심으로 한 대륙법계의 「行政法學的 警察槪念」과 전통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던 때이다. 두 번째는 8.15해방이후 美軍政期를 거치면서 관리적, 생활질서를 기반으로 한 「警察行政學的 警察槪念」을 이념으로 한 영미식 경찰제도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연구자는 평소 경찰학의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고민해왔는데, 두 가지 경찰전통이 혼재된 한국적 특수상황을 이해하게 되었다. 경찰학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들 가운데, 역사적 접근방법에 터 잡아 근대경찰 형성기에 대륙법계 경찰제도와 전통이 일본을 통하여 도입된 과정을 우선적으로 해명해 보고자 하였다. 다양한 사료들을 통하여, 한국의 경찰학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대륙법계 경찰(행정)법학적 전통을 규명하였다. 구한말 근대경찰 형성기를 중심으로 한 警察史 연구가 경찰학의 면모를 확인하고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pared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policing in Korea, the history of Police Science in Korea is relatively short. "Police Administration" was first adopted as an educational course at Dongguk University in the early 1960s. Now, expansion of Police ...
Compared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policing in Korea, the history of Police Science in Korea is relatively short. "Police Administration" was first adopted as an educational course at Dongguk University in the early 1960s. Now, expansion of Police Science is rapidly progressing in Korea as interest in scholarly and practical research in Police Science spreads throughout the country. However, progress is much less satisfactory in systemizing research and establishing the academic identity of Police Science, as well as determining the boundaries with other similar fields of research. Perspectives on Police Science an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in general differ significantly among researchers of different academic backgrounds.
Development of modern policing in Korea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two eras. First was in 1894 during the Gabo(甲午) reforms, when Korea adopted from Japan the concept of policing based on administrative law from the continental legal tradition of France and Germany. During this era, the traditional system of law enforcement in Korea also had been strongly influenced. Another era is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and temporary US military administration after World War Ⅱ, when the concept of policing based on police administration was adopted. This era is marked by strong influence from the Anglo-American criminal justice system, particularly in terms of administration and maintaining public order.
This article attempts to verify the identity of Police Science convoluted by two distinctive influences from the continental tradition and the Anglo-American tradition. Basically, this article takes the historical approach of analysis on police science to clarify the process of how the continental tradition of policing was introduced to Korea from Japan during the era of Gabo reforms. Through analyzing diverse historical data, a clear definition of the continental tradition of police laws is given to help understand Police Science in Korea. By focusing on the introductory stage of modern policing during the pre-colonial period of Korean history, this research attempts to give a clearer picture of the state and identity of Police Science in Kore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http://en.wikipedia.org/wiki/Law_enforce,
2 정일성, "후쿠자와 유키치" 지식산업사 2001
3 박성호, "한국에 있어서 저작권법제의 도입과 전개. in: 저작권법의 이론과 현실-정보공유와 인권을 위한 모색" 현암사 2006
4 서기영, "한국경찰의 역사적 조명. (上)" (10월) : 314-337, 1988
5 이순탁, "최근 세계 일주기" 학민사 1997
6 유길준, "서유견문: 조선지식인 유길준, 서양을 번역하다" 서해문집 2005
7 최종고, "근대사법 100년이 낳은 한국의 법률가像" 길안사 1995
8 이황우, "경찰학의 학문적 발전방향" 한국공안행정학회 (12) : 263-289, 2001
9 이현종, "韓國의 歷史" 대왕사 1986
10 한우근, "韓國通史" 을유문화사 1987
1 http://en.wikipedia.org/wiki/Law_enforce,
2 정일성, "후쿠자와 유키치" 지식산업사 2001
3 박성호, "한국에 있어서 저작권법제의 도입과 전개. in: 저작권법의 이론과 현실-정보공유와 인권을 위한 모색" 현암사 2006
4 서기영, "한국경찰의 역사적 조명. (上)" (10월) : 314-337, 1988
5 이순탁, "최근 세계 일주기" 학민사 1997
6 유길준, "서유견문: 조선지식인 유길준, 서양을 번역하다" 서해문집 2005
7 최종고, "근대사법 100년이 낳은 한국의 법률가像" 길안사 1995
8 이황우, "경찰학의 학문적 발전방향" 한국공안행정학회 (12) : 263-289, 2001
9 이현종, "韓國의 歷史" 대왕사 1986
10 한우근, "韓國通史" 을유문화사 1987
11 이운주, "韓國警察史" 경찰대학 2000
12 한국경찰사편찬위원회, "韓國警察史" 내무부치안국 1972
13 이현희, "韓國警察史" 한국학술정보 2004
14 현규병, "韓國警察制度史" 민주경찰연구회 1955
15 이기백, "韓國史新論" 一潮閣 1990
16 서기영, "近代 韓國警察行政構造에 關한 硏究. in: 문교부 정책과제연구보고서" 1970
17 宮田三郞, "警察法" 信山社 2002
18 이운주, "警察學槪論" 경찰대학교 1999
19 장헌식, "行政法大意. in: 영인본" 아세아문화사 1981
20 후쿠자와 유키치, "福翁自傳. in: 후쿠자와 유키치 자서전" 도서출판 이산 2006
21 후쿠자와 유키치, "福翁自傳. in: 후쿠옹자전" 제이엔씨 2006
22 법무부사편찬위원회, "法務部史" 법무부 1988
23 서기영, "日本警察小考. (氏族時代의 警察에서 明治時代의 警察까지의 그 史料 構築을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법정연구소 5 : 121-142, 1981
24 왕지아펑, "大國崛起" 주크레듀 2008
25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masterno=857460&contentno=857460"
26 "http://www.donga.com/fbin/output?rellink=1&code=c__&n=200901050358"
27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State=2&mTree=0&clsName=&searchType=a&keyword=%EA%B2%BD%EC%B0%B0"
28 "http://seoul600.visitseoul.net/seoul-history/sidaesa/txt/5-3-3-5-1.html"
29 "http://seoul600.visitseoul.net/seoul-history/sidaesa/txt/5-3-1-3-3-12.html"
30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12s3572a"
31 "http://kr.dictionary.search.yahoo.com/search/dictionaryp?p=%EC%88%98%EC%8B%A0%EC%82%AC&subtype=enc&field=id&pk=15148500"
32 "http://en.wikipedia.org/wiki/Police_services_of_the_Empire_of_Japan."
33 "http://bluecabin.com.ne.kr/split99/jhs1163.htm"
34 Vincent J. Hoffman, "Development of Korean Police After World War Ⅱ. in: 한국경찰 60년사의 쟁점과 과제" 31-66, 2005
민간경비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3-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 korean Journal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6 | 0.96 | 0.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92 | 1.084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