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분할투표의 연속성과 변화: 20대 총선을 중심으로 = Continuities and Changes in Split Voting: The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375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s explores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issue positions and strategic logic of split voters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s, using the KPSANational Election Commission’s post-election survey data. First, this analysis reveals that younger voters are more likely to have their votes split between district votes and party list votes, while supporting extant studies findings. Also it was founded that higher education and liberal leaning of voters were also associated with high probability of split voting. Second, this paper analyzed that voters with stronger interest in politics and with higher dissatisfaction with Korean democracy are more likely to have split voting. Third, there is a notable consistency in the logic of voters’ split voting. As they have done in previous elections, voters who have identity with minor parties, tended to use split voting to preserve their party preferences. Also, it was also revealed that when voters have split voting, they were concenred with prospects of coalition-formation among parties.
      번역하기

      This articles explores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issue positions and strategic logic of split voters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s, using the KPSANational Election Commission’s post-election survey data. First, this analysis reveals ...

      This articles explores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issue positions and strategic logic of split voters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s, using the KPSANational Election Commission’s post-election survey data. First, this analysis reveals that younger voters are more likely to have their votes split between district votes and party list votes, while supporting extant studies findings. Also it was founded that higher education and liberal leaning of voters were also associated with high probability of split voting. Second, this paper analyzed that voters with stronger interest in politics and with higher dissatisfaction with Korean democracy are more likely to have split voting. Third, there is a notable consistency in the logic of voters’ split voting. As they have done in previous elections, voters who have identity with minor parties, tended to use split voting to preserve their party preferences. Also, it was also revealed that when voters have split voting, they were concenred with prospects of coalition-formation among par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대 총선에서도 유권자들은 분할투표를 상당한 수준에서 행하였는데, 이 논문은 이러한 분할투표자들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이슈상의 특징, 분할투표의 논리와 배경 등을 한국정치학회-중앙선관위의 선거후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분석결과에 따르자면, 기존연구들이 젊은 유권자들일수록 분할투표를 한다는 점을 밝혀왔지만, 본 논문은 이 같은 연령효과뿐만 아니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성향이 진보적일수록 분할투표를 할 가능성이 높은 것을 밝혀냈다. 둘째, 정치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현재의 민주정치 운영에 대한 불만이 높은, 이른바 명민한 유권자들일수록 분할투표의 가능성을 높다는 것을 우리의 분석결과는 밝혀냈다. 셋째, 분할투표의 논리는 이전 연구결과와 상당한 일관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군소정당에 일체감을 갖는 유권자들은 사표방지 심리에 따라서 분할투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주요정당에 대해 일체감을 갖는 유권자들은 주로 연합형성의 논리에 따라서 분할투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20대 총선에서도 유권자들은 분할투표를 상당한 수준에서 행하였는데, 이 논문은 이러한 분할투표자들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이슈상의 특징, 분할투표의 논리와 배경 등을 한국정치학회-중...

      20대 총선에서도 유권자들은 분할투표를 상당한 수준에서 행하였는데, 이 논문은 이러한 분할투표자들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이슈상의 특징, 분할투표의 논리와 배경 등을 한국정치학회-중앙선관위의 선거후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분석결과에 따르자면, 기존연구들이 젊은 유권자들일수록 분할투표를 한다는 점을 밝혀왔지만, 본 논문은 이 같은 연령효과뿐만 아니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성향이 진보적일수록 분할투표를 할 가능성이 높은 것을 밝혀냈다. 둘째, 정치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현재의 민주정치 운영에 대한 불만이 높은, 이른바 명민한 유권자들일수록 분할투표의 가능성을 높다는 것을 우리의 분석결과는 밝혀냈다. 셋째, 분할투표의 논리는 이전 연구결과와 상당한 일관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군소정당에 일체감을 갖는 유권자들은 사표방지 심리에 따라서 분할투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주요정당에 대해 일체감을 갖는 유권자들은 주로 연합형성의 논리에 따라서 분할투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훈, "혼합형 선거제도의 정치적 효과" 한국정치학회 40 (40): 191-213, 2006

      2 김형철, "혼합형 다수제의 정치적 결과에 대한 분석" 2 (2): 2012

      3 김형철, "혼합식 선거제도로의 변화와 정치적 효과 : 뉴질랜드, 일본, 그리고 한국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205-240, 2007

      4 어수영, "혼합선거제도 도입에 따른 정치적 효과분석" 1 (1): 2011

      5 김영래, "한국의 혼합선거제도와 정당체제의 변화 연구"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4 (24): 171-205, 2009

      6 김영태, "한국의 선거제도Ⅰ"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2002

      7 김왕식, "한국의 선거Ⅴ" 오름 2006

      8 장승진, "제20대 총선의 투표선택 : 회고적 투표와 세 가지 심판론" 한국정치학회 50 (50): 151-169, 2016

      9 박찬욱, "제18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한국유권자들의 분할투표 행태에 관한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8 (18): 1-28, 2009

      10 박찬욱, "제17대 총선에서 2표병립제와 유권자의 분할투표: 선거제도의 미시적 효과 분석" 13 (13): 2004

      1 장훈, "혼합형 선거제도의 정치적 효과" 한국정치학회 40 (40): 191-213, 2006

      2 김형철, "혼합형 다수제의 정치적 결과에 대한 분석" 2 (2): 2012

      3 김형철, "혼합식 선거제도로의 변화와 정치적 효과 : 뉴질랜드, 일본, 그리고 한국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205-240, 2007

      4 어수영, "혼합선거제도 도입에 따른 정치적 효과분석" 1 (1): 2011

      5 김영래, "한국의 혼합선거제도와 정당체제의 변화 연구"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4 (24): 171-205, 2009

      6 김영태, "한국의 선거제도Ⅰ"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2002

      7 김왕식, "한국의 선거Ⅴ" 오름 2006

      8 장승진, "제20대 총선의 투표선택 : 회고적 투표와 세 가지 심판론" 한국정치학회 50 (50): 151-169, 2016

      9 박찬욱, "제18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한국유권자들의 분할투표 행태에 관한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8 (18): 1-28, 2009

      10 박찬욱, "제17대 총선에서 2표병립제와 유권자의 분할투표: 선거제도의 미시적 효과 분석" 13 (13): 2004

      11 이현우, "정당투표제 도입의 정치적 효과" 2004

      12 강명세, "재분배의 정치경제: 권력자원 대 정치제도" 한국정치학회 47 (47): 71-94, 2013

      13 최태욱, "자유주의는 진보적일수 있는가?" 폴리테이아 2011

      14 정준표, "선거제도의 정치적 효과: 제6대~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4 (4): 2005

      15 박연진, "선거방송토론이 후보자 호감도와 지지도 변화에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16 (16): 5-40, 2016

      16 윤종빈, "선거방송TV토론의 현황 연구" 대한정치학회 18 (18): 149-167, 2010

      17 최태욱, "갈등과 제도: 한국형 민주·복지·자본주의 체제를 생각한다" 후마니타스 2011

      18 지병근, "‘제3정당’에 대한 호남 유권자들의 선호와 투표결정 : 호남지역의 정치발전에 대한 함의" 아세아문제연구소 59 (59): 44-78, 2016

      19 Gschwend, Thomas, "Ticket splitting and Strategic Voting Under Mixed Electoral Rules:Evidence from Germany" 46 (46): 1-23, 2007

      20 Klingemann, Hans-Dieter, "Shugart and Wattenberg" Mixed Member Electoral Systems 2003

      21 Shugart Matthew, "Presidents and Assemblies: Constitutional Design and Electoral Engineer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22 Shugart Matthew, "Mixed Member Electoral Systems: Best of Both Worlds?"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3 Norris, Pippa, "Electoral Engineering: Voting Rules and Political Behavi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4 박찬욱, "Effects of a Two-Vote Mixed-Member Majoritarian System on Citizens’Voting Behavior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s" 한국정치학회 43 (43): 93-111, 2009

      25 조진만, "1인 2표 병립제의 도입과 유권자의 투표행태:일관투표와 분할투표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정치학회 40 (40): 71-90, 2006

      26 강명세, "19대 총선과 한국정당체계의 변화" 2012

      27 조진만, "17대 총선에 나타난 정당투표 결정요인" 한국정치정보학회 9 (9): 203-221,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 2.3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2 1.982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