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송곳니>: 상징적 거세의 우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87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언어에 초점을 두고 <송곳니>를 분석하는 것이다. <송곳니>는 아버지의 독재와 자식들의 저항보다는 근본적으로 언어의 문제를 다루고 있...

      본 논문의 목적은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언어에 초점을 두고 <송곳니>를 분석하는 것이다. <송곳니>는 아버지의 독재와 자식들의 저항보다는 근본적으로 언어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영화다. 영화에서는 담장을 경계로 두 개의 서로 다른 세계로 나누어져 있다. 그것을 나누는 기준은 이름이다. 담장 안에서 생활하는 가족 구성원들은 모두 이름이 없다. 아버지만 이름을 가지고 바깥세상과 집을 왔다 갔다 한다. 아들의 섹스 파트너 역할을 하기 위해 담장 밖에서 집으로 들어오는 크리스티나도 자기 고유의 이름이 있기에 일을 끝낸 후에는 담장 밖으로 나갈 수 있다. 이것은 이름을 가진 자만이 담장 안과 밖의 세상을 오고 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이 태어나자마자 최초로 갖는 것이 이름이고, 이름이라는 최초의 시니피앙을 가지는 것은 그 인간이 상징계로 진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징계로 진입한다는 것은 상징계의 특징인 차이와 결핍을 받아들인다는 말과 같다. 이름을 가지면 나와 너의 차이가 생긴다. 그런데 가족은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개와 사람 간에 차이가 없어지고 개와 사람이 같은 것이 된다. 그래서 모두 집을 지키는 개가 된다. 담장 안의 세상에서는 잔인하고 공격적이고 난폭한 행동이 난무하고 근친상간이 행해진다. 또 유아적 놀이와 물물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런 점에서 담장 안은 상상계이고 담장 밖은 상징계이며, 담장 밖에서 넘어 오는 고양이나 차에 묻어오는 흙은 상징계로부터 떨어져 나간 찌꺼기, 즉 실재계로 볼 수 있다. 큰딸은 ‘브루스’라는 이름을 스스로 가지게 된 후에는 상징계에 진입하게 된다. 큰딸은 상징계의 주요 특징인 차이를 받아들임으로써 옳고 그름을 인식하게 된다. 또 상징계의 결핍을 받아들임으로써 자신의 송곳니를 아령으로 제거하고 담장 밖의 세상으로 탈출을 감행한다. 큰딸이 송곳니를 빼는 행위는 상징계로 들어가기 위한 결핍을 만드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Dogtooth> with focusing on language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The film <Dogtooth> fundamentally deals with the theme of language, rather than the dictatorship of the father and the resi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Dogtooth> with focusing on language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The film <Dogtooth> fundamentally deals with the theme of language, rather than the dictatorship of the father and the resistance of his children. In the film, there are two worlds separated by the fence. The criterion for dividing them is the name. All family members living in the fence have no name except father. Only father who has his name goes back and forth between the house and the outside world. Christina who lives out of the fence enters the house to act as his son’s sex partner. She can go out of the fence after she finishes her job because she has her own name. It means only those who have name are permitted to come and go in and out of the fence. When a human is born, he gets his name at the very beginning. Having a name is having the first signifiant. It means he has entered the Symbolic. Entering the Symbolic means accepting the difference and lack that are characteristics of the Symbolic. Having a name makes a difference between you and me. All family members except father have no names, so they are not different from dogs. They become the same things as dogs. So everyone becomes a dog that keeps the house. Everyone acts like a dog. In the world inside the fence, cruel, aggressive and violent acts are rampant and incestuous sexual acts occur frequently. In addition, infantile plays and barters are carried out. In this regard, the house in the fence is the Imaginary, the outside world of the fence is the Symbolic. The cat and dirts on the car coming in the house from the outside of the fence can be regarded as the Real, the residue that has been removed from the Symbolic. The eldest daughter enters the Symbolic after she has the name ‘Bruce’ herself. She recognizes what is wrong and right by accepting the difference which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the Symbolic. By accepting the lack of the Symbolic, she removes her dogtooth with a dumbbell and tries to escape to the world outside the fence. The act of her pulling out her dogtooth is to create a lack to enter the Symbol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서론
      • 2. 담장과 이름
      • 3. 담장 안의 세상
      • 4. 큰딸, 브루스, 그리고 송곳니
      • 국문요약
      • 1. 서론
      • 2. 담장과 이름
      • 3. 담장 안의 세상
      • 4. 큰딸, 브루스, 그리고 송곳니
      • 5. 형과 고양이
      • 6.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쉬르,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13

      2 "요르고스 란티모스, <송곳니, Dogtooth> 2009"

      3 홍준기, "에크리(Ecrits)" 새물결 2019

      4 임진수, "소원,욕망,사랑" 파워북 2015

      5 임진수, "상징계-실재계-상상계" 파워북 2012

      6 김인순, "꿈의 해석" 열린책들 1997

      7 김지호, "‘되기’로서의 영화-<송곳니>와 <더 랍스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8

      1 소쉬르,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13

      2 "요르고스 란티모스, <송곳니, Dogtooth> 2009"

      3 홍준기, "에크리(Ecrits)" 새물결 2019

      4 임진수, "소원,욕망,사랑" 파워북 2015

      5 임진수, "상징계-실재계-상상계" 파워북 2012

      6 김인순, "꿈의 해석" 열린책들 1997

      7 김지호, "‘되기’로서의 영화-<송곳니>와 <더 랍스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9-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Film Studies Association Of Korea (Fisak) -> Korean Cinema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4-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영화연구
      외국어명 : Film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1.05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