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과에 대한 개입(intervention) 이론의 문제와 최적합 모형 = The problem with the intervention theory of causation and the fittest model of causal stru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19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학제 간에 융합하는 최근 연구의 흐름을 대표하는 인과에 대한 이론이 개입(intervention) 인과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원인으로서 요인, 변수, 사건에 대한 개입(변화, 조종)은 결과로서 요인, 변수, 사건에 대한 개입(변화, 조종)이 된다. 개입 인과 이론은 조종 인과 이론에 대한 비판들에 대응하면서 발전된 조종 인과 이론이다. 특별히 개입에 대한 조건들이 구체화되면서 개입 인과 이론은 논리적 엄밀함을 갖춘 이론으로 발전되었다. 또한 개입 인과 이론은 인과 구조 모형 이론의 개념적 토대로서 그 의미와 역할이 크게 부각되었다. 이 글에서 필자는 개입 인과 이론이 인과 구조를 해명하는 데에 유의미한 이론이 될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첫째, 조종 인과 이론의 특성과 이에 따른 문제들을 소개하고 논의하겠다. 둘째, 조종으로서 인과를 개입 개념으로 해명하는 개입 인과 이론을 소개하고 그 이론의 한계에 주목한다. 셋째, 개입 인과 이론에 대한 반례와 그 반례에 대한 논쟁을 검토한다. 넷째, 그 논쟁을 평가하고 개입 인과 이론과 인과에 대한 확률 이론을 비교하여 개입 인과 이론에 무엇이 필요한지를 밝힌다.
      번역하기

      학제 간에 융합하는 최근 연구의 흐름을 대표하는 인과에 대한 이론이 개입(intervention) 인과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원인으로서 요인, 변수, 사건에 대한 개입(변화, 조종)은 결과로서 ...

      학제 간에 융합하는 최근 연구의 흐름을 대표하는 인과에 대한 이론이 개입(intervention) 인과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원인으로서 요인, 변수, 사건에 대한 개입(변화, 조종)은 결과로서 요인, 변수, 사건에 대한 개입(변화, 조종)이 된다. 개입 인과 이론은 조종 인과 이론에 대한 비판들에 대응하면서 발전된 조종 인과 이론이다. 특별히 개입에 대한 조건들이 구체화되면서 개입 인과 이론은 논리적 엄밀함을 갖춘 이론으로 발전되었다. 또한 개입 인과 이론은 인과 구조 모형 이론의 개념적 토대로서 그 의미와 역할이 크게 부각되었다. 이 글에서 필자는 개입 인과 이론이 인과 구조를 해명하는 데에 유의미한 이론이 될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첫째, 조종 인과 이론의 특성과 이에 따른 문제들을 소개하고 논의하겠다. 둘째, 조종으로서 인과를 개입 개념으로 해명하는 개입 인과 이론을 소개하고 그 이론의 한계에 주목한다. 셋째, 개입 인과 이론에 대한 반례와 그 반례에 대한 논쟁을 검토한다. 넷째, 그 논쟁을 평가하고 개입 인과 이론과 인과에 대한 확률 이론을 비교하여 개입 인과 이론에 무엇이 필요한지를 밝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tervention theory of causation is aligned with the recent interests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The intervention theory has been articulated from manipulation theories of causation.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theories, manipulating a causal factor, variable or event is followed by manipulating an effect factor, variable or event. Several criticisms have arisen of the manipulation theories. The manipulation theories have been articulated rigorously against those criticism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manipulation has been explicated in terms of intervention. The noticeable recent theories of causal modeling are founded on the concept of causality as intervention.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the recently articulated intervention theory of causation while noticing the problems with it and the previous causal theories of manipulation. I show that the intervention theory is merely a disguised theory of instrumental variables while noticing that the probabilistic theory of causation is logically more rigorous and more parsimonious than the intervention theory. I conclude that the intervention theory is replaceable with the probabilistic theory of causation.
      번역하기

      The intervention theory of causation is aligned with the recent interests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The intervention theory has been articulated from manipulation theories of causation.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theories, manipulating a causal...

      The intervention theory of causation is aligned with the recent interests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The intervention theory has been articulated from manipulation theories of causation.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theories, manipulating a causal factor, variable or event is followed by manipulating an effect factor, variable or event. Several criticisms have arisen of the manipulation theories. The manipulation theories have been articulated rigorously against those criticism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manipulation has been explicated in terms of intervention. The noticeable recent theories of causal modeling are founded on the concept of causality as intervention.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the recently articulated intervention theory of causation while noticing the problems with it and the previous causal theories of manipulation. I show that the intervention theory is merely a disguised theory of instrumental variables while noticing that the probabilistic theory of causation is logically more rigorous and more parsimonious than the intervention theory. I conclude that the intervention theory is replaceable with the probabilistic theory of caus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P. Menzies, 44 (44): 157-176, 1993

      2 M. Strevens, 77 (77): 171-192, 2008

      3 M. Strevens, 74 (74): 233-249, 2007

      4 G. Statham, 175 (175): 902-, 2018

      5 J. Reiss, 72 (72): 964-976, 2005

      6 J. Kim, 47 (47): 1225-1236, 2013

      7 C. McCain, 6 (6): 61-73, 2015

      8 T. Cook, "Quasi-Experimentation: Design and Analysis Issues for Field Settings" Houghton Mifflin 1979

      9 E. Eells, "Probabilistic Caus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0 J. Woodward, "Making Things Happen: A Theory of Causal Explan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 P. Menzies, 44 (44): 157-176, 1993

      2 M. Strevens, 77 (77): 171-192, 2008

      3 M. Strevens, 74 (74): 233-249, 2007

      4 G. Statham, 175 (175): 902-, 2018

      5 J. Reiss, 72 (72): 964-976, 2005

      6 J. Kim, 47 (47): 1225-1236, 2013

      7 C. McCain, 6 (6): 61-73, 2015

      8 T. Cook, "Quasi-Experimentation: Design and Analysis Issues for Field Settings" Houghton Mifflin 1979

      9 E. Eells, "Probabilistic Caus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0 J. Woodward, "Making Things Happen: A Theory of Causal Explan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1 J. Pearl, "Causality: models, reasoning, and infer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2 D. Hausman, "Causal Asymmet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