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조명암의 가요시에 나타난 양가성 연구 = A Study on 'Ambivalence' appearing in the Ga-Yo poems by Myeong-Am Ch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35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yeong-Am Cho‘s Ga-Yo poem shows the colonial people's reality and life which was oppressed by Japanese Imperialism. Also the Ga-Yo poem consoled their pain and captured sense of loss of life and reality. It made people to live conformable by intern...

      Myeong-Am Cho‘s Ga-Yo poem shows the colonial people's reality and life which was oppressed by Japanese Imperialism. Also the Ga-Yo poem consoled their pain and captured sense of loss of life and reality. It made people to live conformable by internalizing their public sentiment, and to assimilate with Japanese imperialism policies. World of pleasure and enjoyment which was seperated from the contemporary reality concealed national consciousness and produced fictional desire. However his Ga-Yo poem not only assimilate with Japanese Imperialism but also showed the appearance of 'poetic subject(Poetic I)' that dissimilates and resists to them. At the late colonial period, Cho's Ga-Yo poem had a tendency of pro-Japanese which cooperated with pioneering of Manchuria.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Ga-Yo of militarization which encouraged to participate and sacrifice in war emerged in earnest. However, at the same time, he published many literary works which inspired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soled despair of colonist. This compositive characteristics that contains colonialism and nationalism made his literary works difficult to dichotomize pro-Japanese or anti-Japane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명암의 가요시는 일제의 억압 아래 놓여 있던 식민지인의 현실과 삶을 담아내고 그들의 고통과 상실감을 위로하는 측면이 컸다. 이것은 감상성을 내면화시켜 대중의 정서를 체제순응적인...

      조명암의 가요시는 일제의 억압 아래 놓여 있던 식민지인의 현실과 삶을 담아내고 그들의 고통과 상실감을 위로하는 측면이 컸다. 이것은 감상성을 내면화시켜 대중의 정서를 체제순응적인 방향으로 조작하고 일제의 정책에 동화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또한 당대와 유리된 흥과 향락의 세계는 민족정서를 은폐하고 허구적 욕망을 양산하는 작용을 하였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그의 가요시가 일제에 동화하는 가운데서도 때로 이화하고 저항하려는 시적 주체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는 점이다.
      일제말기 조명암의 가요시에는 만주개척에 협조하는 친일적 경향이 나타난다. 또한 태평양전쟁 발발 후에는 전쟁 참여와 희생을 독려하는 군국가요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된다. 그러나 같은 시기 그는 식민지인의 절망을 위로하고 민족성을 고취시키는 상당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있었다. 식민주의와 민족주의가 공존하는 이러한 복합적인 성격은 그의 작품을 친일 혹은 반일이라는 단순한 시각으로 재단할 수 없게 만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미, "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 황금가지 2002

      2 김재용, "협력과 저항" 소명출판사 2004

      3 김정자, "현대문학과 양가성" 태학사 1999

      4 강현두, "현대 대중문화의 형성"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5 노동은, "한국민족음악 현단계" 세광출판사 1989

      6 조지훈, "한국문화사서설" 나남출판 1997

      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권" 지식산업사 1994

      8 박찬호, "한국가요사" 현암사 1992

      9 이노형, "한국 전통 대중가요의 연구" 울산대학교출판부 1994

      10 백낙청, "한국 문학의 현단계 Ⅲ" 창작과 비평사 1987

      1 이영미, "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 황금가지 2002

      2 김재용, "협력과 저항" 소명출판사 2004

      3 김정자, "현대문학과 양가성" 태학사 1999

      4 강현두, "현대 대중문화의 형성"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5 노동은, "한국민족음악 현단계" 세광출판사 1989

      6 조지훈, "한국문화사서설" 나남출판 1997

      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권" 지식산업사 1994

      8 박찬호, "한국가요사" 현암사 1992

      9 이노형, "한국 전통 대중가요의 연구" 울산대학교출판부 1994

      10 백낙청, "한국 문학의 현단계 Ⅲ" 창작과 비평사 1987

      11 이영미, "한국 대중가요사" 시공사 1998

      12 문옥배, "한국 금지곡의 사회사" 예솔출판사 2004

      13 李魯亨, "한국 근대 대중가요의 역사적 전개 과정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14 李孝德, "표상공간의 근대" 소명출판 2007

      15 고모리 요이치, "포스트콜로니얼" 삼인 2002

      16 손민정, "트로트의 정치학" 음악세계 2009

      17 나병철, "탈식민주의와 근대문학" 문예출판사 2004

      18 고부응, "탈식민주의: 이론과 쟁점" 문학과지성사 2003

      19 바트무어-길버트, "탈식민주의! 저항에서 유희로" 한길사 2003

      20 하정일, "탈식민의 미학" 소명출판 2008

      21 김재용, "친일문학의 내적 논리" 역락 2003

      22 이동순, "조명암시전집" 도서출판 선 2003

      23 서영희, "조명암 시 연구 : 모더니즘적 특성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8

      24 와타나베 나오키, "전쟁하는 신민, 식민지의 국민문화" 소명출판 2010

      25 노동은, "일제하 친일음반과 대중가요계" 6 : 5-22, 1996

      26 이준희, "일제시대 군국가요(軍國歌謠)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6) : 139-161, 2009

      27 김윤식, "일제말기 한국 작가의 글쓰기론" 서울대출판부 2003

      28 최유리, "일제말기 식민지 지배정책 연구" 국학자료원 1997

      29 장유정, "일제강점기 한국 대중가요 연구 : 유성기 음반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0 김효정, "일제강점기 조명암의 대중가요 가사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0

      31 최동현, "일제강점기 유성기 음반 속의 대중희극" 태학사 1997

      32 서영희, "일제강점기 박영호의 대중가요 가사 작품 연구" 민족문화연구소 (33) : 227-252, 2006

      33 김점도, "유성기음반총람자료집" 신나라뮤직 2000

      34 "유성기 음반 실물자료"

      35 권보드레, "연애의 시대" 현실문화연구 2003

      36 장유정, "안서 김억의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나는 민요적 특성 고찰" 35 : 249-288, 2005

      37 이준희, "식민지 조선 유행가의 일본어 가사" 한국시가학회 30 : 99-126, 2011

      38 윤대석, "식민지 국민 문학론" 역락 2006

      39 김재용, "식민주의와 협력" 역락 2003

      40 노혜경, "식민주의와 비협력의 저항" 역락 2003

      41 송승석, "식민주의, 저항에서 협력으로" 역락 2006

      42 조동일, "시인의식론(11), 유행가 시인과 비애라는 상품" 청맥 1965

      43 김진송, "서울에 딴스홀을 許하라" 현실문화연구 1999

      44 베네딕트 앤더슨, "상상의 공동체" 나남출판 2006

      45 김창남, "삶의 문화, 희망의 노래" 한울 1991

      46 소래섭, "불온한 경성은 명랑하라" 웅진지식하우스 2011

      47 노동은, "민족음악론" 한길사 1991

      48 이동순, "민족시의 정신사" 창작과 비평사 1996

      49 호미 바바,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2005

      50 김성곤, "문화와 제국주의" 도서출판 창 1995

      51 존 톰린슨, "문화 제국주의" 나남출판 1994

      52 차승기, "문학 속의 파시즘" 삼인 2001

      53 신명직, "모던이 경성을 거닐다" 현실문화연구 2003

      54 박성봉, "대중예술의 이론들" 동연 2000

      55 박성봉, "대중예술의 미학" 동연출판사 1995

      56 백선기,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지케이션북스 2004

      57 장유정, "대중가요 작사가 금능인(金陵人)의 생애와 작품 세계" 한국민요학회 32 : 171-201, 2011

      58 김창남, "노래" 실천문학사 1984

      59 강만길, "고쳐 쓴 한국근대사" 창작과비평사 1994

      60 윤영천, "韓國의 流民詩" 실천문학사 1987

      61 柳善榮, "韓國 大衆文化의 近代的 構成過程에 對한 硏究 : 朝鮮後期에서 日帝時代까지를 中心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3

      62 미쯔다 세쯔코, "朝鮮民衆과 皇民化政策" 일조각 1997

      63 고미숙, "20세기 초 잡가의 양식적 특질과 시대적 의미" 88 : 115-139, 1995

      64 최은숙, "20세기 전반기 대중가요 담론의 쟁점과 의의" 한국민요학회 21 : 275-306, 2007

      65 장유정, "20세기 전반기 기생 소재(素材) 대중가요의 노랫말 분석"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5) : 89-117, 2005

      66 박애경, "1940년대 군국가요에 나타난 젠더 이미지와 젠더 정치" 민족문화연구소 (35) : 133-158, 2007

      67 고미숙, "18세기에서 20세기 초 한국 시가사의 구도" 소명 1998

      68 고미숙, "18세기에서 20세기 초 한국 시가사의 구도" 소명출판사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