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新羅 花郞徒 敎育의 硏究 成果와 課題 = A Review of the History of Research on Hwarangdo Education in Silla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278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iew on the whole the history of research dealing with Hwarangdo(花郞徒) education in Silla(新羅) period and to propose the future research vision for that subject.
      The research of Hwarangdo education is of great significance not only for examining the representative education style of Silla period but also for searching the typical education mode native to Korea since Gochosun(古朝鮮) period. And to satisfy these two research interest simultaneously, it is needed to investigate deeply the historic origin of Hwarangdo education. But most established researches of Hwarangdo education have not satisfied enough this need, and not explained systemat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Hwarangdo education in concern with the problems of historic origin. The understandings of the historic origin of Hwanrangdo education are very diverse: shamanism(Musok), young boys group since Samhan(三韓) period, high grade religion or thoughts native to Korea, chinese religion or thoughts, political condition of Silla period, and so forth. I think that, among these several viewpoints, the theory of "high grade religion or thoughts native to Korea" is the most persuasive as the view of historic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Hwarangdo education.
      To make clear deeply the entity of Hwarangdo education, we should comprehend seriously the issues of the origin in the future research. Furthermore, the research of Hwarangdo education sh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research of the native typical education mode in ancient Korea.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review on the whole the history of research dealing with Hwarangdo(花郞徒) education in Silla(新羅) period and to propose the future research vision for that subject. The research of Hwarangdo education is of great significanc...

      This study aims to review on the whole the history of research dealing with Hwarangdo(花郞徒) education in Silla(新羅) period and to propose the future research vision for that subject.
      The research of Hwarangdo education is of great significance not only for examining the representative education style of Silla period but also for searching the typical education mode native to Korea since Gochosun(古朝鮮) period. And to satisfy these two research interest simultaneously, it is needed to investigate deeply the historic origin of Hwarangdo education. But most established researches of Hwarangdo education have not satisfied enough this need, and not explained systemat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Hwarangdo education in concern with the problems of historic origin. The understandings of the historic origin of Hwanrangdo education are very diverse: shamanism(Musok), young boys group since Samhan(三韓) period, high grade religion or thoughts native to Korea, chinese religion or thoughts, political condition of Silla period, and so forth. I think that, among these several viewpoints, the theory of "high grade religion or thoughts native to Korea" is the most persuasive as the view of historic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Hwarangdo education.
      To make clear deeply the entity of Hwarangdo education, we should comprehend seriously the issues of the origin in the future research. Furthermore, the research of Hwarangdo education sh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research of the native typical education mode in ancient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鍾殷 譯注" 普成文化社 1977-,

      2 "郎家사상의 연원과 본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논문" 1984

      3 "화랑이 갖는 사상사적 의미" 정신문화연구원 38 : 1990

      4 "화랑의 종교문화" 문덕사 1995

      5 "화랑의 문예사상" 문덕사 1995

      6 "화랑에 대한 연구사 검토-초기부터 1986년까지를 중심으로"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1995

      7 "화랑세기를 중심으로 본 신라 天神敎와 神仙合一組織 사상에서 형성한 화랑도 조직의 창설과정" 경주문화연구원 향토문화연구소 4 : 2001

      8 "화랑세기 所載 향가와 풍월도적 패러다임"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36 : 2000

      9 "화랑도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 19 : 1985

      10 "화랑도의 교육 성년식과 화랑도" 박영사 1983

      1 "李鍾殷 譯注" 普成文化社 1977-,

      2 "郎家사상의 연원과 본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논문" 1984

      3 "화랑이 갖는 사상사적 의미" 정신문화연구원 38 : 1990

      4 "화랑의 종교문화" 문덕사 1995

      5 "화랑의 문예사상" 문덕사 1995

      6 "화랑에 대한 연구사 검토-초기부터 1986년까지를 중심으로"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1995

      7 "화랑세기를 중심으로 본 신라 天神敎와 神仙合一組織 사상에서 형성한 화랑도 조직의 창설과정" 경주문화연구원 향토문화연구소 4 : 2001

      8 "화랑세기 所載 향가와 풍월도적 패러다임"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36 : 2000

      9 "화랑도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 19 : 1985

      10 "화랑도의 교육 성년식과 화랑도" 박영사 1983

      11 "화랑도에 관한 교육학적 고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1992

      12 "화랑도 교육의 특징과 이념" 집문당 1987

      13 "화랑도 교육" 을유문화사 1946

      14 "화랑도 교육" 고려원 1985

      15 "화랑과 신라의 정치사회-군사적 역할을 중심으로 화랑 문화의 재조명" 1989

      16 "필사본 화랑세기와 향가의 새로운 이해" 성곡학술문화재단 27 (27): 1996

      17 "풍류도와 한국의 종교사상" 연세대출판부 1997

      18 "팔관회와 풍류도" 한국도교학회 13 : 1994

      19 "의 史料的 評價" 1617합 : 1991

      20 "의 史料的 價値-최근 발견된 筆寫本에 대한 검토- 정신문화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21 "우리 음악의 멋 풍류도" 책세상 2003

      22 "영남대교양문고 1" 형설출판사 1978

      23 "신라화랑도 교육의 교육사적 가치" 대한교육협의회 9-7, 1957

      24 "신라의 소년군단 화랑제도" 을유문화사 1948

      25 "신라의 교육 화랑도의 교육 중앙교육연구소" 1956

      26 "신라사회와 화랑도-신분제사회에서의 청소년운동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984;1997

      27 "신라 화랑의 생활사 연구- 人才로의 登用을 중심으로" 문덕사 1995

      28 "신라 화랑도의 공간" 문음사 1996

      29 "신라 화랑도 연구의 現段階" 1994;1997

      30 "신라 미륵신앙의 사상적 특성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1993

      31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87

      32 "삼국시대의 원시사회론적 시각에 대한 재검토" 1991

      33 "삼국시대의 예속과 유교사상" 67합 : 1975

      34 "삼국시대 사회와 仙道의 연구" 한국사학회 40 : 1989

      35 "삼국시대 미륵신앙연구" 1994

      36 "삼국시대 道敎의 연구" 국사편찬위원회 21 : 1991

      37 "살아있는 한국사 1" 118-137, 2003

      38 "를 통하여 본 新羅 花郞徒의 起源과 設置" 문덕사 1995

      39 "낭가사상과 교육: 화랑도 한국교육사상의 전개와 발전" 2002

      40 "고대 한국의 국가와 제사" 1994

      41 "高麗時代의 花郞認識 화랑문화의 재조명" 1989

      42 "高麗時代 花郞의 변형과 사회적 기능" 문덕사 1995

      43 "高麗時代 花郞의 변형과 사회적 기능" ^문덕사 1995

      44 "高句麗의 堂-韓國古代國家에 있어서의 未成年集會의 一遺制" 역사학회 6 : 1967

      45 "風流道와 神仙思想 도교학연구" 한국도교학회 1988

      46 "風流精神과 新羅文化" 1960

      47 "韓國道敎의 史的 硏究" 한국도교학회 7 : 1991

      48 "韓國古代社會의 이른바 成年式 問題" 1993년가을호

      49 "鄕歌를 통해 본 화랑사상연구-특히 仙 사상을 중심으로-" 7 : 1977

      50 "花郞의 詩歌" 10 : 1991

      51 "花郞의 社會史的 意義"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0 : 1989

      52 "花郞들의 彌勒信仰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鄕歌와 半跏思惟像의 解釋學的 提言" 동국대신라문화연구소 7 : 1986

      53 "花郞과 風流精神" 문덕사 1995

      54 "花郞과 通過儀禮 화랑 문화의 재조명" 1989

      55 "花郞과 儒家의 美 화랑문화의 재조명" 1989

      56 "花郞集團의 敎育制度와 그 실제에 관한 고찰" 부산교육대학 1-2 : 1962

      57 "花郞關係 用語의 檢討-中國의 神仙思想과 관계성을 중심으로" 문덕사 1995

      58 "花郞道의 宗敎的 性格과 仙佛儒와의 관계" 제주대 1985

      59 "花郞道의 外來 仙佛儒 三敎 受容說 비판" 국문윤리학회 21 : 1985

      60 "花郞道와 神仙思想" 동국대신라문화연구소 10 : 1989

      61 "花郞道와 佛敎思想" 동국대 동국사상연구회 7 : 1974

      62 "花郞道와 世俗五戒" 정신문화연구원 38 : 1990

      63 "花郞道創設에 對한 小考" 동국대 동국사상연구회 1 : 1958

      64 "花郞道 敎育思想에 關한 一硏究" 공주교육대학 14-2 : 1978

      65 "花郞徒의 敎育的 價値" 경북대학교 4 : 1960

      66 "花郞徒의 全盛과 武士道의 發揚"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987

      67 "花郞徒에 나타난 전통사회의 교육적 인간상" 원광대 교육문제연구소 14 : 1995

      68 "花郞徒 創設에 대한 小考-佛敎産物로 본 花郞徒考證의 序說-" 동국대 동국사상연구회 1 : 1958

      69 "花郞制度와 그 歷史的 意義" 성진문화사 4 : 1973

      70 "花郞像의 變遷에 관한 覺書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988;1997

      71 "花郞五戒의 思想背景考" 고려대아세아문제연구소 14-4 : 1971

      72 "筆寫本 花郞世紀의 史料的 檢討" 역사학회 123 : 1989

      73 "筆寫本 花郞世紀의 史料的 價値" 147-, 1995

      74 "硏究序說-사서로서의 신빙성 확인을 중심으로" 역사학회 46 : 1995

      75 "新羅의 風流道와 道敎" 한국도교학회 6 : 1990

      76 "新羅의 調和精神과 三敎會通" 문덕사 1995

      77 "新羅의 花郞에 대한 新考察" 최재석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1

      78 "新羅의 花郞과 花郞集團"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8 : 1987

      79 "新羅의 花郞과 彌勒信仰의 關係에 대한 연구-半跏思惟像을 중심으로" 수선사학회 3 : 1978

      80 "新羅의 花郞敎育 小考" 대구교육대학 14 : 1979

      81 "新羅花郞의 純美=斯多含" 일조각 1 : 1979

      82 "新羅花郞의 硏究" 문당 : 1943;이원호역1995

      83 "新羅花郞敎育의 硏究" 한국교육학회 2 : 1964

      84 "新羅花郞徒의 起源과 展開過程" 정신문화연구원 13-1 : 1990

      85 "新羅花郞徒와 그 文學世界의 探究" 부산대학교

      86 "新羅花郞制度의 硏究" 10 1-12 3, 1935~1936

      87 "新羅花郞制度의 意義 보고사" 6-1, 1937;1990

      88 "新羅花郞の源流とその發展" 45-10~12 : 1934

      89 "新羅社會의 年齡體系와 花郞制度" 한국문화인류학회 17 : 1985

      90 "新羅社會와 花郞徒의 歷史的 展開"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1995

      91 "新羅の寄俗花郞制度に就いて" 25-1~27-5 : 1930-31

      92 "新羅 花郞遺蹟과 花郞道思想" 1995

      93 "新羅 花郞徒의 起源에 대한 一考察" 역사학회 69 : 1976

      94 "新羅 花郞徒의 編成과 組織變遷 화랑문화의 재조명" 1989

      95 "新羅 花郞徒의 社會學的 考察 新羅骨品制 社會와 花郞徒" 역사학회 1979;1984

      96 "新羅 花郞徒의 敎政團體的 性格과 그 社會的 意義" 효성여대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 : 1986

      97 "新羅 花郞制 成立의 政治史的 意義" 문덕사 1995

      98 "新羅 花郞制 成立과 人材選拔" 동국대신라문화연구소 19 : 1998

      99 "新羅 眞興大王의 信佛과 그 思想 硏究"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5 : 1967

      100 "新羅 世俗五戒의 國家觀" 1966

      101 "新羅 下代의 花郞勢力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994

      102 "斯多含 風月主의 화랑조직경력" 경주문화연구원 5 : 1999

      103 "憲康대왕의 깨달음의 종교로서의 풍류도 화랑도조직의 종교의 본질" 2000

      104 "彌勒信仰과 花郞思想" 정신문화연구원 38 : 1990

      105 "壬申誓記石에 대하여" 박영사 1976

      106 "壬申誓記石에 관한 고찰-花郞의 ‘天’ 및 ‘國家’觀" 1982

      107 "圓光과 그의 사상" 1978

      108 "古代南堂考-原始集會所와 南堂-" 박영사 1976

      109 "儒敎 受容의 初期形態 新羅時代의 國家佛敎와 儒敎 한국연구원" 1973;1978

      110 "佛敎的 治國의 史的 實際"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10 : 1973

      111 "仙徒神母가 화랑도조직의 기원이라는 변증" 위덕대학교신라학연구소 : 1998

      112 "仙人 說話로 본 韓國 固有의 仙家에 대한 연구" 한국도교사상연구회 편 1978

      113 "三國時代 佛敎 受容과 그 社會的 意義 新羅時代의 國家佛敎와 儒敎" 1954;1978

      114 ""삼국유사"에 있어서 신라의 화랑(국선)도 정신과교육" 20 : 2002

      115 ""삼국사기"에 있어서 신라의 화랑도, 그 정신과 교육" 19 :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Of Histor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57 1.215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