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지선, "출산장려를 위한 조세제도의 개편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회계학회 12 (12): 137-168, 2007
2 유경준, "최저임금의 쟁점논의와 정책방향" KDI 11-, 2013
3 김재진, "주요국의 자영업자에 대한 근로장려세제 적용기준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111-113, 2012
4 장기용, "조세정책(EITC)을 통한 근로유인 제고방안" 5 (5): 187-210, 2005
5 전영준, "저소득 근로자 지원정책의 실효성 분석 - 실업보험, EITC, 최저임금제, 기초생활보장제도 상호 비교 -" 한국재정학회 4 (4): 1-46, 2011
6 정유석, "자녀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의 형태와 여성 경제활동 및 출산율 제고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국제회계학회 (42) : 161-180, 2012
7 정기현, "우리나라 근로장려세제의 현황 및 정책과제" 한국조세연구포럼 9 (9): 92-133, 2009
8 임봉욱, "성공적 EITC 도입을 위한 제언:미국의 EITC를 참고로" 한국재정학회 21 (21): 167-206, 2006
9 정두영, "사업소득과 근로소득 과세의 공평성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회계학회 11 (11): 233-259, 2006
10 국민권익위원회, "민원제도개선"
1 정지선, "출산장려를 위한 조세제도의 개편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회계학회 12 (12): 137-168, 2007
2 유경준, "최저임금의 쟁점논의와 정책방향" KDI 11-, 2013
3 김재진, "주요국의 자영업자에 대한 근로장려세제 적용기준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111-113, 2012
4 장기용, "조세정책(EITC)을 통한 근로유인 제고방안" 5 (5): 187-210, 2005
5 전영준, "저소득 근로자 지원정책의 실효성 분석 - 실업보험, EITC, 최저임금제, 기초생활보장제도 상호 비교 -" 한국재정학회 4 (4): 1-46, 2011
6 정유석, "자녀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의 형태와 여성 경제활동 및 출산율 제고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국제회계학회 (42) : 161-180, 2012
7 정기현, "우리나라 근로장려세제의 현황 및 정책과제" 한국조세연구포럼 9 (9): 92-133, 2009
8 임봉욱, "성공적 EITC 도입을 위한 제언:미국의 EITC를 참고로" 한국재정학회 21 (21): 167-206, 2006
9 정두영, "사업소득과 근로소득 과세의 공평성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회계학회 11 (11): 233-259, 2006
10 국민권익위원회, "민원제도개선"
11 이상은, "근로장려세제의 평가와 정책과제" 한국사회보장학회 23 (23): 25-55, 2007
12 유한욱, "근로장려세제의 최적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30 (30): 131-170, 2008
13 강병구, "근로장려세제의 노동공급효과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7 (7): 87-109, 2007
14 임완섭, "근로장려세제의 노동공급 효과 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2 (22): 219-243, 2012
15 전영준, "근로장려세제의 근로의욕 증진효과: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한 접근" 한국재정학회 1 (1): 1-43, 2008
16 전영준, "근로장려세제와 최저임금제의 고용 및 후생증진 효과" 48-62, 2010
17 김영주, "근로장려세제(EITC), 기존취지 벗어난 반쪽짜리로 전락"
18 김정호, "근로장려세제(EITC) 정책의 효과성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71-88, 2012
19 최현수, "근로장려세제 확대 개편방안의 효과성 분석 및 소득보장체계 연계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20 전완희, "근로장려세제 운영실태 조사결과 및 개선방안" 국회입법조사처 50-, 2011
21 박능후, "근로장려세제 시행초기 효과 실증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8 (38): 165-191, 2011
22 송헌재, "근로장려세제 도입이 가구 노동공급에 미친 영향" 한국재정학회 5 (5): 37-62, 2012
23 황덕순, "근로유인형 복지제도의 국제비교와 한국의 근로유인형 복지제도 발전방안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26-228, 2010
24 윤흥식, "근로소득환급제도의 딜레마:EITC, 최선의 대안인가?" 80 (80): 2006
25 장기용, "근로소득보전세제(EITC)의 도입가능성에 대한 고찰" 4 (4): 57-91, 2004
26 국세청, "국세통계연보"
27 유한욱, "고용친화적 세제지원에 관한 연구[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구축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Ⅰ), 유경준 편]" KDI 256-261, 2011
28 "http://www.taxpolicycenter.org"
29 "http://www.irs.gov"
30 "http://www.impots.gouv.fr"
31 "http://www.hmrc.gov.uk"
32 "http://www.eitc.go.kr"
33 Liebman, Jeffrey B, "The Impact of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on Incentives and Income Distribution, In Tax Policy and the Economy, Vol 12" MIT Press 1998
34 Meyer, Bruce D, "The Effects of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and Recent Reforms" 159-168, 2010
35 Lee, Myungheon, "The Effects of EITC on Labor Supply of Low Income Workers in Korea" 2005
36 Dikert, Stacy,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and Transfer Programs:A Study of Labor Market and Program Participation, In Tax Policy and the Economy"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and the MIT Press 1995
37 Scholz, J. K,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Participation, Compliance, and Antipoverty Effectiveness" 47 (47): 63-87, 1994
38 Greenstein, Robert, "The Earned Income Tac Credit:Boosting Employment, Aiding the Working Poor" Center on Budget and Policy Priorities 2005
39 OECD, "OECD Employment Outlook Tackling the Jobs Crisis"
40 Eissa, N., "Labor Supply Response to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111 (111): 605-637, 1996
41 Eissa, N., "Behavioral Responses to Taxes:Lessons from the EITC and Labor Supply" NBER 2005
42 Keane, Michael, "A Structural Model of Multiple Welfare Program Participation and Labor Supply" 39 (39): 553-589, 1998
43 헌재, "7. 22 선고, 98헌바14 결정"
44 장윤정, "2012 근로장려세제 확대시행의 소요재정과 분배효과" 73 (73):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