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립대학 등록금․비등록금 요인이 학생 교육투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43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립학교법 개정 이후 시점의 실증적 자료를 토대로 대학의 수입·지출요인의 범 주 안에서 등록금·비등록금 수입과 학생 교육투자 지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등록금 수입은 장학금 지출과 전반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세부적으로는 대학원 장학금만이 등록금과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고 학부 장학금 및 학생경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 은 분석이 도출되었다. 반면 비등록금 수입에서는 교육부대수입이 전체 장학금, 학부 장학금 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학원 장학금을 제외한 학부 장학금, 학생경비가 국고 보조금, 기부금과 연관이 있으며, 그 중 국고보조금은 강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따라 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비등록금 수입 중 외부로부터 조달하는 국고보조금, 기부금 수 입이 학생 교육투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편으로 국가장학금을 제외한 분석에 서는 등록금, 전입금, 교육부대수입 등의 내부 조달 자금이 학생 장학금에 투자되고 있어 향 후 학생 교육투자를 위한 대학의 수입 확충 근거를 마련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립학교법 개정 이후 시점의 실증적 자료를 토대로 대학의 수입·지출요인의 범 주 안에서 등록금·비등록금 수입과 학생 교육투자 지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등록금 수...

      본 연구는 사립학교법 개정 이후 시점의 실증적 자료를 토대로 대학의 수입·지출요인의 범 주 안에서 등록금·비등록금 수입과 학생 교육투자 지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등록금 수입은 장학금 지출과 전반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세부적으로는 대학원 장학금만이 등록금과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고 학부 장학금 및 학생경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 은 분석이 도출되었다. 반면 비등록금 수입에서는 교육부대수입이 전체 장학금, 학부 장학금 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학원 장학금을 제외한 학부 장학금, 학생경비가 국고 보조금, 기부금과 연관이 있으며, 그 중 국고보조금은 강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따라 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비등록금 수입 중 외부로부터 조달하는 국고보조금, 기부금 수 입이 학생 교육투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편으로 국가장학금을 제외한 분석에 서는 등록금, 전입금, 교육부대수입 등의 내부 조달 자금이 학생 장학금에 투자되고 있어 향 후 학생 교육투자를 위한 대학의 수입 확충 근거를 마련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verifying how tuition/non-tuition income effects on education investment within income and outcome. As a result, a tuition income positively effects on a scholarship expense. Actually, we could get a result that only a graduate fellowship has a positive effect but ther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on an undergraduate fellowship and student educational expense. On the other hand, about non-intuition income, a peripheral education incom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hole scholarship expense and an undergraduate fellowship. Furthermore, an undergraduate fellowship except the graduate fellowship is related to government subsidies and a contribution and among them the government subsidies has a strong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it.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among the non-tuition income the government subsidies and endowment, which is supported from outside of the school, directly effects on education investment. Particularly, the analysis of government subsidies can disprove that following the educational policy of government, the supported fund of government has been invested on the education invest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verifying how tuition/non-tuition income effects on education investment within income and outcome. As a result, a tuition income positively effects on a scholarship expense. Actually, we could get a result that only a 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verifying how tuition/non-tuition income effects on education investment within income and outcome. As a result, a tuition income positively effects on a scholarship expense. Actually, we could get a result that only a graduate fellowship has a positive effect but ther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on an undergraduate fellowship and student educational expense. On the other hand, about non-intuition income, a peripheral education incom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hole scholarship expense and an undergraduate fellowship. Furthermore, an undergraduate fellowship except the graduate fellowship is related to government subsidies and a contribution and among them the government subsidies has a strong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it.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among the non-tuition income the government subsidies and endowment, which is supported from outside of the school, directly effects on education investment. Particularly, the analysis of government subsidies can disprove that following the educational policy of government, the supported fund of government has been invested on the education invest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혜영, "정보공시제를 활용한 대학의 효율성 평가 -자료포락분석(DEA)을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125-153, 2011

      2 문택수, "전략적 비용지출 구조와 등록금 수입 : 추가 투자재원 기능으로서의 등록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3 Bourdieu. P., "자본주의의 아비투스" 동문선 1995

      4 김우영, "사학기관 재무·회계기준 개정 방향에 대한 연구" 글로벌경영학회 12 (12): 431-458, 2015

      5 임소현, "사립대학의 재정요인이 학생의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83-113, 2013

      6 이태우, "사립대학의 재정여건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6 (16): 111-133, 2013

      7 오종진, "사립대학의 규모별·지역별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회계학회 (31) : 265-284, 2010

      8 이동규, "사립대학의 경영과 회계" 선학사 2001

      9 이필남, "사립대학 재정지출 변인과 교육의 질 관계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3 (23): 235-266, 2014

      10 유승현, "사립대학 비등록금수입과 재정 · 회계지표 간의 관계" 한국상업교육학회 30 (30): 1-20, 2016

      1 박혜영, "정보공시제를 활용한 대학의 효율성 평가 -자료포락분석(DEA)을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125-153, 2011

      2 문택수, "전략적 비용지출 구조와 등록금 수입 : 추가 투자재원 기능으로서의 등록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3 Bourdieu. P., "자본주의의 아비투스" 동문선 1995

      4 김우영, "사학기관 재무·회계기준 개정 방향에 대한 연구" 글로벌경영학회 12 (12): 431-458, 2015

      5 임소현, "사립대학의 재정요인이 학생의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83-113, 2013

      6 이태우, "사립대학의 재정여건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6 (16): 111-133, 2013

      7 오종진, "사립대학의 규모별·지역별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회계학회 (31) : 265-284, 2010

      8 이동규, "사립대학의 경영과 회계" 선학사 2001

      9 이필남, "사립대학 재정지출 변인과 교육의 질 관계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3 (23): 235-266, 2014

      10 유승현, "사립대학 비등록금수입과 재정 · 회계지표 간의 관계" 한국상업교육학회 30 (30): 1-20, 2016

      11 손준종, "반값 등록금의 정치학: 그 성격과 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교육정치학회 20 (20): 189-215, 2013

      12 이수정, "대학특성별 등록금 수준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 4년제 사립대학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1-25, 2011

      13 김무영, "대학의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립대학 재정변인 탐색"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3 (23): 75-101, 2014

      14 남수경, "대학생 장학금정책의 투자효과 분석 : 2012 국가장학금 도입 이전 저소득층 장학금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55-82, 2016

      15 이승복, "대학납입금의 책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대한경영학회 22 (22): 739-759, 2009

      16 우상식, "대학 특성별 등록금 추이와 대학교육역량 관련 지표와의 관계 분석: 4년제 일반대학 등록금의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종단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337-366, 2013

      17 박태규, "대학 기부금 수입 확대를 위한 다양한 기부방식 도입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18 성병창, "교육 공공성의 개념 체계와 정립 원리"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229-249, 2007

      19 나금운, "「사학기관 재무․회계 규칙에 대한 특례규칙」의 개정이 사립대학의 회계처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보학회 15 (15): 79-101, 2015

      20 Bourdieu, P.,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Greenwood 241-258, 1986

      21 Lunt, I., "Beyond tuition fees: The legacy of Blair's government to higher education" 34 (34): 741-752,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