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1~3, 4~5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경기도 중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혁신학교와 혁신공감학교, 일반학교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경기 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84356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5-50(26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1~3, 4~5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경기도 중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혁신학교와 혁신공감학교, 일반학교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경기 도...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1~3, 4~5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경기도 중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혁신학교와 혁신공감학교, 일반학교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경기 도의 1차년도 중학교 1학년 패널과 4차년도 중학교 1학년 패널이며, 분석방법은 이원고정효 과모형이다. 분석결과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공통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의 열의 에 대한 학생의 인식, 친구·교사에 대한 적응이었다. 1차년도 패널데이터에 대한 결과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교 학생들은 차별 및 체벌, 규제경험 같은 부정적 경험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혁신학교는 그렇지 않았다. 둘째, 일반학교는 1차년도에 비해 2차년도, 2차년도에 비해 3차년도의 교수만족도 상승분이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반면, 혁신학 교는 1차년도에 비해 2차년도의 상승분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았다. 4차년도 패널데이터의 결과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 영향요인보다 상대적으로 혁 신공감학교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 영향요인이 교과의 특성, 수업방법, 체벌과 규제경험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특성과 무관하게 학생들 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혁신학교 정책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위교육기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with Innovative Schools, Innovative Sympathized Schools, and general schools using data from 1-3, 4-5th year of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with Innovative Schools, Innovative Sympathized Schools, and general schools using data from 1-3, 4-5th year of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The analysis method is the binary fixed effect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er's enthusiasm and adaptation to friends and teacher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school life satisfaction. Secondly, negative experiences such as discrimination, corporal punishment, and regulation affect general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Thirdly, In the innovation school, the increase in teaching satisfaction in the second year was higher than that in the first year, but the general school did not. Forthly,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life satisfaction in innovative sympathy schools were more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teaching methods, corporal punishment, and regulation. Suggestions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school characteristics, there is a need for continued interest in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maintain the effectiveness of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참고문헌 (Reference)
1 소연희, "효과적인 교실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학습자 특성, 교육내용, 교육방법, 수업환경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방법학회 18 (18): 1-22, 2006
2 김민웅, "혁신학교 중학생의 정의적 요인에 관한 단기종단적 비교 분석 :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의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101-121, 2013
3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기본문서" 경기도교육청 2012
4 김양분, "한국교육종단연구2013(Ⅳ): 중학생의 교육경험과 교육성취(Ⅰ)" 한국교육개발원 2016
5 강충열, "학교혁신의 이론과 실제" 지학사 2013
6 박수정, "학교문화가 학교구성원의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52-462, 2013
7 박수정, "학교 구성원의 학교만족도와 학교 문화 인식의 관계"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2012
8 김효정, "학교 구성원별 학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비교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183-510, 2013
9 남궁지영,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Ⅳ): 중학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10 남수경, "초등학생의 학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 및 교육활동 요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1-27, 2013
1 소연희, "효과적인 교실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학습자 특성, 교육내용, 교육방법, 수업환경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방법학회 18 (18): 1-22, 2006
2 김민웅, "혁신학교 중학생의 정의적 요인에 관한 단기종단적 비교 분석 :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의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101-121, 2013
3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기본문서" 경기도교육청 2012
4 김양분, "한국교육종단연구2013(Ⅳ): 중학생의 교육경험과 교육성취(Ⅰ)" 한국교육개발원 2016
5 강충열, "학교혁신의 이론과 실제" 지학사 2013
6 박수정, "학교문화가 학교구성원의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52-462, 2013
7 박수정, "학교 구성원의 학교만족도와 학교 문화 인식의 관계"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2012
8 김효정, "학교 구성원별 학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비교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183-510, 2013
9 남궁지영,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Ⅳ): 중학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10 남수경, "초등학생의 학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 및 교육활동 요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1-27, 2013
11 이성주, "초·중·고 학생의 학교만족도 변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569-588, 2015
12 민병기, "청소년의 생활만족도 형성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2
13 송주미, "청소년 복지" 대왕사 2011
14 차성현, "중학생이 느끼는 행복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특성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41 (41): 103-122, 2014
15 장성민,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16 (16): 94-108, 2010
16 김경식, "중학생의 학교만족도에 대한 자아개념, 부모학습지원, 학급풍토의 영향: 학급풍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31 (31): 37-52, 2010
17 서인석,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159-180, 2009
18 황여정,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81-203, 2006
19 이윤미, "서울교육발전을 위한 학교혁신 방안 연구: 혁신학교 운영 성과를 중심으로" 서울시의회 2013
20 Berk, L., "생애발달 Ⅱ: 청소년기에서 후기 성인기까지" 시그마프레스 2009
21 성기선, "무지개학교 운영 성과 평가 연구" 전라남도교육청․함께 여는 교육연구소 2013
22 이덕로, "대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분석" 한국산업경영학회 29 (29): 235-262, 2014
23 임경희, "대도시 초등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4 (44): 595-603, 2005
24 이윤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과 일반지역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비교"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5 정충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학업성취도 증진 효과" 교육종합연구소 14 (14): 175-194, 2016
26 김서현, "교사효능감이 중학생의 교사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47-66, 2015
27 이성주,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5 (5): 143-166, 2016
28 민인식, "고급 패널데이터 분석" 지필미디어 2016
29 백병부, "경기도 혁신학교 성과 분석: 교육격차 감소를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2014
30 경기도교육연구원, "경기도 혁신학교 성과 분석" 2012
31 백병부, "경기도 혁신고등학교 성과 분석" 경기도교육연구원 2013
32 경기도교육청, "경기도 초․중․고교 97.9% 혁신교육에 공감하다"
33 Huebner, E., "The brief multidimensional students’ life satisfaction scale : gender, race, and grade effects" 94 : 351-356, 2004
34 유진은, "Group lasso를 통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탐색"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127-149, 2017
35 Edmonds, R., "Effective schools for the urban poor" 37 (37): 15-24, 1979
36 경기도교육청, "2017. 3. 1.자 신규 혁신학교 21교 지정"
37 정태식, "2013년 혁신학교의 학교효과성 분석" 전라북도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2013
사립대학 등록금․비등록금 요인이 학생 교육투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6 | 1.76 | 1.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2 | 2.06 | 1.84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