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2007년부터 2017년 9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총 152편의 입학사정관제도(학생부 종합전형) 관련 연구논문을 수집하여 발표 연도, 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별 빈도분석과 주요 어(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84355
김재웅(Kim Jae-Woong) ; 박상완(Park Sang-wan) ; 이예경 (서강대학교)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3(23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07년부터 2017년 9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총 152편의 입학사정관제도(학생부 종합전형) 관련 연구논문을 수집하여 발표 연도, 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별 빈도분석과 주요 어(키...
이 연구는 2007년부터 2017년 9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총 152편의 입학사정관제도(학생부 종합전형) 관련 연구논문을 수집하여 발표 연도, 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별 빈도분석과 주요 어(키워드)에 대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연구의 경향성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 다. 분석 결과, 입학사정관제 연구의 양적 감소가 진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최근 입학사정관 제가 대학생의 학업과 대학생활에 미치는 효과와 사교육 및 고교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대상 역시 대학생의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 다. 입학사정관 전형과 타 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와 대학생활적응을 비교한 연구들에서 일관된 결론을 찾아보기는 힘들었으며, 입학사정관제가 고교 교육 변화와 사교육 경감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도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입학사정관 제도 운영 의 공정성과 정책 목표달성도에 대한 경험적 검증이 중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a total of 152 studies on the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 in Korea. A frequency analysis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topic, research method, and participants was carried out along with a network analysis of the...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a total of 152 studies on the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 in Korea. A frequency analysis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topic, research method, and participants was carried out along with a network analysis of the key words. Results indicate that the overall number of studies have fallen, though studies on its effects on academic performance and college life adaptation have increased, as well as studies about its influences on changing high school educational practices and reducing private education. Analyses also revealed an increase in having college students as participants. Consistent findings abou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between students selected through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other systems could not be found. The effects of this system on changing high school education and reducing private education did not appear to be significant. Network analyses indicated that fairness of the officers and the system, as well as empirical studies on the achievements of this system are emphasized.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권, "한국형 입학사정관제의 개념창출과 발전방안" 아시아.유럽미래학회 7 (7): 516-536, 2010
2 김용기, "한국 대학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정책 평가" 중앙대학교 2017
3 차정민, "학생부종합전형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6
4 허정은, "학생부종합전형에 따른 고교 교육의 변화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7 (27): 804-812, 2015
5 주영효, "학생부종합전형 정책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41-168, 2017
6 이주연, "학교의 학습조직화 저해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 대학입학사정관제 도입에 따른 적응적 학습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269-294, 2012
7 안선회, "참여정부 사교육비 경감정책 인과가설 분석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17 (17): 81-113, 2010
8 강현석, "중등 교육과정과 입학사정관제의 연계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121-141, 2010
9 이호섭, "자기주도학습을 평가요소로 반영한 입학사정관전형 사례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18 (18): 161-181, 2011
10 김달효, "입학전형별 선행학습 관련 변인의 차이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54 (54): 345-355, 2015
1 김정권, "한국형 입학사정관제의 개념창출과 발전방안" 아시아.유럽미래학회 7 (7): 516-536, 2010
2 김용기, "한국 대학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정책 평가" 중앙대학교 2017
3 차정민, "학생부종합전형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6
4 허정은, "학생부종합전형에 따른 고교 교육의 변화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7 (27): 804-812, 2015
5 주영효, "학생부종합전형 정책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41-168, 2017
6 이주연, "학교의 학습조직화 저해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 대학입학사정관제 도입에 따른 적응적 학습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269-294, 2012
7 안선회, "참여정부 사교육비 경감정책 인과가설 분석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17 (17): 81-113, 2010
8 강현석, "중등 교육과정과 입학사정관제의 연계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121-141, 2010
9 이호섭, "자기주도학습을 평가요소로 반영한 입학사정관전형 사례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18 (18): 161-181, 2011
10 김달효, "입학전형별 선행학습 관련 변인의 차이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54 (54): 345-355, 2015
11 안선회, "입학사정관제의 합리적 정착을 위한 사교육비 경감 방안 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16 (16): 7-33, 2009
12 권수현, "입학사정관제의 한계와 가능성 그리고 입학사정관의 윤리"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33) : 129-156, 2017
13 노명순, "입학사정관제의 정책오차와 오차수정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14 강태중, "입학사정관제도의 정착을 위한 연구: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0 (10): 151-175, 2009
15 김승태, "입학사정관제도와 사교육의 연관성에 관한 소고" 한국거버넌스학회 17 (17): 237-264, 2010
16 유현주, "입학사정관제도에서 적용 가능한 면접의 방법" 30 (30): 1-22, 2009
17 전경애, "입학사정관제 정책의 변화과정 분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4
18 최석준,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자와 수능중심 전형 입학자간의 학업성취도 비교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4220-4227, 2010
19 이광현,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생들과 일반전형 학생들의 대학생활 비교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27 (27): 23-47, 2014
20 김일혁, "입학사정관제 운영 평가 지표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22 (22): 681-715, 2009
21 정용교, "입학사정관제 도입과 사회과교육의 방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8 (58): 71-92, 2010
22 이상용, "입학사정관제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 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 적용"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4 (24): 643-652, 2012
23 김이지, "입학사정관이 지각한 학생평가직무역량에 대한 연구: 개념도방법론과 IPA분석을 중점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5 (25): 633-659, 2012
24 김은희, "입학사정관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09-129, 2011
25 박혜경, "입학사정관의 역할과 임용에 관한 법적 검토" 대한교육법학회 25 (25): 49-73, 2013
26 김수연, "입학사정관의 역할과 만족도 변화 비교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3) : 325-351, 2012
27 최현석,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 K대학교 사례"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4 (24): 1149-1157, 2013
28 전경애,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의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08-517, 2012
29 김병진,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과 타 전형 신입생의 특성 비교 연구 -입학사정관 전형 종합평가의 타당성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0 (40): 57-78, 2013
30 조형정, "입학사정관 전형 대학입시와 사교육의 관계 에 관한 연구: 천안, 아산 지역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32 (32): 129-164, 2013
31 전경애, "입학사정관 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85-494, 2012
32 최유진, "입학 전형에 따른 환경교육과 재학생의 학교 활동 및 진로 탐색 비교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30 (30): 121-138, 2017
33 김지이, "우리나라 입학사저관제 관련 연구동향" 1 : 1-34, 2012
34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연도별 수시모집요강 주요사항 보도자료"
35 손희권, "신문이 제시한 대학입학사정관제 개선방안의 비판적 고찰" 교육문제연구소 (34) : 1-24, 2009
36 손병욱, "신라의 인재선발 방식이 입학사정관의 윤리의식 함양에 주는 의미" 한국윤리교육학회 (33) : 247-270, 2014
37 홍성수, "시차이론을 적용한 입학사정관제 정책과정 분석" 광운대학교 2017
38 백우정, "시스템사고를 통한 사교육비경감정책 평가: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12 (12): 5-34, 2011
39 김경화, "대학입학전형의 사교육 영향 평가" 한국미래교육학회 6 (6): 21-47, 2016
40 조혜진, "대학입학사정관제도 정책형성단계에 대한 평가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233-254, 2013
41 변수연, "대학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 집행에 나타난 대학의 디커플링 분석- A대학의 사례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179-206, 2012
42 장덕호, "대학입학사정관제 제도화 과정 분석 연구: 신제도주의 동형화 이론의 적용"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121-144, 2009
43 변수연, "대학입학사정관제 정책 집행 과정의 디커플링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44 이주연, "대학입학사정관제 도입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의 변화 : 학습조직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81-108, 2012
45 이호섭, "대학입학사정관전형에서의 홀리스틱 평가 적용 실태 분석"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5 (15): 93-111, 2011
46 유현실, "대학입학사정관의 직업윤리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36 (36): 49-68, 2009
47 방재현, "대학입학사정관의 역량모델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4 (44): 129-147, 2012
48 이영민, "대학입학사정관 전형의 타당성 제고를 위한 대학 전공계열별 핵심역량 분석" 교육종합연구소 8 (8): 1-18, 2010
49 신현석, "대학입학 전형요소로서 대학 인재상의 활용방안 탐색 - 입학사정관제에서의 활용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265-291, 2010
50 김준엽, "대학에서의 학습 및 활동을 중심으로 본 입학사정관제 성과" 교육연구소 14 (14): 29-50, 2013
51 오성배, "대학생의 입학전형별 학업성취 및 학교생활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157-175, 2016
52 "대학들 ‘입학사정관제’도 뭉갠다"
53 김승태, "대학 입학사정관제도의 운영성과 평가: 시범실시 대학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소 23 (23): 169-196, 2009
54 이필남, "대학 입학사정관전형 지원 계획과 사교육 수요 관계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125-151, 2011
55 김보나, "대학 입학 선발 방식에 따른 대학생의 학교 생활 적응 차이 분석 연구" 교육연구소 21 (21): 5-25, 2015
56 이수정, "대입제도의 변화가 사교육비 지출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121-141, 2011
57 김보경, "대입전형이 고등학교 교육과정 정상화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소 13 (13): 93-119, 2015
58 이수정, "대입전형에서 학생부 내신 반영 강화 정책과 고교생의 사교육비 지출간의 관련성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17): 125-150, 2014
59 오성배, "대입전형별 대학생의 학교생활 추이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1-18, 2015
60 김위정, "대입 입학사정관 전형 지원 계획이 사교육비 지출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85-117, 2013
61 박삼열, "국어교육의 독서활동 평가방법과 입학사정관제 연계 방안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52 : 5-41, 2011
62 김성남, "국내 입학사정관제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163-183, 2013
63 윤소정, "국내 대학 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 실태와 확보방안"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7 (27): 74-82, 2015
64 김회용, "공정성 개념 분석과 대학입학사정관 전형의 공정성 확보 방안" 한국교육사상학회 25 (25): 21-50, 2011
65 조영하, "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과 대학입학사정관전형의 연계 방안 탐색- 교사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소 43 (43): 197-225, 2012
66 배성아, "‘입학사정관 전형 유형’ 분석을 통한 입학사정관제도의 발전 방향 탐색 : 초기 선도대학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40) : 115-139, 2011
67 강태중, "‘사교육’에 대한 입학사정관 전형의 영향 분석" 교육연구소 13 (13): 1-34, 2012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경기도 내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및 혁신공감학교와의 효과비교를 중심으로-
사립대학 등록금․비등록금 요인이 학생 교육투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6 | 1.76 | 1.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2 | 2.06 | 1.84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