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섹슈얼리티는 인간의 성적 욕망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패션 창조의 한 부분을 담당해 왔다. 연구 목적은 섹슈얼리티 감성으로 독창적인 패션을 전개한 루도빅 드 생 세르넹의 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섹슈얼리티는 인간의 성적 욕망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패션 창조의 한 부분을 담당해 왔다. 연구 목적은 섹슈얼리티 감성으로 독창적인 패션을 전개한 루도빅 드 생 세르넹의 작...
연구배경 섹슈얼리티는 인간의 성적 욕망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패션 창조의 한 부분을 담당해 왔다. 연구 목적은 섹슈얼리티 감성으로 독창적인 패션을 전개한 루도빅 드 생 세르넹의 작품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문헌 고찰과 작품 분석의 사례 연구로 진행하였다. 첫째, 섹슈얼리티 패션 특성, 디자이너의 패션 발상을 고찰하였다. 둘째, 사례 연구는 2018 S/S부터 2022 F/W까지 작품을 범위로 콘셉트와 모델 구성, 실루엣과 아이템, 색, 소재, 문양, 장식적 디테일을 분석하여 섹슈얼리티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루도빅 드 생 세르넹 패션은 진정한 자유로움의 표현이라는 관점에서 접근되었고, 슬림 실루엣과 피티드 실루엣, 레이스업 아일릿, 트랜스페어런트 재질과 가죽, 신체 노출, 성을 초월한 아이템 구성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아함과 섹슈얼리티의 균형 추구라는 브랜드 개성을 반영하며, 도발적 관능성, 젠더 유동성의 재해석, 수작업 기반의 장식성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루도빅 드 생 세르넹의 작품은 섹슈얼리티 패션의 스펙트럼 확장과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인간 본연의 아름다움에 집중한 섹슈얼리티 패션이 다채롭게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현 ; 양숙희, "현대 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7 (57): 11-23, 2007
2 홍순미, "현대 여성복 패션에 나타난 에로티시즘 표현 : 1990년대 후반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3 이운영,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티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2 (12): 41-51, 2006
4 김해진 ; 곽태기, "현대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크로스 섹슈얼 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0 (10): 19-33, 2010
5 안현주, "현대 남성 패션의 섹슈얼리티(Sexuality) 표현 특성" 한복문화학회 9 (9): 77-91, 2006
6 Entwistle, J., "패션화된 몸" 한성대학교 출판부 2013
7 이경희, "패션디자인 플러스 발상" 교문사 2008
8 한성지, "패션디자인" 교학연구사 2007
9 박소형 ; 임은혁, "에디 슬리먼 디자인의 크로스 섹슈얼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3 (23): 333-351, 2017
10 "섹슈얼리티"
1 이지현 ; 양숙희, "현대 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7 (57): 11-23, 2007
2 홍순미, "현대 여성복 패션에 나타난 에로티시즘 표현 : 1990년대 후반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3 이운영,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티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2 (12): 41-51, 2006
4 김해진 ; 곽태기, "현대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크로스 섹슈얼 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0 (10): 19-33, 2010
5 안현주, "현대 남성 패션의 섹슈얼리티(Sexuality) 표현 특성" 한복문화학회 9 (9): 77-91, 2006
6 Entwistle, J., "패션화된 몸" 한성대학교 출판부 2013
7 이경희, "패션디자인 플러스 발상" 교문사 2008
8 한성지, "패션디자인" 교학연구사 2007
9 박소형 ; 임은혁, "에디 슬리먼 디자인의 크로스 섹슈얼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3 (23): 333-351, 2017
10 "섹슈얼리티"
11 "섹슈얼리티"
12 Bristow, J., "섹슈얼리티" 한나래 2000
13 김민자, "복식미학강의 2" 교문사 2004
14 이원미, "베르사체 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미적 특성 : 도나텔라 베르사체 작품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5 백수진 ; 박희정 ; 간호섭, "마리오 테스티노의 패션광고사진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유형"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4 (14): 75-87, 2014
16 "로버트 메이플소프 재단"
17 박연경, "두려움 없는 반란"
18 김윤미 ; 김진영, "데이비드 라샤펠 패션 사진에 나타난 여성의 성적 이미지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 (20): 39-54, 2020
19 송승철, "남성의 육체는 무엇을 보여주는가" 9 : 5-14, 2002
20 이민선, "남성의 몸과 패션에 표현된미적 이미지(Ⅰ) : 남성 패션에 표현된 에로티시즘을중심으로" 51 (51): 163-174, 2001
21 "관능성"
22 Kendall, H., "The Designer Creating Clothes Infused with Sex and Queerness"
23 이진선, "New Sexuality"
24 Roche, D., "Meeting with designer Ludovic de Saint Sernin"
25 Goize, T. I., "Ludovic de Saint Sernin’s Erot ically Charged Clothing Makes Unisex Sexy"
26 Wallace, S., "Ludovic de Saint Sernin and Oli vier Rousteing"
27 Badia, A., "Ludovic de Saint Sernin Talks Style, Sensuality and a Creative Direc tor Role"
28 Mower, S., "Ludovic de Saint Sernin Spring 2022 Menswear"
29 Mower, S., "Ludovic de Saint Sernin Spring 2021 Menswear"
30 Mower, S., "Ludovic de Saint Sernin Fall 2019 Menswear"
31 Mower, S., "Ludovic de Saint Sernin Fall 20 21 Menswear"
32 Mower, S., "Ludovic de Saint Sernin Fall 20 20 Menswear"
33 Goize, T. I., "Ludovic de Saint Sernin Fall 20 18 Menswear"
34 "Ludovic de Saint Sernin"
35 이성연, "Ludovic de Saint Sernin"
36 Compain, H., "Ludovic de Saint Sernin"
37 "Ludovic de Saint Sernin"
38 나은길, "Ludovic de Saint Sernin"
39 "Ludovic de Saint Sernin"
40 Thomson, J., "How to Parisian Fashion Desig ner Ludovic de Saint Sernin Created a Brand from a Knitted Jockstrap"
41 Menkes, S., "Generation Gender Neutral"
42 김유경, "Fashion Design Research’n Planni ng" 와이북 2013
43 Kelly, M., "Designer On the Rise Alert"
44 김재숙 ; 윤지현, "1990년대 후반의 패션에 나타난 에로티시즘 -Chanel, Christian Dior, Givenchy를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 11 (11): 711-720, 2003
45 손미희, "1990년대 의상에 표현된 에로티시즘에 관한 연구" 2 (2): 157-176, 1995
여성의 이미지를 꽃의 상징성으로 형상화한 칠보 장신구 연구
DiSC 행동유형에 따른 공간 색채분포도 연구 - 과학영재를 중심으로 -
아동의 건강한 스낵 섭취 행동을 위한 패키지 디자인 연구 - 아동용 시리얼 패키지 디자인의 문제점 분석을 중심으로 -
국가상징 나라꽃 무궁화 문양디자인 기본형 연구 - 생회(生化)에서 문양디자인 개발까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4-09-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12-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 ![]() |
2007-10-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 |
2007-04-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 |
2006-06-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 ![]() |
2006-02-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10-3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 |
2005-10-1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 |
2005-09-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 |
2005-05-3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4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3 | 0.631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