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의 이미지를 꽃의 상징성으로 형상화한 칠보 장신구 연구 = A study on the enamel jewelry that woman’s image into the symbolism of flow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351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rt is used not only as a visual function, but also as a symbolic and subjective means of expressing the feelings and thoughts of the artist's inner world.
      Among the themes, forms, and materials of expression, women are generally expressed as symbols of beauty, women's beauty is likened to flowers, and flowers are personified as images of circulation and creation rather than pure and beautiful.
      This study uses women and flowers together as a way of expressing women, and uses enamel as an expression material to emphasize this. Enamel is a material that is continuously experimented with many techniques and various materials, and can even express various pictorial expressions beyond the limits of color expression in me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expresses the cycle of motherhood, woman's conception and childbirth through flowers along with the image of a woman, and seeks a method of modeling that can further maximize the image of the work by using enamel as an expression material Methods As a method of research, I would like to symbolic of flower and decorative expression of flowers through case studies of the symbolism of flowers, which ar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case studies of female artists who expressed flowers and women, and apply their characteristics to the expression of works.
      The contents and techniques of enamel used as a material for color expression along with form were summarized how it was expressed through the researcher's work Result The flat work, which expresses the image of a woman with flowers, expresses a feeling of tension and fluidity by expressing a self-portrait using flower decorations and mirrors and a flower as a metaphorical subject. And the ornaments by substituting women for flowers were made through the process of simplification and repetition through the enlargement and symbolism of flowers, and the forms of lines and planes had rhythm and vitality through visual rhythm. And the coldness of the metal and the warm contrast of the enamel made it possible to make the image of the flower stand out in the enamel ornament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is researcher was able to explore ways to express women's beauty and inheren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women's beauty was emphasized using the material flower, and motherhood, circulatory meaning, and inner feelings were approached, and as a result, the study of enamel work depicting women and flowers was expressed in various ways.
      The use of enamel was able to maximize the image of the work through color expression, line expression, decoration, and repetitive expression in metal work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broadening the formative and material domains in the expression of enamel works through the form of flowers and women.
      번역하기

      Background Art is used not only as a visual function, but also as a symbolic and subjective means of expressing the feelings and thoughts of the artist's inner world. Among the themes, forms, and materials of expression, women are generally expressed ...

      Background Art is used not only as a visual function, but also as a symbolic and subjective means of expressing the feelings and thoughts of the artist's inner world.
      Among the themes, forms, and materials of expression, women are generally expressed as symbols of beauty, women's beauty is likened to flowers, and flowers are personified as images of circulation and creation rather than pure and beautiful.
      This study uses women and flowers together as a way of expressing women, and uses enamel as an expression material to emphasize this. Enamel is a material that is continuously experimented with many techniques and various materials, and can even express various pictorial expressions beyond the limits of color expression in me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expresses the cycle of motherhood, woman's conception and childbirth through flowers along with the image of a woman, and seeks a method of modeling that can further maximize the image of the work by using enamel as an expression material Methods As a method of research, I would like to symbolic of flower and decorative expression of flowers through case studies of the symbolism of flowers, which ar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case studies of female artists who expressed flowers and women, and apply their characteristics to the expression of works.
      The contents and techniques of enamel used as a material for color expression along with form were summarized how it was expressed through the researcher's work Result The flat work, which expresses the image of a woman with flowers, expresses a feeling of tension and fluidity by expressing a self-portrait using flower decorations and mirrors and a flower as a metaphorical subject. And the ornaments by substituting women for flowers were made through the process of simplification and repetition through the enlargement and symbolism of flowers, and the forms of lines and planes had rhythm and vitality through visual rhythm. And the coldness of the metal and the warm contrast of the enamel made it possible to make the image of the flower stand out in the enamel ornament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is researcher was able to explore ways to express women's beauty and inheren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women's beauty was emphasized using the material flower, and motherhood, circulatory meaning, and inner feelings were approached, and as a result, the study of enamel work depicting women and flowers was expressed in various ways.
      The use of enamel was able to maximize the image of the work through color expression, line expression, decoration, and repetitive expression in metal work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broadening the formative and material domains in the expression of enamel works through the form of flowers and wom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예술은 시각적 기능으로써 뿐만 아니라 작가의 내면적 세계의 감정이나 사고를 표현하는 상징적이고 주관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
      예술 표현의 주제와 형태, 소재 중 하나인 여성은 일반적으로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많이 표현되며, 여성의 아름다움은 꽃에 비유되기도 한다. 꽃은 순수하고 아름다운 모습보다 순환과 생성의 이미지로 여인의 모습을 의인화하기도 한다.
      본 연구자는 여성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여성과 꽃을 함께 사용하며, 이를 강조하고 표현하기 위한 재료로 칠보를 사용한다. 칠보는 많은 기법과 다양한 재료의 실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금속 조형 작품에서 금속의 색상 표현 한계를 넘어 여러 가지 회화적인 표현까지도 가능한 재료이다.
      본 연구자는 여성의 이미지와 함께 꽃을 통하여 모성, 여성의 잉태와 출산이라는 순환을 표현하며, 표현의 재료로 칠보를 사용하여 작품의 이미지를 더욱 극대화 시 킬 수 있는 조형화의 방법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으로 이론적 배경이 되는 꽃의 상징성과 꽃과 여성을 표현한 여성 작가들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상징적이고 장식적인 꽃의 표현을 알아보고, 그 특징을 작품 표현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형태와 함께 색 표현을 위한 재료로 사용한 칠보에 대한 내용과 기법은 연구자의 작품을 통하여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의 이미지를 꽃과 함께 표현한 평면작품은 꽃장식과 거울을 이용한 자화상과 꽃을 은유적 소재를 함께 표현하여 긴장감과 유동적인 느낌을 느끼게 하였다. 그리고 여성을 꽃에 대입한 장신구는 꽃의 확대와 상징을 통하여 단순화와 반복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선과 면의 형태는 시각적 리듬을 통해 율동성과 활력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금속의 차가움과 칠보의 따뜻한 대비로 인해 칠보 장신구에서 꽃의 이미지를 두드러지게 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통하여 여성의 아름다움과 내재되어 있는 심리적 특성의 표현 방법을 모색할 수 있었다.
      특히 꽃이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여성의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모성, 순환적 의미, 내면적 감정에 접근하였으며, 그 결과 여인과 꽃을 형상화한 칠보 작품 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되었다.
      칠보를 사용하여 금속 작품에서의 색의 표현, 선을 이용한 표현, 장식, 반복적인 표현으로 인해 작품의 이미지를 더욱 극대화 시 킬 수 있었다.
      이번 연구가 꽃과 여성의 형태를 통한 칠보 작품 표현에 조형적, 재료의 영역을 넓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예술은 시각적 기능으로써 뿐만 아니라 작가의 내면적 세계의 감정이나 사고를 표현하는 상징적이고 주관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 예술 표현의 주제와 형태, 소재 중 하나인 여성...

      연구배경 예술은 시각적 기능으로써 뿐만 아니라 작가의 내면적 세계의 감정이나 사고를 표현하는 상징적이고 주관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
      예술 표현의 주제와 형태, 소재 중 하나인 여성은 일반적으로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많이 표현되며, 여성의 아름다움은 꽃에 비유되기도 한다. 꽃은 순수하고 아름다운 모습보다 순환과 생성의 이미지로 여인의 모습을 의인화하기도 한다.
      본 연구자는 여성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여성과 꽃을 함께 사용하며, 이를 강조하고 표현하기 위한 재료로 칠보를 사용한다. 칠보는 많은 기법과 다양한 재료의 실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금속 조형 작품에서 금속의 색상 표현 한계를 넘어 여러 가지 회화적인 표현까지도 가능한 재료이다.
      본 연구자는 여성의 이미지와 함께 꽃을 통하여 모성, 여성의 잉태와 출산이라는 순환을 표현하며, 표현의 재료로 칠보를 사용하여 작품의 이미지를 더욱 극대화 시 킬 수 있는 조형화의 방법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으로 이론적 배경이 되는 꽃의 상징성과 꽃과 여성을 표현한 여성 작가들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상징적이고 장식적인 꽃의 표현을 알아보고, 그 특징을 작품 표현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형태와 함께 색 표현을 위한 재료로 사용한 칠보에 대한 내용과 기법은 연구자의 작품을 통하여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의 이미지를 꽃과 함께 표현한 평면작품은 꽃장식과 거울을 이용한 자화상과 꽃을 은유적 소재를 함께 표현하여 긴장감과 유동적인 느낌을 느끼게 하였다. 그리고 여성을 꽃에 대입한 장신구는 꽃의 확대와 상징을 통하여 단순화와 반복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선과 면의 형태는 시각적 리듬을 통해 율동성과 활력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금속의 차가움과 칠보의 따뜻한 대비로 인해 칠보 장신구에서 꽃의 이미지를 두드러지게 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통하여 여성의 아름다움과 내재되어 있는 심리적 특성의 표현 방법을 모색할 수 있었다.
      특히 꽃이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여성의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모성, 순환적 의미, 내면적 감정에 접근하였으며, 그 결과 여인과 꽃을 형상화한 칠보 작품 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되었다.
      칠보를 사용하여 금속 작품에서의 색의 표현, 선을 이용한 표현, 장식, 반복적인 표현으로 인해 작품의 이미지를 더욱 극대화 시 킬 수 있었다.
      이번 연구가 꽃과 여성의 형태를 통한 칠보 작품 표현에 조형적, 재료의 영역을 넓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정, "회화에서 여성성과 장식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 네이버 블로그, "함양-화분의 목화꽃"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김지선, "한국 전통 꽃문양의 상징성과 형태 및 색채 특성에 따른 조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5 이문정, "한국 근대 여성 미술가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 나혜석, 박래현, 천경자를 중심으로" 현대미술학회 9 : 177-214, 2005

      6 우성주,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에 나타난 ‘개인화’와 ‘동일화’ 연구" 중남미지역원 13 (13): 127-159, 2011

      7 Andrea, K., "프리다 칼로" 마로니에북스 2005

      8 네이버 블로그, "텃밭에서 목화 키우기"

      9 안명선, "칠보공예실기" 한국산업인력공단 2007

      10 한수민, "천경자의 여성 인물화 표현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2 (22): 517-529, 2021

      1 김민정, "회화에서 여성성과 장식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 네이버 블로그, "함양-화분의 목화꽃"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김지선, "한국 전통 꽃문양의 상징성과 형태 및 색채 특성에 따른 조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5 이문정, "한국 근대 여성 미술가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 나혜석, 박래현, 천경자를 중심으로" 현대미술학회 9 : 177-214, 2005

      6 우성주,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에 나타난 ‘개인화’와 ‘동일화’ 연구" 중남미지역원 13 (13): 127-159, 2011

      7 Andrea, K., "프리다 칼로" 마로니에북스 2005

      8 네이버 블로그, "텃밭에서 목화 키우기"

      9 안명선, "칠보공예실기" 한국산업인력공단 2007

      10 한수민, "천경자의 여성 인물화 표현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2 (22): 517-529, 2021

      11 "천경자 홈페이지"

      12 유성이, "조형예술에 표현된 여성의 정체성에 관한 작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13 신채기,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와 젠더: 꽃, 누드, 그리고 국가 이데올로기" 여성학연구소 7 (7): 99-132, 2014

      14 "위키아트"

      15 이상희, "우리 꽃 문화 답사기" 넥서스 1999

      16 서울시립미술관, "영원한 나르시시스트-천경자"

      17 이은호, "여성작가의 인물화를 통해 본 타자적 시선과 여성이미지-천경자와 박래현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50) : 507-532, 2021

      18 퍼블릭 갤러리, "비단에 그린 꽃 부적? 고은주 작가의 염원이 담긴 작업들"

      19 정영인, "방어기제 관점으로 본 페미니즘 작가 자화상의 자아치유 요인 연구 - 프리다 칼로(Frida Kahlo)와 천경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2) : 67-78, 2009

      20 조원재, "방구석 미술관 2" 블랙피쉬 2020

      21 이미숙 ; 김정필, "모성 이미지의 조형성 연구- 큐비즘(Cubism)에 나타난 모성작품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16 (16): 123-139, 2013

      22 조연미, "꽃을 통한 상징과 이미지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23 고은주, "꽃을 통한 모성성의 상징 표현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24 "고은주홈페이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