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민정, "회화에서 여성성과 장식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 네이버 블로그, "함양-화분의 목화꽃"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김지선, "한국 전통 꽃문양의 상징성과 형태 및 색채 특성에 따른 조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5 이문정, "한국 근대 여성 미술가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 나혜석, 박래현, 천경자를 중심으로" 현대미술학회 9 : 177-214, 2005
6 우성주,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에 나타난 ‘개인화’와 ‘동일화’ 연구" 중남미지역원 13 (13): 127-159, 2011
7 Andrea, K., "프리다 칼로" 마로니에북스 2005
8 네이버 블로그, "텃밭에서 목화 키우기"
9 안명선, "칠보공예실기" 한국산업인력공단 2007
10 한수민, "천경자의 여성 인물화 표현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2 (22): 517-529, 2021
1 김민정, "회화에서 여성성과 장식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 네이버 블로그, "함양-화분의 목화꽃"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김지선, "한국 전통 꽃문양의 상징성과 형태 및 색채 특성에 따른 조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5 이문정, "한국 근대 여성 미술가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 나혜석, 박래현, 천경자를 중심으로" 현대미술학회 9 : 177-214, 2005
6 우성주,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에 나타난 ‘개인화’와 ‘동일화’ 연구" 중남미지역원 13 (13): 127-159, 2011
7 Andrea, K., "프리다 칼로" 마로니에북스 2005
8 네이버 블로그, "텃밭에서 목화 키우기"
9 안명선, "칠보공예실기" 한국산업인력공단 2007
10 한수민, "천경자의 여성 인물화 표현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2 (22): 517-529, 2021
11 "천경자 홈페이지"
12 유성이, "조형예술에 표현된 여성의 정체성에 관한 작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13 신채기,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와 젠더: 꽃, 누드, 그리고 국가 이데올로기" 여성학연구소 7 (7): 99-132, 2014
14 "위키아트"
15 이상희, "우리 꽃 문화 답사기" 넥서스 1999
16 서울시립미술관, "영원한 나르시시스트-천경자"
17 이은호, "여성작가의 인물화를 통해 본 타자적 시선과 여성이미지-천경자와 박래현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50) : 507-532, 2021
18 퍼블릭 갤러리, "비단에 그린 꽃 부적? 고은주 작가의 염원이 담긴 작업들"
19 정영인, "방어기제 관점으로 본 페미니즘 작가 자화상의 자아치유 요인 연구 - 프리다 칼로(Frida Kahlo)와 천경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2) : 67-78, 2009
20 조원재, "방구석 미술관 2" 블랙피쉬 2020
21 이미숙 ; 김정필, "모성 이미지의 조형성 연구- 큐비즘(Cubism)에 나타난 모성작품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16 (16): 123-139, 2013
22 조연미, "꽃을 통한 상징과 이미지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23 고은주, "꽃을 통한 모성성의 상징 표현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24 "고은주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