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도시공원 설계공모 수상작을 통해 본 조경설계개념의 유형 = Types of Landscape Design Concepts through Analysis of Award-Winners for Urban Park Design Competi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43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ypes of design concept based on the specificity of landscape design, and to deriv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landscape design concepts by analyzing the design concepts appearing in urban park design com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ypes of design concept based on the specificity of landscape design, and to deriv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landscape design concepts by analyzing the design concepts appearing in urban park design competi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 five types of landscape design concepts were categorized into value and vis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form and structure, program and element, and process and operation. Using this framework, the design concepts shown in 96 works submitted to 18 domestic and overseas urban park design competiti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ue to the complexity of contemporary urban parks, design concepts are presented as mixtures of main concepts and secondary concepts in multiple layers.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design concepts of ‘form and structure’ were used the most in urban park designs, followed by the ‘program and element’ concepts. The ‘value and vision’ and ‘analysis and interpretive’ concepts are introduced as third and fourth. Third, the reason that the ‘form and structure’ concept is widely used as main and secondary concepts is judged to be because the form of a space, which is the key result of the design,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identity of the design. Fourth, the reason that the ‘program and element’ concept type is widely introduced is that urban park design has a stronger planning aspect to produce programs during the design process, compared with other design fields where programs are usually given in advance. Lastly,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properties of the site solely affect the type of design concept, because a design concept is the result of a complex and creative process in which a designer subjectively interprets the obj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nd project, and given design guidelines can affect the type of design concep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조경설계의 특수성에 기반한 설계개념의 유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외 도시공원 설계공모 수상작에 나타난 설계개념을 분석하여 조경설계 개념에 대한 이론적 틀을 도출...

      이 연구는 조경설계의 특수성에 기반한 설계개념의 유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외 도시공원 설계공모 수상작에 나타난 설계개념을 분석하여 조경설계 개념에 대한 이론적 틀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 연구를 통해 조경설계의 설계개념 유형을 가치와 비전, 분석과 해석, 형태와 구조, 프로그램과 요소, 과정과 운영의 다섯 가지로 유형화하고, 이 틀을 활용하여 국내외 공원설계공모 18개에 출품된 96개의 작품에 나타난 설계개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도시공원의 복합성으로 인해 설계개념은 주개념과 보조개념의 여러 층위로 제시된다. 둘째, 도시공원 설계에 있어 형태적 개념이 가장 많이 활용되며, 그 다음으로 프로그램적 개념, 가치와 해석적 개념이 도입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형태적 개념이 주개념과 보조개념으로 많이 활용되는 이유는 디자인의 핵심 결과물인 공간의 형태가 설계안의 정체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넷째, 프로그램적 개념 유형이 다음으로 많이 활용되는 이유는 불특정 다수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도시공원이 타 디자인 분야에 비해 프로그램을 생산하는 기획적 특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대상지 속성이 전적으로 설계개념 유형에 영향을 준다고 보기 어려운데 설계개념은 대상지의 객관적 속성을 설계가가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복합적이며 창의적인 과정의 결과이며, 특히 설계공모의 경우 공모지침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조경설계 과정에서 심도 있게 논의되지 않았던 설계개념을 유형화하여 설계창작과정과 설계작품 비평에 유용한 틀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근현 ; 배정한,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설계공모에 나타난 대형 공원의 설계 전략" 한국조경학회 36 (36): 13-25, 2008

      2 김아연, "조경설계 스튜디오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한국조경학회 38 (38): 9-24, 2010

      3 소진 ; 성종상 ; 배정한,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 출품작에 나타난 프로세스적 설계 분석" 한국조경학회 41 (41): 11-26, 2013

      4 구본덕, "설계대지가 건축 과제설계 개념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73-80, 2006

      5 박선희 ; 배정한, "설계 쟁점에 따른 한국 대형 공원 설계의 비판적 분석" 국토연구원 76 : 65-80, 2013

      6 주신하 ; 김영희, "도시공원 이용자의 설계개념 인식정도 - 서울숲공원, 여의도공원, 선유도공원을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38 (38): 53-63, 2010

      7 이주희 ; 조세환, "델파이 분석을 통한 조경설계공모 과정의 문제점 분석" 한국조경학회 41 (41): 83-93, 2013

      8 안승홍, "기억에 기반한 조경설계의 개념 형상화 유형" 한국조경학회 45 (45): 171-184, 2017

      9 구본덕, "과제설계의 개념설정과 형태도출과정에 나타나는 유추적 사고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9 (29): 31-38, 2013

      10 구본덕, "과제설계시의 건축설계개념의 발전 및 변환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73-80, 2006

      1 박근현 ; 배정한,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설계공모에 나타난 대형 공원의 설계 전략" 한국조경학회 36 (36): 13-25, 2008

      2 김아연, "조경설계 스튜디오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한국조경학회 38 (38): 9-24, 2010

      3 소진 ; 성종상 ; 배정한,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 출품작에 나타난 프로세스적 설계 분석" 한국조경학회 41 (41): 11-26, 2013

      4 구본덕, "설계대지가 건축 과제설계 개념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73-80, 2006

      5 박선희 ; 배정한, "설계 쟁점에 따른 한국 대형 공원 설계의 비판적 분석" 국토연구원 76 : 65-80, 2013

      6 주신하 ; 김영희, "도시공원 이용자의 설계개념 인식정도 - 서울숲공원, 여의도공원, 선유도공원을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38 (38): 53-63, 2010

      7 이주희 ; 조세환, "델파이 분석을 통한 조경설계공모 과정의 문제점 분석" 한국조경학회 41 (41): 83-93, 2013

      8 안승홍, "기억에 기반한 조경설계의 개념 형상화 유형" 한국조경학회 45 (45): 171-184, 2017

      9 구본덕, "과제설계의 개념설정과 형태도출과정에 나타나는 유추적 사고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9 (29): 31-38, 2013

      10 구본덕, "과제설계시의 건축설계개념의 발전 및 변환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73-80, 2006

      11 구본덕, "과제설계시의 건축설계개념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65-72, 2006

      12 장재호 ; 김단영 ; 신민지 ; 신지훈, "공원이용자의 설계개념과 설계전략에 대한 인식이 공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광교신도시의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5 (45): 82-93, 2017

      13 이정만, "개념설계단계에서 설계주제와 설계개념의 정의와 역할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3-10, 2006

      14 류임우, "設計競技 作品分析을 통한 建築디자인 槪念 分析 - 醫療福祉施設에 적용된 디자인 槪念 分析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0 (10): 57-64, 2008

      15 Pae, J. H., "Yongsan Park: Yongsan Park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Critic" Namudosi 14-33, 2013

      16 Lee, S. M., "Yongsan Park: Yongsan Park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Critic" Namudosi 170-179, 2013

      17 Sharky, B., "Thinking about Landscape Architecture : Principles of a Design Profession for the 21st Century" Routledge 2016

      18 Pae, J. H., "Theory and Critical Practice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Jokyung 2004

      19 Jeong, W. J., "The highline open space design competition" 205 : 122-128, 2005

      20 Pae, J. H., "The bridle of the park : Reading the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for Gwanggyo lakeside park" 249 : 132-135, 2009

      21 Yoon, H. Y., "The Highline section 1" 255 : 58-71, 2009

      22 Jeong, W. J., "Studio101, story of landscape design : Program is air" 253 : 160-165, 2009

      23 Kim, A. Y., "Studio101, story of landscape design : Design concept, from volatile to tactile" 253 : 172-177, 2009

      24 Chin, Y., "Some Thoughts From the Outdoors" Jokyung 2013

      25 Lynch, K., "Site Planning(3rd ed)" The MIT Press 1984

      26 LaGro, J., "Site Analysis : Informing Context-Sensitive and Sustainable Site Planning and Design" John Wiley & Sons 2013

      27 Berrizbeitia, A., "Re-placing process"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87-120, 2007

      28 Cho, H. K., "Queen Hur memorial park design competition, India" 344 : 70-83, 2016

      29 North, A., "Processing Downsview Park : Transforming a theoretical diagram to master plan and construction reality" 7 (7): 8-19, 2012

      30 Kim, M., "Pershing square renew" 339 : 62-87, 2016

      31 Zoh, K., "Paranoia : The obsession of the meaning of the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design" 2 : 131-147, 2000

      32 Lee, J. H., "My First Landscape Architecture" Ilchokak 20-55, 2020

      33 Kim, A. Y., "My First Landscape Architecture" Ilchokak 206-235, 2020

      34 Choi, J. M.,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Era of Design Competition" Jokyung 10-25, 2008

      35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Korean Standard Dictionary"

      36 Kim, Y. D., "Introduction to Landscape Architecture" Kimoondang 1999

      37 Lee, H. J.,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rehabilitation of Mapo oil depot into a cultural depot park" 318 : 54-73, 2014

      38 Reid, G. W., "From Concept to Form in Landscape Design" John Wiley & Sons 2007

      39 Balmori Associates and H Associates, "Flat city, link city, zero city : International master plan competi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town" 227 : 90-119, 2007

      40 Czerniak, J., "Downsview Park Torono" Prestel Verlag 12-23, 2001

      41 Parthenois, P., "Conceptual Design for Architects" Harvard University. 2005

      42 White, E. T., "Concept Source Book : A vocabulary of Architectural Forms" Architectural Media 1975

      43 Kim, Y. M., "Competition review : Orange County Great Park design competition" 255 : 138-149, 2009

      44 Kim, Y. M., "Competition review : Master plan design competition for Shelby Farms Park" 251 : 148-157, 2009

      45 Kim, Y. M., "Competition review : Lower Don Lands innovative design competition" 253 : 142-151, 2009

      46 Shih, C. M., "Between concept and form, learning from case studies" 3 (3): 217-221, 2004

      47 Baek, J. H., "Analysis on imitation controversy" 222 : 126-133, 2006

      48 Heo, J. H., "Analysis of the Changing Process of Urban Park Programs : The Case of Seoul Forest Park" University of Seoul 2015

      49 Bae, S. H., "A Study on the Indeterminate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s" University of Seoul 2007

      50 Wi, J. S., "A Study on Korean Contemporary Park Design Trends : In the Case of Park Competition Works of the 1990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