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낙동강수계 물환경측정망 자료를 이용한 비모수적 수질 경향 비교 및 분석 = A Non-parametric Trend Analysis of Water Quality Using Water Environment Network Data in Nakdong Riv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44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국내 주요 공공수역은 국가차원 아래 체계적인 물환경 관리가 되어왔고, 특히 하천, 호소 등 생 태계의 실태파악 및 대응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이루어져 왔다. 그 중, 수질측정망은 수질 측정 주기가 8일에서 한 달 주기로 조사되는 반면, 자동측정망의 경우, 실시간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일 데 이터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측정망 자료를 활용하여 동일한 수질항목에 대해 추세변화를 분석하고 통계적 방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Mann-kendall test 결과 Water Temperature (WT)와 DO는 모든 지점 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TOC에서는 4개 지점, TN은 2개 지점, TP는 3개 지점, Water Temperature (WT)는 7개 지점, pH는 2개 지점, EC는 5개 지점, DO는 6개 지점에서 동일한 추세 경향을 보였다. LOWESS 분석 결과, TOC와 pH의 측정망 결과는 서로 다른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점별, 항목간 상관관계 분석결과에 따르면 안동댐하류-안동1 지점에서는 TP, 도개-산곡 지점에서는 TOC, 고령(자동)-고령 지점에서는 pH, 적포-창녕 지점에서는 TP, 감천-감천2-1 지점에서 는 TN, TP, pH, EC, DO 항목을 제외하고 나머지 항목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그리고 신암-상주2 지점과 남강-남강4 지점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 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번역하기

      현재 국내 주요 공공수역은 국가차원 아래 체계적인 물환경 관리가 되어왔고, 특히 하천, 호소 등 생 태계의 실태파악 및 대응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현재 국내 주요 공공수역은 국가차원 아래 체계적인 물환경 관리가 되어왔고, 특히 하천, 호소 등 생 태계의 실태파악 및 대응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이루어져 왔다. 그 중, 수질측정망은 수질 측정 주기가 8일에서 한 달 주기로 조사되는 반면, 자동측정망의 경우, 실시간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일 데 이터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측정망 자료를 활용하여 동일한 수질항목에 대해 추세변화를 분석하고 통계적 방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Mann-kendall test 결과 Water Temperature (WT)와 DO는 모든 지점 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TOC에서는 4개 지점, TN은 2개 지점, TP는 3개 지점, Water Temperature (WT)는 7개 지점, pH는 2개 지점, EC는 5개 지점, DO는 6개 지점에서 동일한 추세 경향을 보였다. LOWESS 분석 결과, TOC와 pH의 측정망 결과는 서로 다른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점별, 항목간 상관관계 분석결과에 따르면 안동댐하류-안동1 지점에서는 TP, 도개-산곡 지점에서는 TOC, 고령(자동)-고령 지점에서는 pH, 적포-창녕 지점에서는 TP, 감천-감천2-1 지점에서 는 TN, TP, pH, EC, DO 항목을 제외하고 나머지 항목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그리고 신암-상주2 지점과 남강-남강4 지점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 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outh Korea, major public waters have been systematic management under national level. Water environment network has been continuous monitoring for change of aquatic ecosystem, river and reservoir. In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the data have been generally monitored Per eight days or month, while in Automatic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the data have been monitored at daily intervals. Therefore, we were compared and analyzed water quality data between the networks using statistic method for same water quality item. Mann-kendall test results confirm that all points in Water Temperature (WT) and DO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is significant variation of TOC in the four different sites, TN in two different sites, TP in three different sites, WT in seven different sites, pH in two different sites between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and Automatic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As a result firm LOWESS, TOC and pH clearly shows different trend. Among different sites, the water quality show th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t Sinam-Sangju2 and Namgang-Namgang4. Negative correlation significantly appeared in TP (ADD_Lower-AD1 site), TOC (DG-SG site), pH (GR-GR site), TP (JP-CN) and TN, TP, pH, EC, DO (GC-GC2-1 site).
      번역하기

      In South Korea, major public waters have been systematic management under national level. Water environment network has been continuous monitoring for change of aquatic ecosystem, river and reservoir. In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the data hav...

      In South Korea, major public waters have been systematic management under national level. Water environment network has been continuous monitoring for change of aquatic ecosystem, river and reservoir. In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the data have been generally monitored Per eight days or month, while in Automatic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the data have been monitored at daily intervals. Therefore, we were compared and analyzed water quality data between the networks using statistic method for same water quality item. Mann-kendall test results confirm that all points in Water Temperature (WT) and DO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is significant variation of TOC in the four different sites, TN in two different sites, TP in three different sites, WT in seven different sites, pH in two different sites between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and Automatic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As a result firm LOWESS, TOC and pH clearly shows different trend. Among different sites, the water quality show th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t Sinam-Sangju2 and Namgang-Namgang4. Negative correlation significantly appeared in TP (ADD_Lower-AD1 site), TOC (DG-SG site), pH (GR-GR site), TP (JP-CN) and TN, TP, pH, EC, DO (GC-GC2-1 sit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건, "합천호 상류수계의 수질인자간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대한환경공학회 35 (35): 94-100, 2013

      2 오제승, "상관성을 가진 시계열 자료의 경향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 6 (6): 35-43, 2004

      3 김주화, "비모수 통계기법을 이용한 낙동강 수계의 수질 장기 경향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20 (20): 63-71, 2004

      4 류범수, "만경강 유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모의를 통한 새만금 만 유입부의 수질 예측" 대한상하수도학회 27 (27): 761-770, 2013

      5 조현경, "낙동강유역의 하수처리장 방류수와 인접 하류하천의 수질상관관계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34 (34): 202-209, 2018

      6 김미아, "낙동강 수계의 수질오염총량 자료를 이용한 비모수적 수질추세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33 (33): 40-50, 2017

      7 강동환, "낙동강 본류에서 장기관측 자료를 이용한 DO, BOD, COD와 그 영향인자의 상관관계 및 TOC 분해율" 한국환경과학회 28 (28): 465-474, 2019

      8 김종태, "낙동강 본류 측정소들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수치에 대한 비모수적 회귀분석과 특이점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5 (25): 119-130, 2014

      9 정강영, "계절 맨-켄달 기법을 이용한 금호강 본류 BOD의 장기 경향 분석 및 탐색적 자료 분석" 한국환경과학회 25 (25): 217-229, 2016

      10 윤정혜, "계절 Mann-Kendall 검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월별 수질 장기 경향성 분석" 한국농공학회 57 (57): 153-162, 2015

      1 박현건, "합천호 상류수계의 수질인자간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대한환경공학회 35 (35): 94-100, 2013

      2 오제승, "상관성을 가진 시계열 자료의 경향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 6 (6): 35-43, 2004

      3 김주화, "비모수 통계기법을 이용한 낙동강 수계의 수질 장기 경향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20 (20): 63-71, 2004

      4 류범수, "만경강 유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모의를 통한 새만금 만 유입부의 수질 예측" 대한상하수도학회 27 (27): 761-770, 2013

      5 조현경, "낙동강유역의 하수처리장 방류수와 인접 하류하천의 수질상관관계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34 (34): 202-209, 2018

      6 김미아, "낙동강 수계의 수질오염총량 자료를 이용한 비모수적 수질추세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33 (33): 40-50, 2017

      7 강동환, "낙동강 본류에서 장기관측 자료를 이용한 DO, BOD, COD와 그 영향인자의 상관관계 및 TOC 분해율" 한국환경과학회 28 (28): 465-474, 2019

      8 김종태, "낙동강 본류 측정소들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수치에 대한 비모수적 회귀분석과 특이점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5 (25): 119-130, 2014

      9 정강영, "계절 맨-켄달 기법을 이용한 금호강 본류 BOD의 장기 경향 분석 및 탐색적 자료 분석" 한국환경과학회 25 (25): 217-229, 2016

      10 윤정혜, "계절 Mann-Kendall 검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월별 수질 장기 경향성 분석" 한국농공학회 57 (57): 153-162, 2015

      11 Chen Y, "Water quality monitoring in smart city: A pilot project" Eslevier 89 : 307-316, 2018

      12 Ministry of Environment(MOE), "Water Quality Monitoring Program, 11-1480000-001481-14"

      13 Ministry of Environment (MOE),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WEIS)"

      14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15 Hirsch RM, "Techniques of trend analysis for monthly water quality dat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8 (18): 107-121, 1982

      16 Hassan SHA, "Real-time monitoring of water quality of stream water using sulfuroxidizing bacteria as bio-indicator" Elsevier 223 : 58-63, 2019

      17 Kendall MG, "Rank correlation methods"

      18 Mann H, "Nonparametric tests against trend" The Econometric Society 13 (13): 245-259, 1945

      19 Kim JH, "Non-parametric trend analysis of stream quality in Nakdong River" Ewha Womans University 2001

      20 남태경, "Mann-Kendall 검정을 통한 대전 3대하천의 수질경향 분석"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21 Jacoby WG, "Loess: a nonparametric, graphical tool for depicting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19 : 577-613, 2000

      22 Cleveland WS, "Locally weighted regression: An approach to regression analysis by local fitting" American Statistician Association 83 : 596-610, 1988

      23 Ministry of Environment(MOE), "Development of Data Open System of Automatic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and the Study of Real-time Monitoring technique" Ministry of Environment 7-30, 2012

      24 Park JH, "A study on evaluating uncertainty values of the fundamental measurements in Nakdong River National Water Quality Auto-measurement Syste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2

      25 Hirsch RM, "A nonparametric trend test for seasonal data with serial dependenc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 (20): 727-732, 1984

      26 Tew KS, "A continuous, real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the coral reef ecosystems of Nanwan Bay, Southern Taiwan" Elsevier 85 : 641-647,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3 0.59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