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알칼리 활성화 3성분계 혼합시멘트의 염해 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loride Attack Resistibility of Alkali-Activated Ternary Blended Cement Concre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4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활용한 3성분계 혼합시멘트는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내구성 확보 등의 이유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활용한 3성분계 혼합시멘트는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내구성 확보 등의 이유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4:4:2로 혼합한 3성분계 시멘트에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Modified Alkali Sulfate type)를 1.5~2.0% 사용할 때, NT Build 492에 의한 염화물 확산 시험과 ASTM C 1202( KS F 2271)에 의한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염해저항성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의 활용에 따라 Plain 대비 슬럼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재령 2일부터 재령 7일까지의 압축강도는 17~42% 향상되었다. 또한 재령 28일에 측정한 염화물 확산 계수는 알칼리 설페이트의 활용에 따라 Plain 대비 36~56% 감소하였으며,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에 따른 총통과전하량은 재령 7일은 33~62%, 재령 28일은 31~48%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알칼리 활성화에 의해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공극이 더욱 치밀해진 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와 관련하여 장기재령의 시험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과 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se of ternary blended cement consisting of Portland cement,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GGBFS) and fly ash has been on the rise to improve marine concrete structure's resistance to chloride attack.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

      The use of ternary blended cement consisting of Portland cement,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GGBFS) and fly ash has been on the rise to improve marine concrete structure's resistance to chloride attack.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chloride attack resistibility of concrete through NT Build 492-based chloride migration experiments and test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under ASTM C 1202(KS F 2271) when 1.5-2.0% of alkali-sulfate activator (modified alkali sulfate type) was added to the ternary blended cement mixtures (40% ordinary Portland cement + 40% GGBFS + 20% fly ash). Then,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Even though the slump for the plain concrete slightly declined depending on the use of the alkali-sulfate activator, compressive strength from day 2 to day 7 improved by 17-42%. In addition, the coefficient from non-steady-state migration experiments for the plain concrete measured at day 28 decreased by 36-56% depending on the use of alkali-sulfate. Furthermore, total charge passed according to the test for electrical indication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decreased by 33-62% at day 7 and by 31-48% at day 28. As confirmed in previous studies, reactivity in the GGBFS and fly ash improved because of alkali activation. As a result, concrete strength increased due to reduced total poros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두선, "염소이온의 확산계수와 콘크리트의 기초물성과의 관계" 한국방재학회 9 (9): 15-20, 2009

      2 장영일, "실험계획법에 의한 다성분계 혼합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염화물 확산계수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8 (28): 165-174, 2011

      3 송하원, "삼성분계 혼합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 저항성 및 내구성에 대한 고찰" 한국콘크리트학회 20 (20): 439-449, 2008

      4 배수호, "광물질 혼화재가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확산계수에 미치는 영향" 대한토목학회 29 (29): 347-353, 2009

      5 류동우,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대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중성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2 (12): 393-400, 2012

      6 류동우,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대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염해 및 동결융해 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2 (12): 315-322, 2012

      7 양완희,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대량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조기강도 및 길이변화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3 (13): 391-399, 2013

      8 배준영, "결합재 종류에 따른 해양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 염화물 확산 및 단열온도 상승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25 (25): 411-418, 2013

      9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Testing method for electrical indication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KS F 2711]"

      10 Hester D, "Study of influence of slag alkali level on the alkali-silica reactivity of slag concrete" 19 (19): 661-665, 2005

      1 최두선, "염소이온의 확산계수와 콘크리트의 기초물성과의 관계" 한국방재학회 9 (9): 15-20, 2009

      2 장영일, "실험계획법에 의한 다성분계 혼합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염화물 확산계수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8 (28): 165-174, 2011

      3 송하원, "삼성분계 혼합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 저항성 및 내구성에 대한 고찰" 한국콘크리트학회 20 (20): 439-449, 2008

      4 배수호, "광물질 혼화재가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확산계수에 미치는 영향" 대한토목학회 29 (29): 347-353, 2009

      5 류동우,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대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중성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2 (12): 393-400, 2012

      6 류동우,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대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염해 및 동결융해 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2 (12): 315-322, 2012

      7 양완희,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대량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조기강도 및 길이변화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3 (13): 391-399, 2013

      8 배준영, "결합재 종류에 따른 해양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 염화물 확산 및 단열온도 상승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25 (25): 411-418, 2013

      9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Testing method for electrical indication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KS F 2711]"

      10 Hester D, "Study of influence of slag alkali level on the alkali-silica reactivity of slag concrete" 19 (19): 661-665, 2005

      11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r Concrete [KS F 2405]"

      12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Standard Test Method for Air Content of Fresh Concrete by the Pressure Method:Air Receiver Method [KS F 2421]"

      13 Neville AM, "Properties of Concrete" Prentice Hall 482-536, 1995

      14 "Nordtest Method. Concrete, Mortar and Cement-Based Repair Materials [NT-BUILD 492]"

      15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Method of Test For Slump of Concrete [KS F 2402]"

      16 Ismail I, "Influence of fly ash on the water and chloride permeability of alkali-acticated slag mortars and concretes" 13 : 1187-1201, 2013

      17 Saraswathy V, "Influence of activated fly ash on corrosion-resistance and strength of concrete" 25 (25): 673-680, 2003

      18 Suryavanshi AK, "Estimation of Diffusion Coefficients for Chloride Ion Penetration into Structural Concrete" 99 (99): 441-449, 2002

      19 Ravikumar D, "Electrically induced chloride ion transport in alkali acticated slag concretes and the influence of microstructure" 47 : 31-42, 2012

      20 Elfmarkova V, "Determination of chloride coefficient in blended cement mortars" 78 : 190-199, 2015

      21 Korea Concrete Institute, "Curing Concrete" Kimoondang 101-102, 2010

      22 Miranda JM, "Corrosion resistance in activated fly ash mortars" 35 (35): 1210-1217, 2005

      23 Mehta PK, "Concrete, Microstructure, Properties, and Materials" McGraw Hill 176-183, 2006

      24 Lee CY, "Comparison of Test Methods for Evaluation of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in Concrete" 20 (20): 581-584, 2008

      25 Roy DM, "Chloride diffusion in ordinary, blended, and alkali-activated cement pastes and its relation to other properties" 30 (30): 1879-1884, 2000

      26 Taylor HFW, "Cement chemistry" Thomas Telford Publishing Company Ltd 236-237, 1990

      27 "Annual Book of ASTM Standard. Electrical Indication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C1202]"

      28 Leng F, "An experiment study on the properties of resistance to diffusion of chloride ions of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concrete" 30 : 989-992, 2000

      29 Roy D, "Alkali-activated cement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9 (29): 249-254, 1999

      30 Shi C, "Alkali-Activated Cement and Concretes" Taylor & Francis 1-4, 2006

      31 "ACI Committee 226.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as cementations constituent in concrete" 84 (84): 327-342, 1987

      32 Yang WH, "A study of the effect of light-burnt dolomite on the hydration of alkali-activated Portland blast-furnace slag cement" 57 : 24-29,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463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