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매체유형에 따른 독일이미지의 재현양식에 관한 연구 영화와 광고 속 독일이미지의 텍스트-기호학적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Eine text-semiotische Untersuchung zum Reprasentationsstil des deutschen Images anhand von verschiedenen Medientyp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독일이미지의 매체별 재현현상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매체의 존재론적 특징을 텍스트언어학의 절차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기술하고, 기호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매체에 투영된 독일이미지의 의미를 읽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영화와 광고라는 상이한 대중매체를 선택하고, 이들 매체가 지니는 텍스트종류적 특성에 기반하여 독일이미지가 어떻게 재현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국 본 논문은 매체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재현되는 독일이미지에 대한 수용자 인식을 매체 인문학의 시각에서 읽어내면서, 대상인식과 표현매체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데 일차적 목표를 두고 있다 하겠다. 무엇보다도 본 논문은 일정한 지시성을 갖는다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매체에 따라 상이한 상징적 세계를 만들어내고, 의사소통, 교환, 상호 이해를 지향하고 있음에 주목하면서 미디어 기반 지식정보 사회에서의 독일이미지에 대한 매체 텍스트-기호학적 분석과 설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독일이미지의 매체별 재현현상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매체의 존재론적 특징을 텍스트언어학의 절차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기술하고, 기호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매체에 투영...

      본 논문은 독일이미지의 매체별 재현현상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매체의 존재론적 특징을 텍스트언어학의 절차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기술하고, 기호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매체에 투영된 독일이미지의 의미를 읽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영화와 광고라는 상이한 대중매체를 선택하고, 이들 매체가 지니는 텍스트종류적 특성에 기반하여 독일이미지가 어떻게 재현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국 본 논문은 매체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재현되는 독일이미지에 대한 수용자 인식을 매체 인문학의 시각에서 읽어내면서, 대상인식과 표현매체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데 일차적 목표를 두고 있다 하겠다. 무엇보다도 본 논문은 일정한 지시성을 갖는다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매체에 따라 상이한 상징적 세계를 만들어내고, 의사소통, 교환, 상호 이해를 지향하고 있음에 주목하면서 미디어 기반 지식정보 사회에서의 독일이미지에 대한 매체 텍스트-기호학적 분석과 설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s vorliegende Papier zielt darauf ab, die strukturelle Beziehung zwischen Objekterkennung und Reprasentationsmedien zu verstehen und dabei die Wahrnehmung des Rezipienten in Bezug auf das deutsche Image zu verstehen, das je nach medialem Wandel unter humanistischen Gesichtspunkten unterschiedlich reproduziert wird. Insbesondere versucht dieses Papier die Moglichkeiten zu erklaren, die deutschen Images zu interpretieren, die durch die Medien reproduziert werden. Dafur werden hier Filme und Werbungen als Untersuchungsgegenstande ausgewahlt. Zu diesem Zweck werden in diesem Beitrag die ontologischen Merkmale von Medien mit Hilfe textlinguistischer Ansatze beschrieben und versucht, die Bedeutung von medial reproduzierten deutschen Images mittels semiotischer Methoden zu verstehen.
      번역하기

      Das vorliegende Papier zielt darauf ab, die strukturelle Beziehung zwischen Objekterkennung und Reprasentationsmedien zu verstehen und dabei die Wahrnehmung des Rezipienten in Bezug auf das deutsche Image zu verstehen, das je nach medialem Wandel unte...

      Das vorliegende Papier zielt darauf ab, die strukturelle Beziehung zwischen Objekterkennung und Reprasentationsmedien zu verstehen und dabei die Wahrnehmung des Rezipienten in Bezug auf das deutsche Image zu verstehen, das je nach medialem Wandel unter humanistischen Gesichtspunkten unterschiedlich reproduziert wird. Insbesondere versucht dieses Papier die Moglichkeiten zu erklaren, die deutschen Images zu interpretieren, die durch die Medien reproduziert werden. Dafur werden hier Filme und Werbungen als Untersuchungsgegenstande ausgewahlt. Zu diesem Zweck werden in diesem Beitrag die ontologischen Merkmale von Medien mit Hilfe textlinguistischer Ansatze beschrieben und versucht, die Bedeutung von medial reproduzierten deutschen Images mittels semiotischer Methoden zu versteh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도, "현대 기호학 강의" 민음사 1998

      2 백선기,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3 신항식, "시각영상기호학" 나남출판 2005

      4 차배근, "설득 커뮤니케이션 개론" 나남출판 1992

      5 이한우,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2002

      6 김덕영, "문화이론" 도서출판 길 2007

      7 이주봉, "독일과 한국에서의 독일이미지 비교 연구 - 2006년 독일월드컵에 대한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55 (55): 365-393, 2012

      8 이화자, "광고표현론" 나남출판 1998

      9 오장근, "광고텍스트의 전략적 이해" 한국독어학회 1 : 287-311, 1999

      10 오장근, "광고와 언어학" 한국독일어문학회 12 : 355-385, 2000

      1 김성도, "현대 기호학 강의" 민음사 1998

      2 백선기,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3 신항식, "시각영상기호학" 나남출판 2005

      4 차배근, "설득 커뮤니케이션 개론" 나남출판 1992

      5 이한우,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2002

      6 김덕영, "문화이론" 도서출판 길 2007

      7 이주봉, "독일과 한국에서의 독일이미지 비교 연구 - 2006년 독일월드컵에 대한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55 (55): 365-393, 2012

      8 이화자, "광고표현론" 나남출판 1998

      9 오장근, "광고텍스트의 전략적 이해" 한국독어학회 1 : 287-311, 1999

      10 오장근, "광고와 언어학" 한국독일어문학회 12 : 355-385, 2000

      11 이현우, "광고와 언어"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12 Sowinski, Bernhard, "Werbung" Niemeyer 1998

      13 Bechstein, Gabriele, "Werbliche Kommunikation" 1987

      14 Januschek, Franz, "Werbesprache erklärt aus ihren Funktionen und ihren Rezeptionsbedingungen" 51 : 241-260, 1974

      15 Janich, Nina, "Werbesprache" Ein Arbeitsbuch 1999

      16 Bendel, Sylvia, "Werbeanzeigen von 1622-1798. Entstehung und Entwicklung einer Textsorte" Niemeyer 1998

      17 Kroeber, Werner R., "Strategie und Technik der Werbung. Verhaltenswissenschaftliche Ansätze" 1990

      18 Adamzik, Kirsten, "Satz-Text-Diskurs. Akten des 27. Linguistischen Kolloquiums" Tübingen 175-180, 1994

      19 Kotler, Philip, "Marketing Management" Prentice-Hall 1988

      20 Brinker, K., "Linguistische Textanalyse, Eine Einfűhrung in Grundbegriffe und Methoden" 1988

      21 Dunn, S. Watson, "Its Role in Modern Marke- ting" The Dryden Press 1982

      22 Dunn, S. Watson, "International Handbook of Advertising" McGraw-Hill 1964

      23 Barthes, Roland, "Günter Schiwy: Der französische Strukturalismus" 158-166, 1969

      24 Beaugrande, Robert-A. de, "Einführung in die Textlinguistik" Niemeyer 1981

      25 Baumgart, Manuela, "Eine linguistische Analyse aktueller Werbeslogans" 1992

      26 Römer, Ruth, "Die Sprache der Anzeigewerbung" 1968

      27 Fritz, Thomas, "Die Botschaft der Markenartikel. Vertextungsstra- tegien in der Werbung" Stauffenburg 1994

      28 Oh, Jang-Geun, "Das strategische Textverstehen. Theoretische Grund- lagen, Methode und Anwendung des strategischen Textverstehens" 1999

      29 Bovee, L. Courtland, "Contemporary Advertising" Irwin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독일언어문학연구회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영문명 : Koreanische Gesellschaft FÜ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 Koreanische Gesellschaft fue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1 0.505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