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제국/민족 담론의 경계와 식민지적 주체 - 1940년대 이태준 ‘문학’에 나타난 혼종성 = The boundary of imperial/national discourses and the colonial subject - the hybridity of Tae-Joon Lee's literary works in 194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653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til now Tae-Joon Lee’s literary works have been usually studied in the context of the ‘cultural nationalism.’ It is, however, not that the intellectuals’ identit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re able to be seen so simply. How was ‘Chosun’s national culture’ established and by what kind of logic was it worked in colonial Chosun which was placed in the inside of the boundary of the Japanese Empire that took advantage of the ‘national culture’ under the project of nationalism and totalitarianism? Tae-Joon Lee’s literary works written between 1940 and directly after Korean independence show that the imperial discourse is compatible with the discourse on the ‘national culture’ without visibility and contradiction and the boundaries of the discourses can overlap each other as long as Chosun’s tradition, the national culture, and resistance have all the same meaning. Being based on ‘Oriental tradition’, antimodernistic orientation creates the original sentimen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people in Chosun can sympathize with; it is not only one of elements of Tae-Joon Lee’s literary works before Korean independence but an important item for the foundation of the new national literature after Korean independence. This paper intends to study out the middle-class intellectuals’ hybrid identities - overlap of empire and nation - during the colonial period by researches on Tae-Joon Lee’s literary works.
      번역하기

      Until now Tae-Joon Lee’s literary works have been usually studied in the context of the ‘cultural nationalism.’ It is, however, not that the intellectuals’ identit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re able to be seen so simply. How was ‘Chosu...

      Until now Tae-Joon Lee’s literary works have been usually studied in the context of the ‘cultural nationalism.’ It is, however, not that the intellectuals’ identit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re able to be seen so simply. How was ‘Chosun’s national culture’ established and by what kind of logic was it worked in colonial Chosun which was placed in the inside of the boundary of the Japanese Empire that took advantage of the ‘national culture’ under the project of nationalism and totalitarianism? Tae-Joon Lee’s literary works written between 1940 and directly after Korean independence show that the imperial discourse is compatible with the discourse on the ‘national culture’ without visibility and contradiction and the boundaries of the discourses can overlap each other as long as Chosun’s tradition, the national culture, and resistance have all the same meaning. Being based on ‘Oriental tradition’, antimodernistic orientation creates the original sentimen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people in Chosun can sympathize with; it is not only one of elements of Tae-Joon Lee’s literary works before Korean independence but an important item for the foundation of the new national literature after Korean independence. This paper intends to study out the middle-class intellectuals’ hybrid identities - overlap of empire and nation - during the colonial period by researches on Tae-Joon Lee’s literary wor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이태준 문학에 대한 연구는 이태준 문학을 주로 ‘문화적 민족주의’의 맥락에서 묘사해 왔다. 그러나 식민지 시기 지식인들의 정체성은 그렇게 단일하게만 바라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민족문화’를 국가주의, 전체주의의 기획 속에서 활용하고 있던 일본 제국의 경계 내부에 위치한 식민지 조선에서, ‘조선 민족 문화’라는 것은 어떻게 설정되고 어떤 논리로 작동된 것일까. ‘조선적 전통=민족문화=저항적’이라는 도식 위에서는 제국이 용인하고 심지어는 권장하기까지 하는 ‘민족문화’를 둘러싼 중층적인 담론은 보이지 않는다. 제국의 담론과 민족문화의 경계가 겹쳐질 수 있음을 40년 이후부터 해방 직후까지의 이태준 문학은 보여주고 있다. ‘동양적 전통’에 기반하여 ‘조선’인이 공감할 수 있는 근원적인 정서와 미의식을 창출하는 반근대주의 지향성은 해방 전 이태준 문학을 구성하는 요소이자, 동시에 해방 이후 새로운 민족(국가)문학을 정립하면서 참조한 중요한 항목들이다. 제국과 내이션의 겹침, 중층적인 식민지 지식인의 혼종적 정체성은 이태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구명되어야 할 한국 근대 문학의 한 중요한 특징이다.
      번역하기

      지금까지 이태준 문학에 대한 연구는 이태준 문학을 주로 ‘문화적 민족주의’의 맥락에서 묘사해 왔다. 그러나 식민지 시기 지식인들의 정체성은 그렇게 단일하게만 바라볼 수 있는 것은 ...

      지금까지 이태준 문학에 대한 연구는 이태준 문학을 주로 ‘문화적 민족주의’의 맥락에서 묘사해 왔다. 그러나 식민지 시기 지식인들의 정체성은 그렇게 단일하게만 바라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민족문화’를 국가주의, 전체주의의 기획 속에서 활용하고 있던 일본 제국의 경계 내부에 위치한 식민지 조선에서, ‘조선 민족 문화’라는 것은 어떻게 설정되고 어떤 논리로 작동된 것일까. ‘조선적 전통=민족문화=저항적’이라는 도식 위에서는 제국이 용인하고 심지어는 권장하기까지 하는 ‘민족문화’를 둘러싼 중층적인 담론은 보이지 않는다. 제국의 담론과 민족문화의 경계가 겹쳐질 수 있음을 40년 이후부터 해방 직후까지의 이태준 문학은 보여주고 있다. ‘동양적 전통’에 기반하여 ‘조선’인이 공감할 수 있는 근원적인 정서와 미의식을 창출하는 반근대주의 지향성은 해방 전 이태준 문학을 구성하는 요소이자, 동시에 해방 이후 새로운 민족(국가)문학을 정립하면서 참조한 중요한 항목들이다. 제국과 내이션의 겹침, 중층적인 식민지 지식인의 혼종적 정체성은 이태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구명되어야 할 한국 근대 문학의 한 중요한 특징이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anghur Hakbo-The Jou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Lear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KCI등재
      2020-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Leaned Society of sanghur`s Literature -> Sanghur Hakbo: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1 2.23 0.9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