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가정환경 요인과 폭력행동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거제시 O동의 청소년 남녀 430명을 대상으로 2014년 3월5일 부터 7월 2일 까지 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06812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00-307(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가정환경 요인과 폭력행동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거제시 O동의 청소년 남녀 430명을 대상으로 2014년 3월5일 부터 7월 2일 까지 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가정환경 요인과 폭력행동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거제시 O동의 청소년 남녀 430명을 대상으로 2014년 3월5일 부터 7월 2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는 가족의 지지 정도에 따라 폭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 모의 지지와 의사소통, 모의 민주적 양육태도는 자살생각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폭력행동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청소년의 폭력행동이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youth home environment on violent behavior and suicidal though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5, 2014 to July 02 on a juvenile male and female target group of 430 people subjects. Frequency analysis, f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youth home environment on violent behavior and suicidal though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5, 2014 to July 02 on a juvenile male and female target group of 430 people subject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 18.0 with verification at the 5% significant leve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pport of the father had a negative influence on violent behavior. Second, the support of both the father and mother, communication with the father and mother, and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suicidal thoughts. Third, the youth’s violent behavior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icidal thoughts. This study provides essential data for making polices to resolve the youth crisis behavior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엽,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83-110, 2014
2 김하강,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을 위한 상호작용적 영화치료프로그램 개발" 인문과학연구소 (29) : 325-350, 2011
3 김혜성, "청소년의 학대경험과 자살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91-217, 2009
4 홍세희, "청소년의 폭력 빈도 변화의 잠재계층에 대한 준모수적 집단 중심 방법의 적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175-195, 2011
5 홍영수,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대한 생활스트레스 및 자기존중감의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15): 153-182, 2004
6 박은옥, "청소년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8 (38): 465-473, 2008
7 김진주, "청소년의 스트레스, 부모-자녀 의사소통, 우울 및 자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 (20): 251-270, 2012
8 박현숙, "청소년을 위한 통합적 자살∙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38 (38): 513-521, 2008
9 이미리, "청소년기 스트레스와 폭력행동의 관계에 대한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5 (15): 57-65, 2007
10 모지환, "자살행동 영향 요인: 성별, 연령별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121-145, 2011
1 김재엽,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83-110, 2014
2 김하강,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을 위한 상호작용적 영화치료프로그램 개발" 인문과학연구소 (29) : 325-350, 2011
3 김혜성, "청소년의 학대경험과 자살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91-217, 2009
4 홍세희, "청소년의 폭력 빈도 변화의 잠재계층에 대한 준모수적 집단 중심 방법의 적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175-195, 2011
5 홍영수,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대한 생활스트레스 및 자기존중감의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15): 153-182, 2004
6 박은옥, "청소년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8 (38): 465-473, 2008
7 김진주, "청소년의 스트레스, 부모-자녀 의사소통, 우울 및 자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 (20): 251-270, 2012
8 박현숙, "청소년을 위한 통합적 자살∙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38 (38): 513-521, 2008
9 이미리, "청소년기 스트레스와 폭력행동의 관계에 대한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5 (15): 57-65, 2007
10 모지환, "자살행동 영향 요인: 성별, 연령별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121-145, 2011
11 서석원,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157-178, 2014
12 김소린, "심리적 요인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자존감,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5 (15): 1049-1065, 2014
13 정병삼, "가정폭력이 남자 청소년의 가부장적 남성성과 폭력성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5-28, 2011
14 김정란, "가정폭력 및 학교폭력이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310-333, 2014
15 E. J, Kang, "The Effect of a Group Cinema to graphy Program on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Risk Youth"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y 2011
16 C. H. Jo, "SPSS/AMOS Statistical analysis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papers" Cheongram 346-, 2014
17 H. O. You, "Predictors of School Resilience among At-risk Youth" Graduate University of seoul 2010
18 S. H. Lee,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adolescent psychosocial adjustment" Samsung Life community mental health institute 1996
19 H. Y .Kwon, "Development of At-risk Youth Rating Scales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of Psychosocial Factors" Graduate Schoo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10
20 Y. Hee. Kim, "Communicating with children, family functioning and adolescent fly-marital relationship, the parent Correl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89
21 Statistical Korea, "2013 Youth Statistics"
FEM Carrier용 PP-LFT 소재의 응력비 변화에 따른 피로 거동
단순 열전달 모델을 이용한 히트파이프의 열전달 성능 특성에 관한 연구
Optimum Configuration of Gutters for Glasshouses Using ANSYS and ADAMS
헬스참여 성인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우울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7-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 ![]() |
2017-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8-2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1 | 0.842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