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춘의 역습(逆襲)과 세속화  :  장강명의 청춘소설 3부작을 중심으로 = Counterattack and Profanation of the Youth-Focusing on the Trilogy of Gangmyeong Jang's Youth Nov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565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0년대 한국 사회에서는 이전처럼 절대적 특권과 무한한 가능성으로 호명되는 청춘은 종말을 고했다. 심지어 이상적이고 관념적이어서 억압적이고 비현실적이었던 청춘 담론에 대해 젊은이들은 적극적으로 역습을 가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장강명의 청춘소설 3부작이라고 할 수 있는 『표백』, 『열광금지, 에바로드』, 『한국이 싫어서』이다. 세 편의 소설 속 젊은이들은 열심히 죽고, 열심히 놀고, 열심히 이민 간다. 그 구체적인 기표가 ‘연쇄 자살-오덕(덕후) 문화-탈조선’ 등이다. 이런 행위들 자체가 이전의 청춘들에게는 금기시되던 것들이지만 그들은 각각 ‘성공-노동-국가’를 탈신성화하면서 기존의 ‘자살-놀이-이민’ 개념을 세속화한다. 이때의 세속화는 조르조 아감벤에 의하면 지나치게 신성화되어 비인간화된 것을 인간 본연의 사용과 소유로 되돌려주는 것을 말한다. 신성시되었던 것을 비활성화시켜 인간이 공동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되돌리는 역(逆)장치가 바로 세속화이다. 이런 탈신성화를 통한 세속화를 통해 장강명 소설 속 젊은이들은 그동안 수신자인 젊은이들에게조차 배달 불가능했던 청춘에 새로운 주소를 기입한다.
      번역하기

      2010년대 한국 사회에서는 이전처럼 절대적 특권과 무한한 가능성으로 호명되는 청춘은 종말을 고했다. 심지어 이상적이고 관념적이어서 억압적이고 비현실적이었던 청춘 담론에 대해 젊은...

      2010년대 한국 사회에서는 이전처럼 절대적 특권과 무한한 가능성으로 호명되는 청춘은 종말을 고했다. 심지어 이상적이고 관념적이어서 억압적이고 비현실적이었던 청춘 담론에 대해 젊은이들은 적극적으로 역습을 가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장강명의 청춘소설 3부작이라고 할 수 있는 『표백』, 『열광금지, 에바로드』, 『한국이 싫어서』이다. 세 편의 소설 속 젊은이들은 열심히 죽고, 열심히 놀고, 열심히 이민 간다. 그 구체적인 기표가 ‘연쇄 자살-오덕(덕후) 문화-탈조선’ 등이다. 이런 행위들 자체가 이전의 청춘들에게는 금기시되던 것들이지만 그들은 각각 ‘성공-노동-국가’를 탈신성화하면서 기존의 ‘자살-놀이-이민’ 개념을 세속화한다. 이때의 세속화는 조르조 아감벤에 의하면 지나치게 신성화되어 비인간화된 것을 인간 본연의 사용과 소유로 되돌려주는 것을 말한다. 신성시되었던 것을 비활성화시켜 인간이 공동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되돌리는 역(逆)장치가 바로 세속화이다. 이런 탈신성화를 통한 세속화를 통해 장강명 소설 속 젊은이들은 그동안 수신자인 젊은이들에게조차 배달 불가능했던 청춘에 새로운 주소를 기입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2010s, the youth of Korea feel both futile and infuriated because of their future prospects and many even see thinking about the future positively as a luxury or fantasy. The young generation in Gangmyeong Jang’s novels put this to an end and counterattack society via the Giorgio Agamben's concept of the secularization. Secularization in this case does not mean the seeking after success or wealth, but rather that the youth, which in the past had been held sacred, would instead be utilized humanely. For such “secularization of the youth,” Gangmyeong Jang’s novels show pure negativity through suicides, dysteleology by using “otaku” features, or lack of identity through immigration that denies characters their nationality. Through such plots, Gangmyeong Jang’s novels suggest a new youth discourse for the millennial generation who are in between desperation, resistance, hopelessness, and happiness.
      번역하기

      In the 2010s, the youth of Korea feel both futile and infuriated because of their future prospects and many even see thinking about the future positively as a luxury or fantasy. The young generation in Gangmyeong Jang’s novels put this to an end and...

      In the 2010s, the youth of Korea feel both futile and infuriated because of their future prospects and many even see thinking about the future positively as a luxury or fantasy. The young generation in Gangmyeong Jang’s novels put this to an end and counterattack society via the Giorgio Agamben's concept of the secularization. Secularization in this case does not mean the seeking after success or wealth, but rather that the youth, which in the past had been held sacred, would instead be utilized humanely. For such “secularization of the youth,” Gangmyeong Jang’s novels show pure negativity through suicides, dysteleology by using “otaku” features, or lack of identity through immigration that denies characters their nationality. Through such plots, Gangmyeong Jang’s novels suggest a new youth discourse for the millennial generation who are in between desperation, resistance, hopelessness, and happi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청춘의 종말, 청춘의 역습
      • Ⅱ. 자살, 세속화와 환속화 사이
      • Ⅲ. 오덕 문화, 놀이 혹은 세속화
      • Ⅳ. 탈조선, 탈정체성으로서의 세속화
      • Ⅴ. 호모 프로파누스(Homo Profanus), 바틀비의 후예들
      • Ⅰ. 청춘의 종말, 청춘의 역습
      • Ⅱ. 자살, 세속화와 환속화 사이
      • Ⅲ. 오덕 문화, 놀이 혹은 세속화
      • Ⅳ. 탈조선, 탈정체성으로서의 세속화
      • Ⅴ. 호모 프로파누스(Homo Profanus), 바틀비의 후예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