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질병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을 밝혀보려는 데 있다. 일상의 표현 속에 나타난 은유를 통하여 인간의 개념 이해 방식을 볼 수 있다고 보는 인지의미론적 관점을 가지고 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56575
전혜영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2016
Korean
conceptual metaphor ; cognitive semantics ; 질병관 ; 질병 ; 목표 영역 ; source domain ; target domain ; diseases ; perspective on diseases ; 근원 영역 ; 인지의미론 ; 개념적 은유
380.000
KCI등재
학술저널
133-161(29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질병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을 밝혀보려는 데 있다. 일상의 표현 속에 나타난 은유를 통하여 인간의 개념 이해 방식을 볼 수 있다고 보는 인지의미론적 관점을 가지고 질...
이 논문의 목적은 질병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을 밝혀보려는 데 있다. 일상의 표현 속에 나타난 은유를 통하여 인간의 개념 이해 방식을 볼 수 있다고 보는 인지의미론적 관점을 가지고 질병 관련 표현에 나타난 은유를 통해 질병관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21세기 세종계획 <현대문어 원시말뭉치>, <현대구어 원시말뭉치>, <15세기 원시말뭉치>를 사용함으로써 현대국어와 중세국어의 자료를 검토 대상으로 하였다. 말뭉치 자료에서 ‘*병’이 들어간 용례를 검색한 표현을 대상으로 은유 표현인지 아닌지 식별하는 과정을 거쳐 은유 표현 자료를 추출하고, 이 표현들에 나타나는 은유 해석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였다. 용례들에 나타난 은유를 해석함으로써 질병에 대한 인식을 밝히는 작업을 통해, 현대국어와 중세국어 사이에 나타나는 은유 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한국인의 질병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은유는 [질병은 물건], [질병은 인간], [질병은 마귀], [질병은 전쟁], [질병은 그릇], [질병은 식물], [질병은 유체] 등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orean people’s perspective on diseases. I focus on the theoretical system of cognitive semantics as a data analysis criterion in order to get at the idea of human conception of diseases. I do this by cr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orean people’s perspective on diseases. I focus on the theoretical system of cognitive semantics as a data analysis criterion in order to get at the idea of human conception of diseases. I do this by critically examining the metaphors in daily expressions and speech. As a foundation for this research, I analyze the linguistic data of modern and medieval Korean, which I retrieved from ‘Corpus of written modern Korean’, ‘Corpus of spoken modern Korean’ and ‘15th century Corpus’. In this study, I divide each metaphoric expression and linguistic cue into an assortment of categories, which allows me to glean the Korean perspective on diseases. The following are some examples of conceptual metaphor from my research:[DISEASE IS OBJECTS], [DISEASE IS PEOPLE], [DISEASE IS DEVIL], [DISEASE IS WAR], [DISEASE IS A CONTAINER], [DISEASE IS PLANTS], [DISEASE IS A FLUI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방영심, "한국어에 나타나는 ‘한(恨)’의 개념화 양상" 한국어의미학회 22 : 95-121, 2007
2 전혜영, "한국어 표현에 나타나는 여행 은유" 33 : 75-103, 2014
3 박수일, "한국농촌주부의 질병관에 관한 연구:강 원도 인제군의 주부를 중심으로" 8 (8): 75-87, 1985
4 전혜영, "질병 명칭에 나타나는 의미적 특성" 언어정보연구소 25 : 181-216, 2015
5 정다함, "조선전기의 정치적‧종교적 질병관, 醫‧藥의 개념‧범주, 그리고 치유방식" 한국사연구회 (146) : 119-157, 2009
6 변정환, "조선시대의 역병에 관련된 질병관과 구료시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5
7 권복규, "조선시대 전통의서에 나타난 질병관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8 김남경, "조선시대 의서에 나타난 병명에 대하여 -구급방류를 중심으로-" 국어사학회 (11) : 7-36, 2010
9 박영순, "은유 연구의 성과와 방법론" 한국어의미학회 20 : 1-28, 2006
10 이정화, "은유" 한국문화사 2003
1 방영심, "한국어에 나타나는 ‘한(恨)’의 개념화 양상" 한국어의미학회 22 : 95-121, 2007
2 전혜영, "한국어 표현에 나타나는 여행 은유" 33 : 75-103, 2014
3 박수일, "한국농촌주부의 질병관에 관한 연구:강 원도 인제군의 주부를 중심으로" 8 (8): 75-87, 1985
4 전혜영, "질병 명칭에 나타나는 의미적 특성" 언어정보연구소 25 : 181-216, 2015
5 정다함, "조선전기의 정치적‧종교적 질병관, 醫‧藥의 개념‧범주, 그리고 치유방식" 한국사연구회 (146) : 119-157, 2009
6 변정환, "조선시대의 역병에 관련된 질병관과 구료시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5
7 권복규, "조선시대 전통의서에 나타난 질병관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8 김남경, "조선시대 의서에 나타난 병명에 대하여 -구급방류를 중심으로-" 국어사학회 (11) : 7-36, 2010
9 박영순, "은유 연구의 성과와 방법론" 한국어의미학회 20 : 1-28, 2006
10 이정화, "은유" 한국문화사 2003
11 노양진,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12 전혜영, "메르스 에 대한 은유와 이데올로기적 함축" 65-80, 2016
13 이현숙, "고려시대 전염병과 질병관-『향약구급방』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88) : 581-616, 2007
14 장인성, "고대한국인의 질병관과 의료" 20 : 251-288, 2000
15 임지룡, "개념적 은유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20 : 29-60, 2006
16 申榮日, "鄕藥救急方에 대한 연구 : 복원 및 醫史學的 고찰"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5
17 정우열, "『동의보감』의 ‘신체관’과 ‘질병관’에 관한 연구(1) -『동의보감』에서 본 생명관-" 한의병리학회 16 (16): 1-7, 2002
18 나익주, "‘정’과 ‘한’의 은유적 개념화" 한국어의미학회 20 : 91-120, 2006
19 Baehr, P., "Susan Sontag, Battle Language and the Hong Kong SARS Outbreak of 2003" 35 : 42-64, 2006
20 Wallis, P., "Representations of SARS in the British Newspapers" 59 : 2561-2571, 2004
21 Larson, B.M.H., "Metaphors and Biorisk:The War on Infectious Diseases and Invasive Species" 26 : 243-268, 2005
22 Lakoff, G., "Metaphors We Live B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23 Lakoff, G., "Metaphor and War:The Metaphor System Used to Justify War the Gulf" 23 (23): 25-32, 1991
24 Kövecses. Z., "Metaphor"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5 Sontag, G., "Illness as Metaphor:AIDS and Its Metaphors" Picador 1989
26 Wallis, P., "Disease Metaphors in New Epidemics:The UK Media Framing of the 2003 SARS Epidemic" 60 : 2629-2639, 2005
27 Charteris-Black, J., "Corpus Approaches to Critical Metaphor Analysis" Palgrave-Macmillan 2004
28 Chiang, W. Y., "Conceptual metaphors for SARS:‘war’ between whom?" 18 (18): 579-602, 2007
29 Charteris-Black, J., "Britain as a container:immigration metaphors in the 2005 election campaign" 17 (17): 563-581, 2006
30 전석원, "1884~1910년의 급성전염병에 대한 개신교 의료선교사업 -개항기 조선인의 질병관, 의료체계에 대한 의료선교의 계몽주의적 접근-"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6) : 227-269, 201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6-02-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Cultural Studies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6-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Cultural Research Institute -> Korea Culture Research Institute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 | 0.73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