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방문요양보호사의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991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재가시설 방문요양보호사들의 노인학대와 관련한 인식정도를 학대신고 및 관련 교육경험을 중심으로 조사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 1월 13일부터 2월 10일까지 방문요양보호사 24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 을 통해 이루어졌다. 전체적인 노인학대 인식은 높았으며, 학대 유형 중 신체적 학대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고, 재정적, 언어 적, 방임 그리고 정서적 학대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방문요양보호사들은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신고의무가 중요하다고 인식했으나, 다수의 경우가 신고경험이 없고, 알고 있는 신고기관 종류가 대부분 경찰로 다소 제한적이었다. 관련 교육에 있어서는 다수의 방문요양보호사들이 노인학대 예방 및 신고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학습요구도가 매우 높았으며, 노인학대 의 사례와 대처방법, 가족에 대한 상담과 교육방법 등 재가 현장에 필요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내용을 주로 희망하였다. 이에 재가시설 방문요양보호사들을 위한 노인학대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유형별 노인학대의 인식, 신고의무 및 신고체 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 그리고 구체적인 학대사례와 대처방법이 중심이 되어야 하며, 재가의 특성 상 가족들의 상담과 교육 또한 중요내용으로 포함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재가시설 방문요양보호사들의 노인학대와 관련한 인식정도를 학대신고 및 관련 교육경험을 중심으로 조사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 1월 13일부터 2월 10일까지 ...

      본 논문은 재가시설 방문요양보호사들의 노인학대와 관련한 인식정도를 학대신고 및 관련 교육경험을 중심으로 조사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 1월 13일부터 2월 10일까지 방문요양보호사 24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 을 통해 이루어졌다. 전체적인 노인학대 인식은 높았으며, 학대 유형 중 신체적 학대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고, 재정적, 언어 적, 방임 그리고 정서적 학대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방문요양보호사들은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신고의무가 중요하다고 인식했으나, 다수의 경우가 신고경험이 없고, 알고 있는 신고기관 종류가 대부분 경찰로 다소 제한적이었다. 관련 교육에 있어서는 다수의 방문요양보호사들이 노인학대 예방 및 신고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학습요구도가 매우 높았으며, 노인학대 의 사례와 대처방법, 가족에 대한 상담과 교육방법 등 재가 현장에 필요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내용을 주로 희망하였다. 이에 재가시설 방문요양보호사들을 위한 노인학대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유형별 노인학대의 인식, 신고의무 및 신고체 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 그리고 구체적인 학대사례와 대처방법이 중심이 되어야 하며, 재가의 특성 상 가족들의 상담과 교육 또한 중요내용으로 포함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scribes visiting caregivers' perceptions and reporting of elder abuse. From January 13 to February 10, 2014, data were collected from 249 visiting caregivers working at homes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aregivers' perceptions of abuse were high overall. Physical abuse was the most common type, followed by financial, verbal, negligence, and emotional abuse. Most visitors recognized that it is important to require reporting for the prevention of elder abuse, but most of them had no experience with reporting abuse, and the agencies that they knew were mostly the police. A majority of the visiting caregivers had attended an elder abuse program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uch programs. The caregivers hoped that the programs would have specific examples of how to deal with elder abuse and family counseling methods, and other practical content for their work. Programs should focus on coping with individual cases, proper counseling methods, and awareness of elder abuse.
      번역하기

      This study describes visiting caregivers' perceptions and reporting of elder abuse. From January 13 to February 10, 2014, data were collected from 249 visiting caregivers working at homes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aregivers' perception...

      This study describes visiting caregivers' perceptions and reporting of elder abuse. From January 13 to February 10, 2014, data were collected from 249 visiting caregivers working at homes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aregivers' perceptions of abuse were high overall. Physical abuse was the most common type, followed by financial, verbal, negligence, and emotional abuse. Most visitors recognized that it is important to require reporting for the prevention of elder abuse, but most of them had no experience with reporting abuse, and the agencies that they knew were mostly the police. A majority of the visiting caregivers had attended an elder abuse program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uch programs. The caregivers hoped that the programs would have specific examples of how to deal with elder abuse and family counseling methods, and other practical content for their work. Programs should focus on coping with individual cases, proper counseling methods, and awareness of elder abu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덕순, "요양보호사의 인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48) : 299-322, 2010

      2 이연순, "요양보호사가 경험한 노인학대와 노인인권 인식 연구: 방문요양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3 (33): 85-103, 2013

      3 방희명, "노인학대 인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학대 신고의무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3 (13): 211-234, 2009

      4 권금주, "노인학대 신고의무제도의 발전방안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12 (12): 39-64, 2015

      5 최희경, "노인요양시설의 돌봄 서비스에 대한 가족과 요양보호사의 인식 및 기대 비교 연구" 한국가족학회 22 (22): 1-31, 2010

      6 조운희,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인권이 종사자 학대충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41) : 429-450, 2008

      7 김기경, "노인요양시설 간호사 대상 웹기반 노인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40 (40): 463-472, 2010

      8 권금주, "노인요양병원의 노인학대 실태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553-560, 2016

      9 한혜경, "노인복지종사자의 노인학대 신고 및 서비스 전달체계 적합성 인식에 관한 내용분석" 한국노년학회 26 (26): 767-783, 2006

      10 최희경, "노인 돌봄 종사자의 소진 결정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8 (28): 157-176, 2008

      1 손덕순, "요양보호사의 인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48) : 299-322, 2010

      2 이연순, "요양보호사가 경험한 노인학대와 노인인권 인식 연구: 방문요양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3 (33): 85-103, 2013

      3 방희명, "노인학대 인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학대 신고의무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3 (13): 211-234, 2009

      4 권금주, "노인학대 신고의무제도의 발전방안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12 (12): 39-64, 2015

      5 최희경, "노인요양시설의 돌봄 서비스에 대한 가족과 요양보호사의 인식 및 기대 비교 연구" 한국가족학회 22 (22): 1-31, 2010

      6 조운희,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인권이 종사자 학대충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41) : 429-450, 2008

      7 김기경, "노인요양시설 간호사 대상 웹기반 노인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40 (40): 463-472, 2010

      8 권금주, "노인요양병원의 노인학대 실태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553-560, 2016

      9 한혜경, "노인복지종사자의 노인학대 신고 및 서비스 전달체계 적합성 인식에 관한 내용분석" 한국노년학회 26 (26): 767-783, 2006

      10 최희경, "노인 돌봄 종사자의 소진 결정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8 (28): 157-176, 2008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lder abuse Report 2011"

      12 B. H. Lim, "Studies on Elder Abuse Perception related to Social characteristics"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2001

      13 Astrid Sandmoe, "Nurses’ clinical assessments of older clients who are suspected victims of abuse: an exploratory study in community care in Norway" Wiley-Blackwell 20 (20): 94-102, 2011

      14 Bruce Friedman, "Longitudinal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Elder Mistreatment Among Older Adults Receiving Home Visiting Nursing" Informa UK Limited 27 (27): 34-64, 2014

      15 Statistics Korea, "Long -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s:expertise into long-term care institutions 2014"

      16 H. J. Kim, "Knowledge of ED Nurses on Child Abuse" Graduate School of Nursing, Yonsei University 2008

      17 P. Amanda,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elder abuse" Routledge 8-235, 2013

      18 National Health Insurance, "Information"

      19 Jessie L. Krienert, "Elderly in America: A Descriptive Study of Elder Abuse Examining National Incident-Based Reporting System (NIBRS) Data, 2000–2005" Informa UK Limited 21 (21): 325-345, 2009

      20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Elderly Welfare Law; Elder Abuse Reporting Requirements and Procedures, etc(6 Article 39)"

      21 S. D. Park, "Elderly Welfare" Samwoosa Publishers 10-366, 2007

      22 Yeon-Shim Lee, "Elder Mistreatment, Culture, and Help-Seeking: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Older Chinese and Korean Immigrants" Informa UK Limited 26 (26): 244-269, 2014

      23 S. S. So, "Attitude to Elderly Human Rights and Occupational Awareness of Long-Term Care Givers" 4 (4): 59-67, 2014

      24 S. K. Jung, "A research for reporter recognition level of Elder Abuse of responsible person and counter move behavior"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illa University 2007

      25 Y. S. Park, "A Study on the Plans for Countermeasure Research against Elderly Abuse to Improve the Elderly’s Human Rights" 17 : 133-149, 2015

      26 A. J. Gil, "A Study on the Identity of Care Workers'Caring Rol" Graduate School of Seonam University 2015

      27 E. J. Kim, "A Study on Nurses'Perception of Elder Abuse" 18 (18): 29-37,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