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검은콩과 발효검은콩 추출물이 인간 모유두 세포 성장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310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 결과 검은콩 물・에탄올 추출물과 Lactobacillus rhamnosus GG(LGG)와 Bifidobacterium animals subsp. lactis BB-12(BB-12)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검은콩 물・에탄올 추출물의 발효 전과 후의 성분변화...

      본 연구 결과 검은콩 물・에탄올 추출물과 Lactobacillus rhamnosus GG(LGG)와 Bifidobacterium animals subsp. lactis BB-12(BB-12)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검은콩 물・에탄올 추출물의 발효 전과 후의 성분변화를 분석하고, 검은콩과 검은콩 발효 추출물이 모유두 세포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rimary 인간 모유두 세포(HFDPC)에 검은콩 추출물(BWE, BEE)과 발효검은콩 추출물(BWEF, BEE-F)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정 처치 농도를 결정하여 모발 성장촉진(VEGF와 KGF/FGF7)과 억제(TGF-β1과 AR)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을 mRNA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나아가 검은콩 추출물이 HFDPC의 생존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Akt와 Erk의 인산화 활성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LGG와 BB-12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검은콩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pH, 총폴리페놀, 총당・환원당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검은콩 4종 추출물(BWE, BEE, BWE-F, BEE-F) 중 BWE, BEE, BWE-F가 VEGF의 mRNA 발현을 증가시키고, 모든 처리군에서 KGF/FGF7의 mRNA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BWE, BEE, BWE-F가 Erk의 활성을 증가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검은콩 물 추출물과 검은콩 에탄올 추출물, 그리고 발효검은콩 물 추출물이 인간 모유두 세포의 세포성장에 모발 성장 촉진인자의 활성과 Erk의 활성화 등을 통한 기전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모발 성장 및 모발 건강을 위한 기능성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산균 2종(LGG, BB-12)을 이용한 발효검은콩이 검은콩과 비교하여 모발 성장 촉진 관련 단백질 발현에서는 유의적인 우월성을 가지지는 않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다른 유산균 균 총을 이용한 발효검은콩의 연구와 더불어 보다 정밀한 발효를 통한 검은콩 추출물의 성분과 조성의 변화를 바탕으로 한 모발 성장 및 모주기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and potential mechanisms of action of black soybean extracts and fermented black soybean extracts by 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 and Bifidobacterium animals subsp. lactis BB-12 (BB-12) on prolifera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and potential mechanisms of action of black soybean extracts and fermented black soybean extracts by 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 and Bifidobacterium animals subsp. lactis BB-12 (BB-12) on proliferation of 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HFDPC). We examined changes in pH, total polyphenol, sugar, and reducing sugar contents according to fermentation period of black soybean extracts. Assay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was performed to determine cell toxicity levels of the four black soybean extracts [black soybean water extract (BWE), black soybean ethanol extract (BEE), fermented BWE (F-BEW), and fermented BEE (F-BEE)]. Changes in mRNA expression levels of hair growth promoting factors and hair growth inhibiting factors by the four black soybean extracts were measured by real-time PCR. In addition, phosphorylation level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family proteins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As a result, fermentation of black soybeans significantly reduced pH, total polyphenols, and sugar/reducing sugar contents. All four black soybean extracts showed no cellular toxicity in HFDPC. In fact, BEE significantly enhanced cell viability of HFDPC at 100 μg/mL compared to control. BWE, BEE, and BWE-F significantly increased mRNA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all four extracts increased mRNA expression of fibroblast growth factor. However, mRNA expression levels of apoptosis-related genes were not affected by black soybean extracts in HFDPC. Furthermore, BWE, BEE, and BWE-F significantly increased phosphorylation levels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compared to control. Taken together, we demonstrated that black soybean extracts enhanced proliferation of 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partially via activation of hair growth promoting factors, although no particular significant effects on proliferation were observed by fermentation of black soybea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원호, "해조류 추출물의 발모효과에 관한 C57BL/6의 쥐 실험연구"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 14 (14): 1-10, 2013

      2 황인욱, "포도씨의 proanthocyanidin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859-863, 2008

      3 이태후, "탈모증 환자의 한의학적 임상 유형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2 (22): 153-166, 2009

      4 박동섭, "측백 잎 추출물의 육모효과에 관한 임상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3 (13): 93-103, 2012

      5 서훈석, "짚신나물, 삼백초의 항산화와 항암활성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 16 (16): 139-143, 2008

      6 이은주, "중년남성 탈모자들의 두피 및 탈모관리 행동에 관한연구" 한국미용학회 16 (16): 674-686, 2010

      7 최인선, "이소플라본 보충과 운동이 폐경 후 여성의혈중 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38 (38): 411-418, 2005

      8 홍양희, "어성초를 포함한 천연복합추출물의 C57BL/6 마우스에 대한 발모효과"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3 (13): 321-329, 2015

      9 주진우, "발효차중의 미량 성분인 gallic acid 산화물 purpurogallin carboxylic acid의 항염증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0 (40): 707-711, 2008

      10 박정우, "발효 대두 식품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다양한 측정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353-358, 2007

      1 하원호, "해조류 추출물의 발모효과에 관한 C57BL/6의 쥐 실험연구"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 14 (14): 1-10, 2013

      2 황인욱, "포도씨의 proanthocyanidin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859-863, 2008

      3 이태후, "탈모증 환자의 한의학적 임상 유형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2 (22): 153-166, 2009

      4 박동섭, "측백 잎 추출물의 육모효과에 관한 임상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3 (13): 93-103, 2012

      5 서훈석, "짚신나물, 삼백초의 항산화와 항암활성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 16 (16): 139-143, 2008

      6 이은주, "중년남성 탈모자들의 두피 및 탈모관리 행동에 관한연구" 한국미용학회 16 (16): 674-686, 2010

      7 최인선, "이소플라본 보충과 운동이 폐경 후 여성의혈중 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38 (38): 411-418, 2005

      8 홍양희, "어성초를 포함한 천연복합추출물의 C57BL/6 마우스에 대한 발모효과"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3 (13): 321-329, 2015

      9 주진우, "발효차중의 미량 성분인 gallic acid 산화물 purpurogallin carboxylic acid의 항염증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0 (40): 707-711, 2008

      10 박정우, "발효 대두 식품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다양한 측정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353-358, 2007

      11 엄상미, "발아대두 청국장의 발효 중 화학성분의 변화"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2 (52): 133-141, 2009

      12 강정일, "밀기울의 모발 성장 효과" 한국생약학회 44 (44): 384-390, 2013

      13 박해련, "두피관리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천연 화장품소재의 탐색" 대한미용학회 7 (7): 115-122, 2011

      14 송노을, "당침지 검정콩 스낵 제품의 개발 및 기능성 성분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853-859, 2011

      15 이란숙, "검은 콩 및 노란 콩의 품질 특성 및 콩 부위별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6 (46): 757-761, 2014

      16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31 : 426-428, 1959

      17 Paus R,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receptor type Ⅰ and type Ⅱ expression during murine hair follicle development and cycling" 109 : 518-526, 1997

      18 이복순, "The Changes in Hair Growth-Relevant Enzyme Activity and Cytokine Expression Induced by Topical Application of Sandalwood Oil to C57BL/6 Mice" 대한미용학회 11 (11): 9-15, 2015

      19 Tang Y, "The Akt proto-oncogene links Ras to Pak and cell survival signals" 275 : 9106-9109, 2000

      20 Kwon TW, "Soybean in the 21st century" 17 : 1-4, 2000

      21 Cassileth BR, "Soy : an anticancer agent in wide use despite some troubling data" 21 : 817-818, 2003

      22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65 : 55-63, 1983

      23 Hagemann T, "Positive lymphocyte transformation test in a patient wit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of the scalp after short-term use of topical minoxidil solution" 53 : 53-55, 2005

      24 Folin O,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12 : 239-243, 1912

      25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News regarding statistics of male alopecia"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4

      26 Wood LS, "New therapeutic strategies for renal cell carcinoma" 30 : 40-53, 2010

      27 Hsu CL, "Minoxidil may suppress androgen receptor-related functions" 5 : 2187-2197, 2014

      28 주성수, "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 식물추출물질(MBN)의 in vitro 및 in vivo 발모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3 (43): 381-386, 2011

      29 Tsuboi R, "Keratinocyte growth factor(FGF-7)stimulates migration and plasminogen activator activity of normal human keratinocytes" 101 : 49-53, 1993

      30 Dave RI, "Ingredient supplementation effects on viability of probiotic bacteria in yogurt" 81 : 2804-2816, 1998

      31 Park KY,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fermented foods" 17 (17): 1-8, 2012

      32 Ozeki M, "In vivo promoted growth of mice hair follicles by the controlled release of growth factors" 24 : 2387-2394, 2003

      33 전희영, "In vitro 및 in vivo에서 검은콩 추출물의 육모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3 (43): 747-753, 2011

      34 박의성, "HT-29 인체 대장암 세포에서 검정콩 된장의 in vitro 항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270-1278, 2015

      35 McClennan KJ, "Finasteride : a review of its use in male pattern hair loss" 57 : 111-126, 1999

      36 Camu N, "Fermentation of cocoa beans : influence of microbial activities and polyphenol concentrations on the flavour of chocolate" 88 : 2288-2297, 2008

      37 Misnawi J, "Effects of incubation and polyphenol oxidase enrichment on colour, fermentation index, procyanidins and astringency of unfermented and partly fermented cocoa beans" 38 : 285-295, 2003

      38 Han JH, "Effect of minoxidil o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dermal papilla cells of human hair follicle" 34 : 91-98, 2004

      39 Ahn YT, "Development of probiotic dairy products us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human intestine" 47 (47): 45-54, 2014

      40 Hoffmann R, "Cytokines and growth factors influence hair growth in vitro. Possible implications for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alopecia areata" 288 : 153-156, 1996

      41 Dubois M,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28 : 350-356, 1956

      42 Lim SS, "Change and analysis of vocal cords vibration and voice energy by intaking black bean tea" 980-981, 2011

      43 이나리, "Bacillus amyloliquefaciens를 이용하여 콩 종류와 발효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특성" 한국미생물학회 49 (49): 71-77, 2013

      44 박건영, "Anti-Obesity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Black Soybean Anthocyanin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0 (10): 552-556, 2007

      45 Lee CS, "A study on the soybean effects for scalp hair treatment" 1 : 77-90, 2005

      46 Bradford MM,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72 : 248-254, 1976

      47 박주연, "20∼30대 여성 탈모관련 요인 분석"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5 (15): 53-65,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