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부동산학 연구에서 근린의 보행친화성(Walkability)은 중요한가? = Does Neighborhood Walkability Matter in Real Estate Studies?: Focused on A Literature Revie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139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개요: 본 연구는 근린의 보행친화성(Walkability)과 부동산 분야의 연관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이 두 이슈간에 어떠한 학술적 논의가 있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부동산학 분야에서 근린의 보행친화적 환경의 함의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을 활용하여 보행친화성과 부동산 관련 키워드를 조합하여 2000년부터 2023년 7월 현재까지 출판된 논문(Articles)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해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지침을 활용하여 선별과정을 거쳤으며, 이 결과 총 23건의 학술문헌을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인용보고서(Citation Report) 분석결과, 근린의 보행친화성과 부동산 관련 문헌들은 지난 십여 년 전부터 나타나기 시작했고, 출판 편수 및 인용횟수가 최근 들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더해, 기존 도시계획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지던 근린의 보행친화성 이슈가 경제학 및 비즈니스 금융 분야에서도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제별 분석결과, 관련 문헌들이 보행친화성과 주택가격, 보행친화성과 부동산 가치 및 매력도, 보행친화적인 도시개발 사업과 주택가격 등 크게 세 가지 주제로 구분되었다. 이 세 주제에서 공통적으로 보행친화적인 도시환경은 부동산 가격 및 가치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학술적 차원에서 많이 검토되지 않았던 근린의 보행친화성과 부동산을 함께 논의한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부동산학 분야에서 도시의 보행친화성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개요: 본 연구는 근린의 보행친화성(Walkability)과 부동산 분야의 연관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이 두 이슈간에 어떠한 학술적 논의가 있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부동산학 분야...

      개요: 본 연구는 근린의 보행친화성(Walkability)과 부동산 분야의 연관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이 두 이슈간에 어떠한 학술적 논의가 있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부동산학 분야에서 근린의 보행친화적 환경의 함의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을 활용하여 보행친화성과 부동산 관련 키워드를 조합하여 2000년부터 2023년 7월 현재까지 출판된 논문(Articles)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해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지침을 활용하여 선별과정을 거쳤으며, 이 결과 총 23건의 학술문헌을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인용보고서(Citation Report) 분석결과, 근린의 보행친화성과 부동산 관련 문헌들은 지난 십여 년 전부터 나타나기 시작했고, 출판 편수 및 인용횟수가 최근 들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더해, 기존 도시계획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지던 근린의 보행친화성 이슈가 경제학 및 비즈니스 금융 분야에서도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제별 분석결과, 관련 문헌들이 보행친화성과 주택가격, 보행친화성과 부동산 가치 및 매력도, 보행친화적인 도시개발 사업과 주택가격 등 크게 세 가지 주제로 구분되었다. 이 세 주제에서 공통적으로 보행친화적인 도시환경은 부동산 가격 및 가치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학술적 차원에서 많이 검토되지 않았던 근린의 보행친화성과 부동산을 함께 논의한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부동산학 분야에서 도시의 보행친화성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walkability and the real estate to find out what academic discussions have been made between these two issues,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walkable environments in the real estate studies. For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 selection process was conducted using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guideline, and a total of 23 academic pape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itation report, articles related to walkability in the real estate studies began to appear more than a decade ago, and the number of publications and citations has tended to increase in recent years. In addition, the issue of walkable environment, which was mainly dealt with in the urban planning studies, was also being discussed in the fields of economics and business finance. The 23 article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thematic groups: walkability and housing prices, walkable and property values, and making walkable environment projects and housing prices. In these three topics, it was found that the walkable environment plays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housing prices and property valu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rehensively reviewed previous studies that discussed neighborhood walkability and real estate, which have not been reviewed much from the academic perspective.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aking walkable environment will emerge in the field of real estate industry.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walkability and the real estate to find out what academic discussions have been made between these two issues,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walkable environments in th...

      This study examines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walkability and the real estate to find out what academic discussions have been made between these two issues,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walkable environments in the real estate studies. For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 selection process was conducted using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guideline, and a total of 23 academic pape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itation report, articles related to walkability in the real estate studies began to appear more than a decade ago, and the number of publications and citations has tended to increase in recent years. In addition, the issue of walkable environment, which was mainly dealt with in the urban planning studies, was also being discussed in the fields of economics and business finance. The 23 article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thematic groups: walkability and housing prices, walkable and property values, and making walkable environment projects and housing prices. In these three topics, it was found that the walkable environment plays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housing prices and property valu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rehensively reviewed previous studies that discussed neighborhood walkability and real estate, which have not been reviewed much from the academic perspective.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aking walkable environment will emerge in the field of real estate indust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보행친화성과 부동산 관련 문헌들의 인용보고서(Citation Report) 분석결과
      • Ⅵ. 보행친화성과 부동산 관련 문헌들의 주제별 분석결과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보행친화성과 부동산 관련 문헌들의 인용보고서(Citation Report) 분석결과
      • Ⅵ. 보행친화성과 부동산 관련 문헌들의 주제별 분석결과
      • Ⅴ. 결론
      • Referen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