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개발 및 도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의 생육특성 및 수량성 =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Cutiv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994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시험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동안 경북 성주 계명문화대학 실험목장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조중생종은 품종을 처리로 12처리 3반복, 중만생 품종은 품종을 처리로 10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1년차 시험은 2010년 10월 12일에 파종하여 조중생종은 2011년 4월 29일, 중만생종은 동년 5월 4일에 수확하였고, 2년차 시험은 2011년 10월 3일에 파종하여 조중생품종은 2012년 5월 5일 중만생종은 동년 5월 12일에 수확하였다. 조중생 품종의 건물수량은 Yeonbong3, Seongnong, Winter Hawk, Pride 및 Kowinnearly 품종이 각각 9,850, 9,778, 9,486, 9,363 및 9,267 ㎏/㏊ 순위였으며 이들 품종 간에 수량 차이는 없었으나 다른 7품종 보다 높았다(p<0.05). 중만생 품종의 건물수량은 Tetragold, Hwasan 101, Jumbo, Sungrazer, Master, Select 및 KB Royal이 각각 9,542, 9,492, 9,103, 8,981, 8,903, 8,870 및 8,681 ㎏/㏊ 순위였으며 이들 품종 간에 수량 차이는 없었으나, 다른 3품종보다는 높았다(p<0.05). 내한성은 중만생 품종중에서 Hwasan 101가 다른 품종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조기수확 시 건물수량 측면에서 조중생 품종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시험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동안 경북 성주 계명문화대학 실험목장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조중생종은 ...

      본 시험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동안 경북 성주 계명문화대학 실험목장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조중생종은 품종을 처리로 12처리 3반복, 중만생 품종은 품종을 처리로 10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1년차 시험은 2010년 10월 12일에 파종하여 조중생종은 2011년 4월 29일, 중만생종은 동년 5월 4일에 수확하였고, 2년차 시험은 2011년 10월 3일에 파종하여 조중생품종은 2012년 5월 5일 중만생종은 동년 5월 12일에 수확하였다. 조중생 품종의 건물수량은 Yeonbong3, Seongnong, Winter Hawk, Pride 및 Kowinnearly 품종이 각각 9,850, 9,778, 9,486, 9,363 및 9,267 ㎏/㏊ 순위였으며 이들 품종 간에 수량 차이는 없었으나 다른 7품종 보다 높았다(p<0.05). 중만생 품종의 건물수량은 Tetragold, Hwasan 101, Jumbo, Sungrazer, Master, Select 및 KB Royal이 각각 9,542, 9,492, 9,103, 8,981, 8,903, 8,870 및 8,681 ㎏/㏊ 순위였으며 이들 품종 간에 수량 차이는 없었으나, 다른 3품종보다는 높았다(p<0.05). 내한성은 중만생 품종중에서 Hwasan 101가 다른 품종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조기수확 시 건물수량 측면에서 조중생 품종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 cultivars at Seongju in the Kyeongbuk from 2010 to 2012.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Italian ryegrass cultivars were seeded on Oct. 12 in 2010 and Oct. 3 in 2011. The early-medium maturing cultivars were harvested on 29 Apr. and the medium late ones were harvested on 4 May in 2011. In 2012, the early-medium cultivars were harvested on 28 Apr. and medium late ones were harvested on 12 May. DM (dry matter) yield of the early-medium maturing cultivars ‘Yeonbong3’, ‘Seongnong’, ‘Winter Hawk’, ‘Pride’ and ‘Kowinnearly’ was 9,850, 9,778, 9,486, 9,363 and 9,267 ㎏/㏊ and DM yield of those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other seven cultivars or ones. DM yield of the medium-late maturing cultivars ‘Tetragold’, ‘Hwasan 101’, ‘Jumbo’, ‘Sungrazer’, ‘Master’, ‘SelectⅣ’ and ‘KB Royal’ was 9,542, 9,492, 9,103, 8,981, 8,903, 8,870 and 8,681 ㎏/㏊ and DM yield of those were higher (p<0.05) than other three. Cold tolerance for ‘Hwasan 101’ was higher than others, in medium-late maturing cultivars.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early-medium maturing cultivars would be recommendable for DM production.
      번역하기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 cultivars at Seongju in the Kyeongbuk from 2010 to 2012.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 cultivars at Seongju in the Kyeongbuk from 2010 to 2012.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Italian ryegrass cultivars were seeded on Oct. 12 in 2010 and Oct. 3 in 2011. The early-medium maturing cultivars were harvested on 29 Apr. and the medium late ones were harvested on 4 May in 2011. In 2012, the early-medium cultivars were harvested on 28 Apr. and medium late ones were harvested on 12 May. DM (dry matter) yield of the early-medium maturing cultivars ‘Yeonbong3’, ‘Seongnong’, ‘Winter Hawk’, ‘Pride’ and ‘Kowinnearly’ was 9,850, 9,778, 9,486, 9,363 and 9,267 ㎏/㏊ and DM yield of those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other seven cultivars or ones. DM yield of the medium-late maturing cultivars ‘Tetragold’, ‘Hwasan 101’, ‘Jumbo’, ‘Sungrazer’, ‘Master’, ‘SelectⅣ’ and ‘KB Royal’ was 9,542, 9,492, 9,103, 8,981, 8,903, 8,870 and 8,681 ㎏/㏊ and DM yield of those were higher (p<0.05) than other three. Cold tolerance for ‘Hwasan 101’ was higher than others, in medium-late maturing cultivars.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early-medium maturing cultivars would be recommendable for DM produ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Ⅳ.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Ⅳ. 요약
      • Ⅴ.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원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청보리 혼파이용 농업생산현장 신기술투입 접목연구" 농촌진흥청 2008

      2 신정남,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연봉 1호"

      3 신정남,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성농"

      4 농식품부, "양질 조사료 생산 확대 방안" 농림수산식품부 축산정책과. 2010

      5 김동암, "사료작물" 선진문화사 310-, 1989

      6 김동암, "목초 및 사료작물 장려품종 지역 적응시험"

      7 이광직, "답리작 사료작물접종 선발에 관한 시험"

      8 김동암, "다수성 목초 및 조숙성 사료작물 품종선발을 위한 생산 능력 검정"

      9 황경준, "난지원 작부체계별 조사료 생산성 평가" 한국초지조사료학회 156-157, 2008

      10 서성, "국내 개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청보리 주요 품종의 생산성과 사료가치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1 (31): 261-268, 2011

      1 김원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청보리 혼파이용 농업생산현장 신기술투입 접목연구" 농촌진흥청 2008

      2 신정남,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연봉 1호"

      3 신정남,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성농"

      4 농식품부, "양질 조사료 생산 확대 방안" 농림수산식품부 축산정책과. 2010

      5 김동암, "사료작물" 선진문화사 310-, 1989

      6 김동암, "목초 및 사료작물 장려품종 지역 적응시험"

      7 이광직, "답리작 사료작물접종 선발에 관한 시험"

      8 김동암, "다수성 목초 및 조숙성 사료작물 품종선발을 위한 생산 능력 검정"

      9 황경준, "난지원 작부체계별 조사료 생산성 평가" 한국초지조사료학회 156-157, 2008

      10 서성, "국내 개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청보리 주요 품종의 생산성과 사료가치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31 (31): 261-268, 2011

      11 국립축산과학원, "국내 개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종자생산 현장연시회"

      12 Kim, D.A, "Yields and Adaptation of Varieties of Forage Crops Imported from Australia and New Zealand" 10 (10): 79-87, 1967

      13 Kim, D.A, "The Effect of Italian ryegrass Seeding Rate on the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Ladino clover, Orchardgrass Mixtures" 16 (16): 109-116, 1974

      14 SAS, "SAS user’s guide Statistics"

      15 Kim, Y.D., "Multiple fodder cropping systems of upland fodder crops in southern region" 33 (33): 47-53, 1991

      16 Kim, D.A., "Evaluation of the government recommended forage cultivars in Korea. V.Forage performance and guality of Italian ryegrass cultivars" 18 (18): 11-18, 1998

      17 Ko, K.W., "Evaluation of Agronomic Ch 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s of Italian Ryegrass Cultivar" 23 : 233-238, 2005

      18 Kim, M.C, "Effects of Different Seeding Rates of Italian ryegrass, Orchardgrass and Ladino clover on the Growth,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Pasture Species in the Seeding Year" 18 (18): 125-135, 1976

      19 Yang, J.S., "Cultivation of forage crops after rice on paddy-land" 12 : 127-133, 1992

      20 Park, B.H., "A comparison between diploid and tetraploid cultivars of Lolium multiflorum Lam, italicum" 7 (7): 135-139, 1987

      21 Choi, G.J., "A cold-tolerant and high-yielding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new variety “Hwasan101.”" 20 (20): 1-6, 2000

      22 Kim, D.A., "A Comparison of Grasses, Legumes and Fodder Radish Introduced from the Netherlands" 22 (22): 310-314, 1980

      23 Ko, S.B., "A Comparison of Cultivars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ntroduced from Japan and West Germany" 22 (22): 528-532, 1980

      24 농협중앙회, "2011년도 제1차 목초 및 사료 작물품종 수입적응성 심의위원회 자료"

      25 이종언, "1995. 제주지역에 알맞은 작부체계 확립시험" 제주농업시험장 150-157,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7-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0.57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