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요즘 TV광고, 왜 길어지는가? = 긴 광고 집행현황 분석과 제작자/수용자 반응조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397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광고계에는 기존 15초 광고의 틀을 벗어난 30초, 60초 이상의 길이가 긴 광고의 비중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긴 광고가 광고계와 소비시장에서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음에도 불...

      최근 광고계에는 기존 15초 광고의 틀을 벗어난 30초, 60초 이상의 길이가 긴 광고의 비중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긴 광고가 광고계와 소비시장에서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긴 광고에 대한 연구와 논의는 그 동안 충분히 이루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긴 광고의 집행현황 분석과 광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첫째, 오늘날 긴 광고의 집행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제작과 집행의 관점에서 긴 광고에 대한 기대효과, 기획 및 집행 동기, 제작배경은 무엇인가? 셋째, 수용의 관점에서 광고에 어울리는 형식적 특성(formal feature)은 무엇인가? 등을 중점적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광고 제작자의 관점에서 긴 광고 제작의 주용한 기대효과와 동기는 (1)충분한 정보/스토리 전달, (2) 광고 자체의 돌출효과, (3) 감성적 메시지/프리미엄 전달, (4) 브랜드 파워(기업의 능력) 과시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수용자들은 긴 광고에 대해 충분한 정보/스토리 전달과 돌출효과만 언급함으로서 광고제작과 소비자들 간의 간극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앞으로 소비자들에게 감성적 메시지와 브랜드 파워를 어필 할 수 있는 긴 광고의 형식적 특성(formal feature)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 수행된 현황분석과 심층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그 동안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했던 긴 광고에 대한 광고 제작 차원에서의 기대효과 및 동기를 규명하고, 동시에 긴 광고의 형식적 특성을 제안함으로써 이 분야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advertising industry, the proportion of long-form advertisement which has 30 or 60 seconds more has gradually increased. But, few studies and discussions have been made while long-length commercial is now playing an more important role in the f...

      In the advertising industry, the proportion of long-form advertisement which has 30 or 60 seconds more has gradually increased. But, few studies and discussions have been made while long-length commercial is now playing an more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r consuming market.
      Therefore, this study is mainly to explore three points. the one is about what is the current condition of long-length advertisement and which type of long-length advertising is implemented. Another, as a view of long-form advertising production and execution, is about what is an expectation of effect, motivation of making and execution and a background? The other is a difference with existing advertisement when planing to and making long-form advertisem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formal fea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current condition and the result of in depth interview,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make a theoretical and operational contribution to production and form of long-length advertisement. Especially, the author expect that including qualitative research study which is performed in this study, a quantitative empirical research will suggest to us the effective characteristic and the shape of production of long form advertis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문헌연구
      • 3. 연구방법
      • 4. 결과
      • 5. 요약 및 논의
      • 1. 서론
      • 2. 문헌연구
      • 3. 연구방법
      • 4. 결과
      • 5. 요약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우, "하이브리드 텍스트로서의 무버셜과 수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 BMW 무버셜 중심의 사례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73 (73): 159-184, 2006

      2 박현수, "텔레비전 광고에서 혼잡도(clutter)와 스플릿(Split) 및 반복 광고 유형이 인지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6 (16): 311-327, 2005

      3 박호영, "카메라 연기 훈련 방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70-79, 2013

      4 김종무, "카메라 앵글의 위치 변화에 따른 감성 선호도 변화"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9 (9): 13-24, 2010

      5 박원기, "우리나라 TV광고의 혼잡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60 (60): 179-206, 2003

      6 강미혜, "영화야? 광고야? 까르띠에의 ‘억’소리나는 3분 30초 광고화제, 제작비 60억...광고집행비도 15초 광고의 14배"

      7 Messaris, P., "Visual persuasion : The role of images in advertising" Ssge 1997

      8 Ray, M. L, "Three prescriptions for clutter" 26 (26): 66-77, 1986

      9 Clagget, W. M., "The long view of the short commercial" 26 (26): 11-12, 1986

      10 Tomkovick, C., "The USA’s biggest marketing event keeps getting bigger : An in-depth look at Super Bowl advertising in the 1990s" 7 (7): 89-108, 2001

      1 이현우, "하이브리드 텍스트로서의 무버셜과 수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 BMW 무버셜 중심의 사례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73 (73): 159-184, 2006

      2 박현수, "텔레비전 광고에서 혼잡도(clutter)와 스플릿(Split) 및 반복 광고 유형이 인지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6 (16): 311-327, 2005

      3 박호영, "카메라 연기 훈련 방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70-79, 2013

      4 김종무, "카메라 앵글의 위치 변화에 따른 감성 선호도 변화"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9 (9): 13-24, 2010

      5 박원기, "우리나라 TV광고의 혼잡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60 (60): 179-206, 2003

      6 강미혜, "영화야? 광고야? 까르띠에의 ‘억’소리나는 3분 30초 광고화제, 제작비 60억...광고집행비도 15초 광고의 14배"

      7 Messaris, P., "Visual persuasion : The role of images in advertising" Ssge 1997

      8 Ray, M. L, "Three prescriptions for clutter" 26 (26): 66-77, 1986

      9 Clagget, W. M., "The long view of the short commercial" 26 (26): 11-12, 1986

      10 Tomkovick, C., "The USA’s biggest marketing event keeps getting bigger : An in-depth look at Super Bowl advertising in the 1990s" 7 (7): 89-108, 2001

      11 Singh, S. N, "The Effects of Length, Content, and Repetition on Television Commercial Effectiveness" 30 (30): 91-104, 1993

      12 홍재욱, "TV광고의 길이와 혼잡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7 (7): 155-183, 1996

      13 Newell, S. J., "Super bowl advertising : Field testing the importance of advertisement frequency, length and placement on recall" 4 (4): 237-248, 1998

      14 Mueller, Barbara., "Standardization Vs. Specialization : An Examination of Westernization in Japanese Advertising" 32 (32): 15-24, 1992

      15 Gomm, R., "Social Research Methodology : A Critical Introduction" Palgrave Macmillan 2004

      16 Mord, Marvin S, "Shorter Units : Risk-Responsibility-Reward" 25 (25): 9-19, 1985

      17 Mueller, Barbara., "Reflections of Culture : An Analysis of Japanese and American Advertising Appeals" 27 (27): 51-59, 1987

      18 Singh, S. N., "Recognition versus recall as measure of television commercial forgetting" 25 (25): 72-80, 1988

      19 Singh, S. N., "Recognition as a measure of learning from television commercials" 20 (20): 235-248, 1983

      20 Larsen, V., "Point of view and pieces of time : A taxonomy of image attributes" 31 (31): 102-111, 2004

      21 Ratchford, B. T., "New Insight About The FCB Grid" 27 (27): 24-38, 1987

      22 Patzer, G. L., "Multiple dimensions of performance for 30-second and 15-second commercials" 31 (31): 18-25, 1991

      23 Okazaki, S., "Measuaring Soft-Sell versus Hard-Sell Advertising Appeals" 39 (39): 5-20, 2010

      24 Dunst, L., "Is it possible to get creartive in 15 second?" 64 (64): 18-, 1993

      25 Caples, John., "Irresistible Ad Story Copy Plus Reason-Why Copy Vital" 60 : 67-, 1973

      26 Salomon, G., "Interaction of media, cognition and learning" Jossey-Bass 1981

      27 Wheatley, J. J., "Influence of commercial’s length and position" 5 (5): 199-202, 1968

      28 Roger, S. C., "How to create advertising that works" 10 (10): 20-33, 1995

      29 Vaughn, R., "How Advertising Work : A Planing Model Revisited" 26 (26): 57-66, 1986

      30 Beard, Fred K., "Hard Sell ‘Killers, ’ and Soft Sell ‘Poets’ : Modern Advertising’s Enduring Message Strategy Debate" 30 (30): 141-149, 2004

      31 Candler, D., "Gender-differentiated production features in toy commercials" 44 (44): 503-520, 2000

      32 Rethans, A. J., "Effect of Television Commercial Repetition Receiver Knowledge and Commercial Length : A Test of The Two-Factor Model" 23 (23): 50-61, 1986

      33 Newstead, K., "Cost per second :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15-and 30-secondtelevisionadvertisements" 50 (50): 68-79, 2009

      34 Pieters. R. G. M, "Consumer memory for television advertising : A field study of durtion, series position, and competition effects" 23 (23): 367-372, 1997

      35 Stanton, J. L.,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executional elements in TV advertising : 15-versus30-second commercials" 38 (38): 7-14, 1998

      36 Byant, J., "Children’s understanding of television : Research on attention and comprehension" Academic Press 1983

      37 Bertaux, Daniel., "Biography and Society. The Life History Approach in the Social Sciences" Sage Publications 1981

      38 Pechmann, C., "Advertising repetition : A critical review of wearin and wearout" 11 (11): 285-330, 1988

      39 Myers, G., "Ad Words Brands, Media, Audiences" Arnold 1999

      40 Well, W. D., "A reaction profile for TV commercials" 11 (11): 11-17, 1971

      41 Fabian, George S., "15-Second Commercials : The Inevitable Evolution" 26 (26): 3-5,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론학연구 ->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외국어명 : Journalism & Communication -> Locality & Communication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 1.33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