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세 신비주의란 무엇인가? -마이스트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의 가난 사상에서의 신비적 이해 = Was ist der mittelalterliche Mystik? -Mytisches Verstaendnis zur Armut bei Meister Eckh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637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소고에서는 에크하르트(Eckhart)의 사상들 중 가난사상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에크하르트의 가난 사상은 성서의 마5장 3절-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 임이라-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그는 가난을 내적 그리고 외적 가난으로 구분했다. 그는 외적인 가난에 궁극적인 관심이 없었고, 내적 가난은 그의 가난 이해의 중심에 서 있다. 그의 내적 가난 사상은 자신이 속해 있었던 도미니코 수도회의 전통적인 이해를 따르는 동시에 자신의 고유한 이해를 통해 전통적인 이해를 벗어나 사상적 발전을 시키고 있다. 에크하르트의 가난사상에는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물질적인 무소유를 통한 완성에 이르려고 하는 사람들 그리고 도미니코 수도회의 세속적인 것들의 불만족을 느끼며 그것들을 포기하는 대신 하나님으로 대처하려는 사람들의 비판이 발견된다. 이때 그의 가난은 어떠한 것을 원하지도, 어떠한 것을 가지지도 그리고 어떠한 것을 알지도 못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그의 이해는 일종의 부정신학의 성격을 띠고, 사상적인 급진성-하나님과의 만남에 대한 열망을 전적 포기, 하나님에 관한 지식의 전적 포기 그리고 하나님과의 만남의 장소를 가지려는 열망조차도 포기-을 드러낸다. 세 가지 포기의 최종적인 목표는 인간과 절대자와의 내적인 연합에 이루려는데 있다. 가난한 사람은 그러한 것들에 포기를 통해 신적인 근원으로 회귀를, 그리고 하나님의 의지에 따라 전적으로 활동하는 인간으로 변화를 추구한다. 그러므로 에크하르트가 부정의 길을 통해 절대자에게 도달하려는 디오니시우스(Dionysius Areapagita)의 신비적 도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가난 사상은 디오니시우스적인 신비적 전통을 따르고 있다.
      번역하기

      본 소고에서는 에크하르트(Eckhart)의 사상들 중 가난사상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에크하르트의 가난 사상은 성서의 마5장 3절-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 임이라-을 출...

      본 소고에서는 에크하르트(Eckhart)의 사상들 중 가난사상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에크하르트의 가난 사상은 성서의 마5장 3절-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 임이라-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그는 가난을 내적 그리고 외적 가난으로 구분했다. 그는 외적인 가난에 궁극적인 관심이 없었고, 내적 가난은 그의 가난 이해의 중심에 서 있다. 그의 내적 가난 사상은 자신이 속해 있었던 도미니코 수도회의 전통적인 이해를 따르는 동시에 자신의 고유한 이해를 통해 전통적인 이해를 벗어나 사상적 발전을 시키고 있다. 에크하르트의 가난사상에는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물질적인 무소유를 통한 완성에 이르려고 하는 사람들 그리고 도미니코 수도회의 세속적인 것들의 불만족을 느끼며 그것들을 포기하는 대신 하나님으로 대처하려는 사람들의 비판이 발견된다. 이때 그의 가난은 어떠한 것을 원하지도, 어떠한 것을 가지지도 그리고 어떠한 것을 알지도 못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그의 이해는 일종의 부정신학의 성격을 띠고, 사상적인 급진성-하나님과의 만남에 대한 열망을 전적 포기, 하나님에 관한 지식의 전적 포기 그리고 하나님과의 만남의 장소를 가지려는 열망조차도 포기-을 드러낸다. 세 가지 포기의 최종적인 목표는 인간과 절대자와의 내적인 연합에 이루려는데 있다. 가난한 사람은 그러한 것들에 포기를 통해 신적인 근원으로 회귀를, 그리고 하나님의 의지에 따라 전적으로 활동하는 인간으로 변화를 추구한다. 그러므로 에크하르트가 부정의 길을 통해 절대자에게 도달하려는 디오니시우스(Dionysius Areapagita)의 신비적 도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가난 사상은 디오니시우스적인 신비적 전통을 따르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dieser Arbeit handelt es sich um Eckharts Armutslehre. Seine Armutslehre geht auf das Mt. 5,3 Selig sind, die da geistlich arm sind; denn ihrer ist das Himmelreich zuruck. Er unterteilt Armut in zwei Arten: Auβere und innere Armut. Eckharts Klarung zur Armut konzentriert sich nicht auf die auβere Armut, sondern auf die innere Armut. Sein Gedanke von der Armut folgt der dominikanischen Tradition, zugleich entgeht sich durch sein eigenes Verstandnis und entwickelt sich weiter. In Eckharts Gedanke von der Armut findet sich eine Kritik am franziskanischen und dominikanischen Verstandnis von der Armut. Jenes ist zur Vollkommenheit durch die materielle Besitzlosigkeit zu gelangen. Dies ist irdischen Dingen nicht zu begnugen und Gott anstatt des Verzichtes auf die irdischen Dinge zu besitzen. Nun wird Eckharts Armut als Nichtswollen, Nichtswissen und Nichtshaben definiert. Sie ist von der negativen Theologie gepragt und zeigt die gedankliche Radikalitat vollkommener Verzicht auf das Begehren nach der Begegnung mit Gott, auf das Wissen von Gott und auf das Begehren, das Ort der Begegnung mit Gott zu haben. Das letzte Ziel gelangt zur inneren Unio zwischen der menschlichen Seele und Gott. Der arme Mensch sucht durch diesen Verzicht den Zuruckkehre zur gottlichen Ursprung und die Veranderung des Menschen, der nach Gottes Willen ganz wirkt. Sein Gedanke von der Armut kann also der dionysischen Tradition darin folgen, dass Eckhart auf der mystischen Form des Dionysius basiert, die zum Absoluten durch via negativa galangt.
      번역하기

      In dieser Arbeit handelt es sich um Eckharts Armutslehre. Seine Armutslehre geht auf das Mt. 5,3 Selig sind, die da geistlich arm sind; denn ihrer ist das Himmelreich zuruck. Er unterteilt Armut in zwei Arten: Auβere und innere Armut. Eckharts Klarun...

      In dieser Arbeit handelt es sich um Eckharts Armutslehre. Seine Armutslehre geht auf das Mt. 5,3 Selig sind, die da geistlich arm sind; denn ihrer ist das Himmelreich zuruck. Er unterteilt Armut in zwei Arten: Auβere und innere Armut. Eckharts Klarung zur Armut konzentriert sich nicht auf die auβere Armut, sondern auf die innere Armut. Sein Gedanke von der Armut folgt der dominikanischen Tradition, zugleich entgeht sich durch sein eigenes Verstandnis und entwickelt sich weiter. In Eckharts Gedanke von der Armut findet sich eine Kritik am franziskanischen und dominikanischen Verstandnis von der Armut. Jenes ist zur Vollkommenheit durch die materielle Besitzlosigkeit zu gelangen. Dies ist irdischen Dingen nicht zu begnugen und Gott anstatt des Verzichtes auf die irdischen Dinge zu besitzen. Nun wird Eckharts Armut als Nichtswollen, Nichtswissen und Nichtshaben definiert. Sie ist von der negativen Theologie gepragt und zeigt die gedankliche Radikalitat vollkommener Verzicht auf das Begehren nach der Begegnung mit Gott, auf das Wissen von Gott und auf das Begehren, das Ort der Begegnung mit Gott zu haben. Das letzte Ziel gelangt zur inneren Unio zwischen der menschlichen Seele und Gott. Der arme Mensch sucht durch diesen Verzicht den Zuruckkehre zur gottlichen Ursprung und die Veranderung des Menschen, der nach Gottes Willen ganz wirkt. Sein Gedanke von der Armut kann also der dionysischen Tradition darin folgen, dass Eckhart auf der mystischen Form des Dionysius basiert, die zum Absoluten durch via negativa galang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