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라, 이 사람이 선과 악을 아는 일에 우리 중 하나같이 되었다."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600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창 3:22a을 문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문학적 표현 아래 저자 자신에 의해 숨겨진 의미가 무엇인가를 질문한다. 창 3:22a의 짧은 하나님의 말은 주변 맥락에서 잘 이해가 되지 않는 것 같이 보인다. 뱀의 말, 즉 선과 악을 아는 일에 있어서 하나님과 같이 된다는 것은 단지 거짓 외에 아무 것도 아님이 드러난다. 왜냐하면 금지된 나무의 열매를 먹은 사람의 상태는 전혀 ‚하나님과 같음'에 이른 것같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하나님과 동등한 것으로 묘사되는 인간의 상태는 구약에서 아이러니적(가령, 삼하 14:17b; 19:25-31)으로 또는 그 반대 경우로 묘사되는데, 그것은 하나님 자신이 인간에게 그 능력을, 즉 선과 악을 아는 지식의 관점에서의 능력을, 친히 부여하신다는 서술(가령, 창 1:26; 왕상 3:9)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창 3:22a의 하나님의 말은 아이러니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하나님의 행위 또는 말의 그러한 아이러니적인 사용의 모습은 구약에서 낯설지 않다(가령, 시 2:4a; 창 11:6). 그곳에서 우리는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웃음과 경멸을 본다. 그러므로 창 3:22a도 역시 하나의 아이러니로서 하나님의 세계에 도전하는 인간에 대한 경멸과 비웃음의 의미를 담은 신랄한 비판으로 보아야 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창 3:22a을 문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문학적 표현 아래 저자 자신에 의해 숨겨진 의미가 무엇인가를 질문한다. 창 3:22a의 짧은 하나님의 말은 주변 맥락에서 잘 이해가 되지 않는 것 ...

      이 논문은 창 3:22a을 문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문학적 표현 아래 저자 자신에 의해 숨겨진 의미가 무엇인가를 질문한다. 창 3:22a의 짧은 하나님의 말은 주변 맥락에서 잘 이해가 되지 않는 것 같이 보인다. 뱀의 말, 즉 선과 악을 아는 일에 있어서 하나님과 같이 된다는 것은 단지 거짓 외에 아무 것도 아님이 드러난다. 왜냐하면 금지된 나무의 열매를 먹은 사람의 상태는 전혀 ‚하나님과 같음'에 이른 것같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하나님과 동등한 것으로 묘사되는 인간의 상태는 구약에서 아이러니적(가령, 삼하 14:17b; 19:25-31)으로 또는 그 반대 경우로 묘사되는데, 그것은 하나님 자신이 인간에게 그 능력을, 즉 선과 악을 아는 지식의 관점에서의 능력을, 친히 부여하신다는 서술(가령, 창 1:26; 왕상 3:9)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창 3:22a의 하나님의 말은 아이러니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하나님의 행위 또는 말의 그러한 아이러니적인 사용의 모습은 구약에서 낯설지 않다(가령, 시 2:4a; 창 11:6). 그곳에서 우리는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웃음과 경멸을 본다. 그러므로 창 3:22a도 역시 하나의 아이러니로서 하나님의 세계에 도전하는 인간에 대한 경멸과 비웃음의 의미를 담은 신랄한 비판으로 보아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ser Aufsatz versucht, Gen 3:22a literarisch auszulegen und fragt dabei nach der versteckten Bedeutung, die der Autor in seine literarische Darstellung hineingelegt hat. Die kurze Rede Gottes in Gen 3:22a scheint im umgebenden Text eher unverständlich zu sein. Die Aussage der Schlange, dass es möglich sei, durch die Erkenntnis von Gut und Böse gottgleich zu werden, wird als bloße Lüge nachgewiesen. Denn der Zustand des Menschen, der von dem verbotenen Baum gegessen hat, ist tatsächlich nicht als gottgleich anzusehen. Der Zustand des gottgleichen Menschen im AT wird entweder ironisch (z.B. 2 Sam 14:17b; 19:25-31) oder so dargestellt, dass Gott selber dem Menschen die Befähigung zur Erkenntnis von Gut und Böse verleiht (z.B. Gen 1:26; 1 Kön 3:9). Die Rede Gottes in Gen 3:22a ist insofern eher als eine in ironischer Weise benutzte Rede anzusehen. Eine derartige ironische Verwendung der Tat bzw. Rede Gottes ist dem AT nicht fremd (z.B. Ps 2:4a; Gen 11:6). In jener Stelle erblickt man Lachen und Spott Gottes gegen den Menschen. Daraus lässt sich nunmehr folgern, dass Gen 3:22a pure Ironie ist, die als beißende Kritik Gottes im Sinne von Spott und Horn an der Herausforderung des Menschen geübt wird.
      번역하기

      Dieser Aufsatz versucht, Gen 3:22a literarisch auszulegen und fragt dabei nach der versteckten Bedeutung, die der Autor in seine literarische Darstellung hineingelegt hat. Die kurze Rede Gottes in Gen 3:22a scheint im umgebenden Text eher unverstä...

      Dieser Aufsatz versucht, Gen 3:22a literarisch auszulegen und fragt dabei nach der versteckten Bedeutung, die der Autor in seine literarische Darstellung hineingelegt hat. Die kurze Rede Gottes in Gen 3:22a scheint im umgebenden Text eher unverständlich zu sein. Die Aussage der Schlange, dass es möglich sei, durch die Erkenntnis von Gut und Böse gottgleich zu werden, wird als bloße Lüge nachgewiesen. Denn der Zustand des Menschen, der von dem verbotenen Baum gegessen hat, ist tatsächlich nicht als gottgleich anzusehen. Der Zustand des gottgleichen Menschen im AT wird entweder ironisch (z.B. 2 Sam 14:17b; 19:25-31) oder so dargestellt, dass Gott selber dem Menschen die Befähigung zur Erkenntnis von Gut und Böse verleiht (z.B. Gen 1:26; 1 Kön 3:9). Die Rede Gottes in Gen 3:22a ist insofern eher als eine in ironischer Weise benutzte Rede anzusehen. Eine derartige ironische Verwendung der Tat bzw. Rede Gottes ist dem AT nicht fremd (z.B. Ps 2:4a; Gen 11:6). In jener Stelle erblickt man Lachen und Spott Gottes gegen den Menschen. Daraus lässt sich nunmehr folgern, dass Gen 3:22a pure Ironie ist, die als beißende Kritik Gottes im Sinne von Spott und Horn an der Herausforderung des Menschen geübt wir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창 3:22a에 대한 문맥에서의 고찰
      • 3. 선과 악을 아는 일에 하나님과 같이 됨
      • 4. 아이러니가 사용된 하나님의 행위에 대한 표현 또는 말씀
      • 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창 3:22a에 대한 문맥에서의 고찰
      • 3. 선과 악을 아는 일에 하나님과 같이 됨
      • 4. 아이러니가 사용된 하나님의 행위에 대한 표현 또는 말씀
      • 5.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