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국민속학의 방향을 가늠하고 연구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해 1971년 출간된 『한국민속과 문학연구』가 한국민속학에 미친 영향을 돌아보는 글이다. 『한국민속과 문학연구』는 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민속학의 방향을 가늠하고 연구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해 1971년 출간된 『한국민속과 문학연구』가 한국민속학에 미친 영향을 돌아보는 글이다. 『한국민속과 문학연구』는 러...
이 글은 한국민속학의 방향을 가늠하고 연구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해 1971년 출간된 『한국민속과 문학연구』가 한국민속학에 미친 영향을 돌아보는 글이다. 『한국민속과 문학연구』는 러시아 형식주의를 비롯한 구조주의, 정신분석학 등에서 빌어온 다양한 개념을 원용한 ‘원형론’을 한국 민담의 구조와 민속의 분석에 적용하고 제의학파로부터 차용한 ‘제의적 신화론’으로 민담과 민속, 문학작품을 분석하여 그 상징성과 신성성과 초월성 등을 구명했다. 이 연구방법론은 부락제의 통과제의적 특성을 비롯하여 민담과 동화, 소설, 드라마, 영화 등에서 시대양식과 전통, 관습적 형식의 속성을 찾아내고 구명하는 데 적절함을 입증해 보였다.
오늘의 시점에서 보면 『한국민속과 문학연구』는 근대기 이래 한국민속을 타자화한 식민주의적 논리에 적극 대응했다고 보기 어렵다. 이 책이 출간되던 당시의 연구풍토 역시 1990년대 이래 ‘민족’이나 ‘전통’이 고정불변의 개념이 아니라는 비판에 비추어 차이가 있다. 또 이 책은 근대기 이래 중앙집권적 표준화가 자행된 민속연구에서 이를 비판하고 한국민속의 지역성을 드러내는 데도 소홀했다. 더불어 개인의 일상과 욕망 등 다양한 가치가 주목받는 현대에 이르러 ‘신화적 제의론’은 민속현상의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점도 드러난다. 그럼에도 『한국민속과 문학연구』가 구명해낸 보편성은 역사적이고 세속적인 타자화나 표준화를 초월하여 한국민속을 고찰할 수 있는 가능성의 근거로서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더구나 김열규 선생은 민속연구를 통해 시대적이고 세속적인 삶을 아우르면서도 초월적 신성(神性)을 추구하는 방법론을 제시했다. 그것은 역사적 사회적 변화에 의한 일시적 시대적 현상으로서의 사회적 현상을 초월하여 민속을 통해 인간의 운명을 지배하는 동인을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영원회귀’와 ‘구원’을 추구하는 방법론이었다. 그러므로 신화와 맞물린 현실을 분석하여 ‘완전타자(完全他者)’로서의 신인동존(神人同存)을 추구하고자 하는 『한국민속과 문학연구』의 방법론은 오늘날의 민속연구에도 크게 참조할 점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reatise aims at explaining about the influence and implication on studying Korean folklore by the methodology of 『Studies on Korean Folklore and Literature』 published in 1971. That book proposed new methodology to research similarities of Ko...
This treatise aims at explaining about the influence and implication on studying Korean folklore by the methodology of 『Studies on Korean Folklore and Literature』 published in 1971. That book proposed new methodology to research similarities of Korean folktale, rite, myth, poet and dream receiving theories of anthropology in 19th century, Cambridge school’s numismatology, Ritual school’s mythology and psychoanalysis.
At that time, some scholars criticized that the methodology of 『Studies on Korean Folklore and Literature』 was follow of western folklore studies. But it is clear that the methodology opened way to research university of Korean folklore. For this object that book applied ‘archetypal theory’ used multiple concepts like archetypal symbol, pattern, typicality, totality, ‘langue / parole’ and ‘deep structure / surface structure’ etc. borrowed from Russian formalism, structurism and psychoanalysis to analyze structure of folktale and aspect of folklore.
At the same time, this book tried to clarify the sanctity and the transcendence of Korean folktale, folklore and literatural works to adapt ‘mythology about rite’ borrowed from ritual school’s thesis “myth is correlative spoken of rite”. This methodology was effective to find out the features of transcending style, tradition and convention of Korean folktale, fairy tale, novel, drama and movie etc. and the features of village festival as initiation rite.
However 『Studies on Korean Folklore and Literature』 did not aggressively counteract to the otherization(타자화) affected from outer influences to study about Korean folklore. Addition to that, new criticism raised that ‘nation’ and ‘tradition’ were not concepts set in stone in 1990s. And that book was careless to find out the locality of Korean folklore to try to suggest post-structural criticism against centralized standardization which was pursued in folklore studies in modern ages. Coming closer to nowadays, monistic ‘mythology about rite’ becomes to be recognized not to prefer to understand present folk phenomena in which individual daily life and desire are considered important.
Reconsidering the influence and implication of 『Studies on Korean Folklore and Literature』, this treatise tried to verify that new methodology was proposed by that book to transcendental holiness to control secular life of the times with folklore. Folklore was considered instrument to imply temporal phenomena of the times changed historically and socially. At the same time folklore was considered medium to dominate destiny and to pursue ‘eternal recurrence’ and ‘salvation’. Therefore the methodology of 『Studies on Korean Folklore and Literature』 is still thought to be useful theory to research archetype and to pursue coexistence of god and human as ‘absolute other(완전타자)’.
참고문헌 (Reference)
1 伊藤幹治, "柳田國男と文化ナショナリズム" 岩波書店 2002
2 융. 에릭슨, "현대의 신화/아이덴티티" 삼성출판사 1997
3 오재환, "한국의 ‘근대화’의례 연구 : 박정희 시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4 김열규, "한국신화와 무속연구" 일조각 1977
5 임재해, "한국민속학의 새로운 인식과 과제" 집문당 1996
6 김동욱, "한국민속학" 새문사 1983
7 김태곤, "한국민속문화의 탐구" 국립민속박물관 1996
8 김열규, "한국민속과 문학연구" 일조각 1982
9 이부영, "한국민담의 심층분석-민담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접근-" 집문당 1980
10 김열규, "한국문학사 그 형상과 해석" 탐구당 1983
1 伊藤幹治, "柳田國男と文化ナショナリズム" 岩波書店 2002
2 융. 에릭슨, "현대의 신화/아이덴티티" 삼성출판사 1997
3 오재환, "한국의 ‘근대화’의례 연구 : 박정희 시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4 김열규, "한국신화와 무속연구" 일조각 1977
5 임재해, "한국민속학의 새로운 인식과 과제" 집문당 1996
6 김동욱, "한국민속학" 새문사 1983
7 김태곤, "한국민속문화의 탐구" 국립민속박물관 1996
8 김열규, "한국민속과 문학연구" 일조각 1982
9 이부영, "한국민담의 심층분석-민담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접근-" 집문당 1980
10 김열규, "한국문학사 그 형상과 해석" 탐구당 1983
11 송효섭, "탈신화 시대의 신화들" 기파랑 2005
12 욜란디 야코비, "칼 융의 심리학" 성문각 1982
13 다카야 요시카즈, "지역연구의 방법" 전예원 1997
14 이방원, "일제 시기 근대적 일상과 식민지 문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15 죠셒 헨더슨,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집문당 1983
16 김열규, "이제는 없는 것들" 문학과지성사 2013
17 김열규, "아리랑 역사여, 겨레여, 소리여" 조선일보사 1987
18 쿠루트 휘브너, "신화의 진실" 민음사 1995
19 롤랑 바르트, "신화론" 현대미학사 1995
20 고마고메 타케시, "식민제국 일본의 문화통합" 역사비평사 2008
21 빅터 터너, "빅터 터너의 제의에서 연극으로" 민속원 2014
22 남근우, "복원주의 민속학의 아이러니-‘강릉단오제’의 곤경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 52 : 37-84, 2010
23 김열규, "민족문화의 원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24 김정하, "민속으로 도시읽기(25) - 신비 체험"
25 김열규, "민담학개론 전파론에서 구조주의까지" 일조각 1983
26 김정하, "문화권력과 버내큘러" 소화 2020
27 차동욱, "문예비평론" 고려원 1984
28 김성례, "무속전통의 담론분석 해체와 전망" 한국문화인류학회 22 : 1990
29 김열규, "동북아시아 샤머니즘과 신화론" 아카넷 2003
30 김열규, "대중스타론" 세계사 1992
31 岩本通弥, "都市の暮らしの民俗学 1券" 吉川弘文舘 2006
32 內田忠賢, "現代都市傳承論-民俗の再發見" 岩田書院 2005
33 岩竹美加子, "民俗學の政治性 -アメリカ民俗學100年目の省察から" 未來社 1996
34 西澤泰彦, "植民地建築紀行 - 滿洲朝鮮臺灣を歩く" 吉川弘文館 2002
35 金東旭, "新東亞 통권 제83" 東亞日報社 1971
36 J.H.スチュワード, "文化變化の理論-多系進化の方法論" 弘文堂 1979
37 김열규, "恨脈怨流" 주우 1981
38 신호, "「민속」지식의 역전 - 1960년대 이후, 강릉단오제를 사례로 하여" 비교민속학회 21 : 2001
39 Langdon Elsbree, "Ritual Passages and Narrative Structures" Peter Lang Publishing, Inc. 1991
40 Richard M. Dorson, "Folklore in the Modern World" MOUTON PUBLISHER 1978
41 Khosrowja, Hossein, "A Brief History of Area Studies and International Studies" Hoover Institution on War, Revolution, & Peace of Stanford University 33 : 2011
민요를 바라보는 몇 가지 시선 -임동권 선생의 『한국민요집』 살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