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농업경쟁력 제고의 방안으로 수행되고 있는 농업인 교육의 효과를 구명하고, 농가경영성과별로 농업인 교육 분야별 필요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농가경영성과별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14155
2011
Korean
농업인 교육 ; 농가소득 ; 농가부채 ; 대응일치분석 ; 필요도 분석 ; farmer education ; farm income ; farm debt ; correspondence analysis ; analysis of necessity
520.7
KCI등재
학술저널
79-100(22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농업경쟁력 제고의 방안으로 수행되고 있는 농업인 교육의 효과를 구명하고, 농가경영성과별로 농업인 교육 분야별 필요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농가경영성과별로 ...
이 연구는 농업경쟁력 제고의 방안으로 수행되고 있는 농업인 교육의 효과를 구명하고, 농가경영성과별로 농업인 교육 분야별 필요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농가경영성과별로 필요한 교육 분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 목적달성을 위한 분석 방법은 대응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및 대응일치분석이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교육과정에 대한 농가들의 교육 참여 이후 만족도 점수가 참여 이전 기대 점수보다 더 높아 농업인 교육 사업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농업인의 교육 필요도를 농가경영성과의 주요 지표인 소득과 부채를 기준으로 구분해본 결과, 경영능력배양과 농외소득증대 교육 필요도에서 공통적인 차별성이 존재하였다. 셋째, 대응일치분석을 통해 지각도를 그려본 결과, 농가 소득수준과 부채수준에 따라서 교육 분야에 대한 필요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교육과정을 개발함에 있어서 농가들의 소득수준과 부채수준도 사전에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시해주고 있다. 앞으로 농업인 교육은 농가경영성과에 따른 수요자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해 농업지식․기술 및 경영 능력에 대한 질적 변화를 기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농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clear up the effect of farmer education for upgrade in th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necessity in farmer education sector by farm management result. Additionally, it proposes farmer education sec...
This study is to clear up the effect of farmer education for upgrade in th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necessity in farmer education sector by farm management result. Additionally, it proposes farmer education sector that farmers need by farm management result. Analysis methods used for this study are paired t-test, one-way ANOVA test and correspondence analysis.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s that the effect of farmer education was over the expectation because satisfaction score was higher when farmer finished farmer education course compared to expectation score before participation in farmer education course. Second, there are common differences in necessity of farmer education course for the enhancement of management ability and the increase of nonfarm income in results that necessity of farmer education course was analyzed by income and debt level. Third, according to perceptual map through correspondence analysis, there are differences in necessity of farmer education course by income and debt level. It suggests that income and debt level have to be considered deeply in developing farm education course in advance. From now on, Farmer education course can make a qualitative change on the agricultural knowledge, techniques and management abilities by customized education course, effect positively on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e by extens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계수, "통계분석을 위한 SPSSWIN Easy" 법문사 2001
2 나승일, "맞춤형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모델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29-48, 2006
3 김진모, "농업?농촌발전을 위한 농업인 교육혁신 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75-111, 2006
4 박문호, "농업인민간위탁교육․훈련의 실태와 발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3
5 마상진, "농업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프로그램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5
6 강대구, "농업인력 구조변화에 따른 정예농업인력 육성방안 연구" 농림부 2004
7 문미경, "농업인대학 교육사업에 대한 성별영향평가" 서울행정학회 21 (21): 215-240, 2010
8 정철영, "농업인 평생학습체계 구축을 위한 농업인교육 발전방안 연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1-31, 2008
9 남양호, "농업인 특성별 교육성취도와 농업 경영활동 성과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3 (33): 41-65, 2010
10 임형백, "농업인 대학 교육이 농업인 소득에 미치는 효과" 한국농촌지도학회 16 (16): 69-98, 2009
1 김계수, "통계분석을 위한 SPSSWIN Easy" 법문사 2001
2 나승일, "맞춤형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모델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29-48, 2006
3 김진모, "농업?농촌발전을 위한 농업인 교육혁신 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75-111, 2006
4 박문호, "농업인민간위탁교육․훈련의 실태와 발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3
5 마상진, "농업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프로그램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5
6 강대구, "농업인력 구조변화에 따른 정예농업인력 육성방안 연구" 농림부 2004
7 문미경, "농업인대학 교육사업에 대한 성별영향평가" 서울행정학회 21 (21): 215-240, 2010
8 정철영, "농업인 평생학습체계 구축을 위한 농업인교육 발전방안 연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1-31, 2008
9 남양호, "농업인 특성별 교육성취도와 농업 경영활동 성과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3 (33): 41-65, 2010
10 임형백, "농업인 대학 교육이 농업인 소득에 미치는 효과" 한국농촌지도학회 16 (16): 69-98, 2009
11 김진모,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99-116, 2007
12 유병민,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농촌지도학회 17 (17): 45-74, 2010
13 장우환,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율성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3 (43): 95-117, 2011
14 농림부, "농업교육체계 개편방안" 2006
15 마상진, "농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한학습 활성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16 황혜성, "광역자치단체의 평생학습정책 효율성 분석: DEA와 Post-DEA(요인분석 및 심층면접)의 연계적 활용" 한국행정학회 42 (42): 211-235, 2008
17 박상일, "DEA를 활용한 국내 MBA 프로그램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60 (60): 133-164, 2010
특성화고의 산학협력교육에 대한 산업체 산학협력담당자의 인식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12-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8-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영문명 : 미등록 ->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10-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 ![]() |
2005-03-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1.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2 | 1.35 | 1.587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