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미디어의 발달에 의해, 대부분의 공공미술이 나 설치의 형태는 변화되어왔다. 최근의 공공미술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전통적인 기념물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공공미술 안에서 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95269
2009
Korean
공공미술 ; 뉴미디어 ; 도자예술 ; 미디어아트 ; LED 설치 ; public art ; new media ; ceramic art ; media art ; LED ; installation
6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1-32(12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새로운 미디어의 발달에 의해, 대부분의 공공미술이 나 설치의 형태는 변화되어왔다. 최근의 공공미술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전통적인 기념물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공공미술 안에서 양...
새로운 미디어의 발달에 의해, 대부분의 공공미술이 나 설치의 형태는 변화되어왔다. 최근의 공공미술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전통적인 기념물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공공미술 안에서 양식의 변화는 다양한 공간 과 결합뿐만 아니라 도자 매체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매체 실험을 통하여 기능적 의미성을 확장하여 왔다. 현대의 공공미술은 커뮤니티 기반 의 조형적 융합, 시각적 체험 증대, 양방향 소통체계, 과정 참여 등의 특성이 강하며, 관람자로 하여금 단순 히 작품을 감상하는 위치에서 벗어나 작품 환경 안에 거주하거나 조작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최근, 도시의 모든 환경에서 활용되는 도자매체는 내구성이나 조형적 융합이 유연하고 이미지 시각화적 인 특성이 강한 장점이 있으면 LED1)를 활용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기술은 기존의 조형물이나 광고판과 다른 친환경적 조형 기능과 유연한 영상 투영 기능을 가진다는 점에서 전통적 공공미술의 기능을 넘어서는 심미적, 사회적, 환경적, 정보생산 기능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공공미술의 개념 변화를 알아보고 최 근에 조성된 도자매체나 LED 등의 디지털 매체를 활 용하여 이미지 기반 시각화를 극대화한 공공조형물을 조사하고 전통적 공공미술과의 기능적 차이점을 분석 하고,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어떤 이미지 매체 특성들 이 현대 공공미술에 유용하고 실질적으로 적용되고 그 기능적 의미성이 확장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most of the forms of public arts and installations have been transformed. Recent public art has more than one meaning in a traditional monument installed in public places. Changes of style in public art have not on...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most of the forms of public arts and installations have been transformed. Recent public art has more than one meaning in a traditional monument installed in public places. Changes of style in public art have not only taken various spaces, but it has also expanded it`s functional meaning through media experiment including digital media and ceramic. Current public art has properties of community-based multicomposition, strong visual experience, bidirectional dialogue, process involvement, and participation. Also, it allows the viewer to reside within the audio-visual environment which it creates and to manipulate it beyond contemplation. The current use of ceramic for urban public structure has advantages for strong durability, visual properties, and flexibility in multi-composition. Digital media ha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of expanding the meaning of public art. LED Digital display technology have functions of flexible moving image display, composition, and green energy based presentation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raditional sign board or monument. These uses of new media in public art accelerate the function of beauty, social content, environment, information within public communication. In this study, the change of concept about public art was traced briefly first and secondly, we examined the current use of ceramic and LED media in public structure from the image based visual and plastic point of view. We also analyze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image media different from those of traditional public art and identified which characteristics of image media are useful and practically applied for public art.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현주, "한국의 도자벽화" 월간도예 2000
2 윤효녕, "주체개념의 비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3 오병근, "정보디자인의 잉여성적용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8 (18): 49-58, 2005
4 박삼철, "왜 공공미술인가" 학고재 2006
5 G. Y. 그레젤만, "상부구조론" 학민사 1988
6 G. 루카치, "미학논평" 문화과학사 1992
7 고성종, "국내 환경도자 조형물의 실태와 문제점" 월간도예 2002
8 Bolter, Jay D., "Window and Mirrors-Interaction Design, Digital Art, and the Myth of Transparency" MIT Press 2003
9 Richards, Russell, "Users, Interactivity and generation" 8 : 2006
10 Marshall McLuhan, "Understanding Media" Routledge 1964
1 조현주, "한국의 도자벽화" 월간도예 2000
2 윤효녕, "주체개념의 비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3 오병근, "정보디자인의 잉여성적용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8 (18): 49-58, 2005
4 박삼철, "왜 공공미술인가" 학고재 2006
5 G. Y. 그레젤만, "상부구조론" 학민사 1988
6 G. 루카치, "미학논평" 문화과학사 1992
7 고성종, "국내 환경도자 조형물의 실태와 문제점" 월간도예 2002
8 Bolter, Jay D., "Window and Mirrors-Interaction Design, Digital Art, and the Myth of Transparency" MIT Press 2003
9 Richards, Russell, "Users, Interactivity and generation" 8 : 2006
10 Marshall McLuhan, "Understanding Media" Routledge 1964
11 Jeehee, Lee, "Possibility of LED Displays as Public Art Media" 2009
12 Crimp, Douglas, "On the Museum's Ruins" MIT Press 1993
13 Whitelaw, Mitchell, "Metacreation. Art and Artificial Life" MIT Press 2004
14 Giannetti, Claudia, "Media Art Net-Aesthetics of the Digital" 2009
15 Lacy, Suzanne, "Mapping the Terrain: New Genre Public Art" Bay Press 1995
16 Kiousis, Spiro, "Interactivity: a concept explication" 4 : 2002
17 Burgin, Victor, "In/Different Spaces: Place and Memory in Visual Cul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
18 김진우, "Human Computer Interaction 개론" 안그라픽스 2005
19 Paul, Christine, "Digital Art" Thames & Hudson 2003
20 Finkelpearl, Tom, "Dialogues in Public Art" MIT Press 2000
21 빌 모그리지, "Designing Interactions" MIT Press 2007
창조적 도시문화환경을 위한 통합적 접근방법 -찰스 랜드리의〈창조도시〉를 중심으로-
TV드라마 외주제작 정책현황 및 대응방안 -사전제작 의무외주비율을 중심으로-
새로운 예술형식으로서의 인터랙티브 비디오 퍼포먼스 가능성 연구 -작품〈Cycle of Hollow(虛)〉를 중심으로-
응시의 시각적 재현에 관한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예술과 미디어학회 -> 예술과미디어학회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0-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 예술과 미디어학회영문명 : Council for Advanced Media & Moving pictures -> The Korean Society of Art and Media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7-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5 | 0.25 | 0.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3 | 0.531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