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부 농어촌지역 대학생의 구강건강상태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Sleep of College Student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 are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415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sleep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statu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 data samples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private universities in the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college student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 areas. Student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order to compare the or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impact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their sleep. A questionnaire was drawn up with items concerning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behavior and the quality of sleep in self-administered surveys. In total 59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the SPSS 20.0 program. S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alysis, independent-sample t-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sleep.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emales, juniors, major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nd those who had better oral health status and ones without oral diseases were less likely to perceive bad breath. Females, juniors, and majors in public health were less likely to experience xerostomia. Lower graders, majors in public health, those who had better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and ones without oral diseases were less likely to perceiv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symptoms. The quality of sleep was lowest for seniors, and those with better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and lower level of perceived TMJ symptoms showed higher quality of sleep. In short, oral health status, which is part of general health status, had a partial impact on the quality of sleep. For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sleep quality, preventive measures for oral health is essential. Also,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oral health education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arly detection of warning signs of oral health sympt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oral health polices. It will also enlighten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for college students in early adulthoo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sleep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statu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 data samples for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sleep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statu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 data samples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private universities in the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college student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 areas. Student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order to compare the or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impact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their sleep. A questionnaire was drawn up with items concerning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behavior and the quality of sleep in self-administered surveys. In total 59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the SPSS 20.0 program. S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alysis, independent-sample t-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sleep.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emales, juniors, major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nd those who had better oral health status and ones without oral diseases were less likely to perceive bad breath. Females, juniors, and majors in public health were less likely to experience xerostomia. Lower graders, majors in public health, those who had better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and ones without oral diseases were less likely to perceiv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symptoms. The quality of sleep was lowest for seniors, and those with better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and lower level of perceived TMJ symptoms showed higher quality of sleep. In short, oral health status, which is part of general health status, had a partial impact on the quality of sleep. For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sleep quality, preventive measures for oral health is essential. Also,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oral health education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arly detection of warning signs of oral health sympt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oral health polices. It will also enlighten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for college students in early adulthoo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경희, "한국 성인의 삶의 질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위생 학회 9 (9): 47-72, 2007

      2 육미경, "통증이 있는 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자기효능 및 지각된 사회적 지지" 경북간호과학회 2 (2): 57-69, 1998

      3 태일호,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의 통증양상과 수면과의 관계"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33 (33): 205-218, 2008

      4 김수진, "전라북도 일부 대학생들의 구강보건 인식 및 행태 조사 연구"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2

      5 권유림, "재가노인의 신체기능, 수면의 질,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6 이보람, "일부지역 치위생 전공 학생의 구강건강신념이 구강보건행태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5

      7 김은희, "일부지역 노인종합복지관 노인들의 주관적 구강상태와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와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4349-4358, 2013

      8 이선미, "일부대학생들의 구강건강인식과 그 영향 요인 분석" 한국치위생학회 7 (7): 41-51, 2007

      9 지민경,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구취실태와 스트레스 및 강박증과의 관계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7 (7): 1221-1228, 2012

      10 최정미,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구취 발생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 6 (6): 495-503, 2006

      1 송경희, "한국 성인의 삶의 질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위생 학회 9 (9): 47-72, 2007

      2 육미경, "통증이 있는 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자기효능 및 지각된 사회적 지지" 경북간호과학회 2 (2): 57-69, 1998

      3 태일호,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의 통증양상과 수면과의 관계"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33 (33): 205-218, 2008

      4 김수진, "전라북도 일부 대학생들의 구강보건 인식 및 행태 조사 연구"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2

      5 권유림, "재가노인의 신체기능, 수면의 질,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6 이보람, "일부지역 치위생 전공 학생의 구강건강신념이 구강보건행태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5

      7 김은희, "일부지역 노인종합복지관 노인들의 주관적 구강상태와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와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4349-4358, 2013

      8 이선미, "일부대학생들의 구강건강인식과 그 영향 요인 분석" 한국치위생학회 7 (7): 41-51, 2007

      9 지민경,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구취실태와 스트레스 및 강박증과의 관계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7 (7): 1221-1228, 2012

      10 최정미,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구취 발생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 6 (6): 495-503, 2006

      11 이현옥, "일부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구강 악습관과의 관련성" 한국치위생과학회 15 (15): 721-727, 2015

      12 김인아, "심리적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구강 악습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2

      13 이영호, "스트레스, 반추,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사고 및 경계가 대학생들의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18 (18): 121-142, 2013

      14 김미선, "순천시 일부지역 성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2

      15 조경애, "방문보건사업 노인 대상자의 구강건강 상태"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16 김승대, "대학생들의 생활습관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2795-2801, 2013

      17 강부명, "대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 방식: 성별, 학년별, 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8 조윤영, "노인의 구강보건행위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19 이다인, "근로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치위생과학회 13 (13): 480-486, 2013

      20 조경희,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1

      21 김종배, "공중구강보건학" 고문사 37-63, 2004

      22 임선영, "간호대학생과 일반 여자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 비교" 대한스트레스학회 18 (18): 119-124, 2010

      23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19367"

      24 Buysse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asearch" 28 : 193-213,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