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설에서 발생하는 노인학대가 증가하면서, 현장에서 돌봄을 제공하는 종사자들에 의한 인권침해 행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인의 안전을 위해 사용하는 신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32297
2025
Korean
Human rights ; Older adult ; Physical restraints ; Licensed caregiver ; Elder abuse ; Long-term care facilities ; 노인 인권 ; 신체억제 ; 요양보호사 ; 노인학대 ; 장기요양시설
KCI등재
학술저널
341-362(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시설에서 발생하는 노인학대가 증가하면서, 현장에서 돌봄을 제공하는 종사자들에 의한 인권침해 행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인의 안전을 위해 사용하는 신체...
최근 시설에서 발생하는 노인학대가 증가하면서, 현장에서 돌봄을 제공하는 종사자들에 의한 인권침해 행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인의 안전을 위해 사용하는 신체억제대가 신체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면서, 신체억제와 신체적 학대 사이의 모호한 경계가 노인의 인권을 침해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시설 종사자들의 신체억제 수행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신체억제를 지양할 수 있는 현장 프로토콜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17년 전국 2,484개소의 재가장기요양기관 및 재가노인복지시설에서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7,042명의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신체억제 수행경험에 대한 빈도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요양보호사는 신체억제를 인권침해 인식하는 정도가 높았으나, 수행 및 목격경험도 가장 많았다. 특히 간호조무사는 신체억제 수행 가능성이 가장 높았으며 타 종사자의 신체억제 행위를 목격할수록 수행 가능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노인의 의존도가 높거나 정부지원이 미비하다고 인식할수록 신체억제 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종사자의 인권침해 인식수준은 수행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신체억제 최소화를 위한 교육과 정책이 직종별 특성에 맞게 세분화 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elder abuse in care facilities has recently increased, there is growing concern about potential human rights violations by caregivers.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to ensure the safety of older residents raises questions about whether this practi...
As elder abuse in care facilities has recently increased, there is growing concern about potential human rights violations by caregivers.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to ensure the safety of older residents raises questions about whether this practice excessively infringes on their physical freedom. Given the blurry line between physical restraint and abuse, which could violate the rights of older adul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data to help develop protocols that minimize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by examin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caregivers' experiences with these practices. We used the secondary data from 2,484 day care centers in 2017, leading to the final analysis of 7,042 care workers, including licensed caregivers, social workers, nurses, and nurse aides. Using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of variance, and logistic regression,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workers in how they perceive, witness, and apply physical restraints. Licensed caregivers exhibited the greatest concern regarding human rights violations associated with physical restraints, yet they also reported the highest rates of performing or witnessing such practices. Notably, nurse aides were the most likely to use physical restraints, and the likelihood of performing restraints increased when they observed other workers engaging in such actions. Additionally, the care workers who perceived older residents as highly dependent or believed that government support was insufficient were more likely to use physical restraints. However, recognizing physical restraints as a human rights violation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whether care workers engaged in that practice.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education and polici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orker to minimize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노화태도, 신체활동, 성별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성공적 노화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노쇠군 노년기 성인의 우울감 수준과 사회적 존중감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