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고시 제2015-80호"
2 교육부, "사회과교육과정. 고시 제2015-74호"
3 모경환, "사회과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개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26, 2015
4 이광우,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교육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5 Bloom, B. S., "교육목표분류학 1" 교육과학사 1983
6 Anderson, L. W.,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아카데미프레스 2005
7 Devito, B., "Characterizing in two science classrooms by the cognitive processes demonstrated by student and teachers" Harvard University 2005
8 김영신,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570-579, 2007
9 강현석,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3 (53): 51-84, 2005
10 김명옥, "Bloom의 新敎育目標分類學에 基盤한 初等 國語科 敎育課程 目標 分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1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고시 제2015-80호"
2 교육부, "사회과교육과정. 고시 제2015-74호"
3 모경환, "사회과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개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26, 2015
4 이광우,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교육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5 Bloom, B. S., "교육목표분류학 1" 교육과학사 1983
6 Anderson, L. W.,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아카데미프레스 2005
7 Devito, B., "Characterizing in two science classrooms by the cognitive processes demonstrated by student and teachers" Harvard University 2005
8 김영신,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570-579, 2007
9 강현석,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3 (53): 51-84, 2005
10 김명옥, "Bloom의 新敎育目標分類學에 基盤한 初等 國語科 敎育課程 目標 分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11 조희형, "Bloom 등의 교육목표 분류론의 본질과 그 문제점" 9 : 29-36, 1984
12 Miller, A. D., "Applying Bloom's revised taxonomy within the framework of teaching for understanding to enhance the frequency and quality of student`s opportunities to develop and practice higher-level cognitive processes" Kalamazoo College 2004
13 Wilson, L. O., "Anderson and Krathwohl - Understanding the New Version of Bloom's Taxonomy"
14 Krathwohl, D. R., "A revision Bloom’s Taxonomy : An Overview" 41 (41): 212-218, 2002
15 은지용,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의 기본 방향과 주요 특징 및 변화 양상"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65-83, 2015
16 모경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8 (48): 1-30, 2016
17 설규주, "2015 <사회․문화> 교육과정 개발 과정과 특징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63-105,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