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사과 핵심역량 설정의 현황과 모순 = The states and contradictions of “Key Competencies” introduced in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253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at ought to be the crucial goals of teaching history? This question demands collaboration of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y. There are plenty of issues whose satisfactory solutions cannot be achieved with one-sided approach: Which historical knowledge should students acquire? What should be learned from these historical facts? How to train students to practice the methods of historical research? How to guide students to fai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exts? How to apply these lessons from the classes to students' real life? In light of these questions, General Guideline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Key Competencies seems to have less common ground with the inquiries of history researchers and teachers than the needs of labor market. Moreover the Key Competencies of the history curriculum proposed by the draft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merely follows that of General Guideline without bearing the context of recent discussions and researches in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gy.
      What ought to be taught, and why? Researchers and educators have always sought meaningful answers to these questions. What kind of abilities should middle school students obtain through the curriculum? How history teaching is helpful to students' practical life? What can be learned in the history and cannot be learned in the subjects other than history such as language arts, foreign language training or art class? Without interfacing with these endeavor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ts detailed classification of knowledge and abilities will constrict the content and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번역하기

      What ought to be the crucial goals of teaching history? This question demands collaboration of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y. There are plenty of issues whose satisfactory solutions cannot be achieved with one-sided approach: Which historical knowled...

      What ought to be the crucial goals of teaching history? This question demands collaboration of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y. There are plenty of issues whose satisfactory solutions cannot be achieved with one-sided approach: Which historical knowledge should students acquire? What should be learned from these historical facts? How to train students to practice the methods of historical research? How to guide students to fai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exts? How to apply these lessons from the classes to students' real life? In light of these questions, General Guideline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Key Competencies seems to have less common ground with the inquiries of history researchers and teachers than the needs of labor market. Moreover the Key Competencies of the history curriculum proposed by the draft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merely follows that of General Guideline without bearing the context of recent discussions and researches in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gy.
      What ought to be taught, and why? Researchers and educators have always sought meaningful answers to these questions. What kind of abilities should middle school students obtain through the curriculum? How history teaching is helpful to students' practical life? What can be learned in the history and cannot be learned in the subjects other than history such as language arts, foreign language training or art class? Without interfacing with these endeavor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ts detailed classification of knowledge and abilities will constrict the content and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의 문제에 관해,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교과서 내용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역사학습 내용 선정의 원리, 역사교육 목적과 목표에 관한 논의, 그 가운데 특히 역사의식과 역사적 사고력에 대한 논의들을 발전시켜 왔다. 또한, 최근에는 역사 문해력이라는 개념에도 주목해 왔다. 그러나 2015년 9월에 고시될 예정인 2015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에서 등장한 역사과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에는, 앞서 말한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의 논의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내용들이 핵심역량으로 강조되었다.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은 국가교육과정의 총론 차원에 우선적으로 도입이 시도된 개념이다. 애초에는 노동시장에 필요한 능력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 데 목적이 있는 직업교육의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확산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 경향은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소홀히 할 수 있고, 역량이 발현되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간과하며, 이론적 지식보다 실제적 지식을 강조함으로써 이론적 지식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며, 교육을 직업훈련교육으로 전락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그간 많은 연구가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이 총론 우위의 하향식 개발임을 지적해 왔듯, 이번 2015 국가교육과정 개발도 예외는 아니었다. 총론에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이에 맞춰 역사과 핵심역량을 설정하려는 시도는,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가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가’의 문제를 다뤄온 맥락과 별다른 접점을 이루지 못하였다. 게다가 핵심역량, 핵심 성취기준, 핵심개념 등이 왜 핵심적인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왜 중요한가? 이에 대한 물음에 대해 의미 있는 견해들을 내놓으려 하는 연구들은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이러한 기존 연구들과의 접점과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역사교사가 가르칠 내용과 방법을, 학생들이 배워야 할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지식과 능력을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선별한다면, 이 자체는 가르칠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번역하기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의 문제에 관해,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교과서 내용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역사학습 내용 선정의 원리, 역사교육 목적과 목표에 관...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의 문제에 관해,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교과서 내용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역사학습 내용 선정의 원리, 역사교육 목적과 목표에 관한 논의, 그 가운데 특히 역사의식과 역사적 사고력에 대한 논의들을 발전시켜 왔다. 또한, 최근에는 역사 문해력이라는 개념에도 주목해 왔다. 그러나 2015년 9월에 고시될 예정인 2015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에서 등장한 역사과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에는, 앞서 말한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의 논의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내용들이 핵심역량으로 강조되었다.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은 국가교육과정의 총론 차원에 우선적으로 도입이 시도된 개념이다. 애초에는 노동시장에 필요한 능력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 데 목적이 있는 직업교육의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확산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 경향은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소홀히 할 수 있고, 역량이 발현되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간과하며, 이론적 지식보다 실제적 지식을 강조함으로써 이론적 지식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며, 교육을 직업훈련교육으로 전락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그간 많은 연구가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이 총론 우위의 하향식 개발임을 지적해 왔듯, 이번 2015 국가교육과정 개발도 예외는 아니었다. 총론에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이에 맞춰 역사과 핵심역량을 설정하려는 시도는,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가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가’의 문제를 다뤄온 맥락과 별다른 접점을 이루지 못하였다. 게다가 핵심역량, 핵심 성취기준, 핵심개념 등이 왜 핵심적인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왜 중요한가? 이에 대한 물음에 대해 의미 있는 견해들을 내놓으려 하는 연구들은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이러한 기존 연구들과의 접점과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역사교사가 가르칠 내용과 방법을, 학생들이 배워야 할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지식과 능력을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선별한다면, 이 자체는 가르칠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미, "호주와 미국의 역사 교육과정에 나타난 핵심역량 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24 (24): 155-180, 2014

      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재구조화 방안 연구" 2013

      3 이근호,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4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미래교육 비전과 전략(안), 2007. 8. 13"

      5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2, 2007

      6 서우석, "초 중등학교에서의 직업기초능력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7 김한종, "이원순 교수 정년기념역사학논총" 교학사 1991

      8 양호환, "역사학습의 인식론적 모색" 75 : 2000

      9 양호환, "역사적 사고의 한계와 역사화의 가능성" 역사교육연구회 (87) : 187-213, 2003

      10 최상훈, "역사적 사고력의 학습 및 평가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 이미미, "호주와 미국의 역사 교육과정에 나타난 핵심역량 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24 (24): 155-180, 2014

      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재구조화 방안 연구" 2013

      3 이근호,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4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미래교육 비전과 전략(안), 2007. 8. 13"

      5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2, 2007

      6 서우석, "초 중등학교에서의 직업기초능력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7 김한종, "이원순 교수 정년기념역사학논총" 교학사 1991

      8 양호환, "역사학습의 인식론적 모색" 75 : 2000

      9 양호환, "역사적 사고의 한계와 역사화의 가능성" 역사교육연구회 (87) : 187-213, 2003

      10 최상훈, "역사적 사고력의 학습 및 평가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1 梁 豪 煥, "역사교육의 목적을 다시 묻는다" 역사교육연구회 (99) : 1-28, 2006

      12 정선영, "역사교육의 내용 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원 2003

      13 이영효, "역사교육의 내용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함께 2009

      14 강선주, "역사교육의 내용 선정과 조직 연구의 현황 및 문제" 역사교육연구회 (113) : 71-101, 2010

      15 방지원, "역사교육에서 ‘글쓰기 수업’의 실천과 연구 동향" 한국역사교육학회 (17) : 107-150, 2013

      16 강선주, "역사교육과 박물관 역사 전시의 만남" 한국역사교육학회 (16) : 7-36, 2012

      17 강선주, "역사교육계의 역사의식 이론과 학생들의 역사의식 조사 연구에 대한 검토" 역사교육학회 (51) : 129-165, 2013

      18 이종경, "역사과 핵심역량 중심의 창의·인성 교육 수업 모델 개발: 추체험을 통한 의사소통형" 역사교육연구회 (128) : 37-67, 2013

      19 김민정, "역사가처럼 읽기를 활용한 역사수업 구성방안" 9 : 2014

      20 김민정, "역사 수업 이론의 진전과 적용상의 도전" 역사교육연구회 (131) : 1-34, 2014

      21 박민정,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 분석:내재된 가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71-94, 2009

      22 송경오, "역량기반 교육개혁의 특징과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34 (34): 155-182, 2007

      2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래의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연구" 2008

      2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래사회의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연구" 2008

      2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교육과정, 교수 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를 중심으로" 2013

      26 이근호,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 - 교육과정, 교수 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7 윤현진,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비전 연구(Ⅰ): 핵심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2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총괄보고서" 2009

      2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연구(Ⅱ): 핵심역량 영역별 하위 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2008

      3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Ⅰ): 핵심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2007

      3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기반의 정보 교육 정책 방향 탐색" 2012

      32 김경훈,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기반의 정보 교육 정책 방향 탐색" 2012

      3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래 한국인을 위한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의 재구조화 방안 연구" 2009

      3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2012

      35 이근호,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36 진재관, "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 - 역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37 한국교육개발원, "국가 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질 관리 연구Ⅰ,Ⅱ,Ⅲ" 한국교육개발원 2001

      38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4호 [별책 7] 사회과 교육과정"

      39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4호 [별책 7] 사회과 교육과정"

      40 강선주, "고등학생과 역사가의 역사 텍스트 독해 양상과 텍스트 독해 교수학습 전략" 역사교육연구회 (125) : 129-182, 2013

      41 Matthew T. Downey, "Teaching for Historical Literacy: Building Knowledge in the History Classroom" Routledge 2015

      42 Jere Brophy,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in Elementary Schools" Teacher College Press 19-20, 1997

      43 John Slater, "Teaching History in the New Europe" Cassell 118-122, 1995

      44 Peter Lee, "Teaching History" Routledge 42-, 1994

      45 Sam Wineburg, "Reading Like a Historian:Teaching Literacy in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Classrooms" Teachers College Press 2012

      46 D. S. Rychen, "Investing in Competencies - but which competencies and for what? A contribution to the ANCLI/AEA Conference on Assessment Challenges for Democratic Society" 2003

      47 Jeffery Nokes, "Building Students' Historical Literacies: Learning to Read and Reason with Historical Texts and Evidence" Routledge 2012

      48 진재관, "2015년 역사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49 교육부, "2015 문 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시안) 2014. 9. 24"

      50 박순경,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중학교 핵심 성취기준 개발 연구: 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51 진재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중학교 역사과 핵심 성취기준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52 박진동,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역사과 핵심 성취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53 교육부, "2009 개정 교육과정(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발표 - ‘창의와 인성’을 강화하는 교육과정으로 개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A-CHONG(s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1 1.55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