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심시가지 재생을 위한 문화 선도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ultural Flagship Projects for Regenerating the City Cen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490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oretically the strategies, effects and problematic issues of cultural flagship projects in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and deriv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regenerating the city center. As many older industrial cities in the US and Europe have suffered inner city decline problems after the decen- tralization of economic activity and population, they have become more conscious of the need to regenerate city center, in the late 1980s. Urban regeneration is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vision and action which seeks to bring about a lasting improvement in the economic, phys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derelict urban areas. Cultural flagship projects for regenerating the city center are central to promotional strategies that seek to transform the image of declining older industrial cities. We define cultural flagship projects as cultural development focusing attention on the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facilities which play an influential role in urban regeneration. Many European cities implemented regeneration strategies based upon flagship projects that have been strongly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of US origins. The primary functions of flagship projects seems to produce beneficial impact such as creating physical regeneration, attracting investment and skilled workforce and increasing tourism and employment. And, Cultural strategies form the cornerstones of city's place marketing strategy. However, in the cases of Baltimore, Pittsburgh and Manchester, flagship projects have drawn many controversial issues. Flagship projects generate issues of redistribution such as spatial separation between business, cultural, entertainment center and the decaying neighborhoods of poor inhabitants.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the economic benefits flowing from investment in flagship projects will trickle down to local communities. They contribute, in some cases, to displacement and spatial segregation by social class. The cost of maintaining flagships can constitute a long term drain on public finances. It is also clear that imitation effects resulting in the proliferation of standardized models which do not tak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ity, can contribute to the cultural standardization. City center regeneration policy is reasonable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mart growth. But, it is necessary to adopt foreign experience after careful consider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oretically the strategies, effects and problematic issues of cultural flagship projects in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and deriv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regenerating the city center. As many older ind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oretically the strategies, effects and problematic issues of cultural flagship projects in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and deriv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regenerating the city center. As many older industrial cities in the US and Europe have suffered inner city decline problems after the decen- tralization of economic activity and population, they have become more conscious of the need to regenerate city center, in the late 1980s. Urban regeneration is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vision and action which seeks to bring about a lasting improvement in the economic, phys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derelict urban areas. Cultural flagship projects for regenerating the city center are central to promotional strategies that seek to transform the image of declining older industrial cities. We define cultural flagship projects as cultural development focusing attention on the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facilities which play an influential role in urban regeneration. Many European cities implemented regeneration strategies based upon flagship projects that have been strongly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of US origins. The primary functions of flagship projects seems to produce beneficial impact such as creating physical regeneration, attracting investment and skilled workforce and increasing tourism and employment. And, Cultural strategies form the cornerstones of city's place marketing strategy. However, in the cases of Baltimore, Pittsburgh and Manchester, flagship projects have drawn many controversial issues. Flagship projects generate issues of redistribution such as spatial separation between business, cultural, entertainment center and the decaying neighborhoods of poor inhabitants.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the economic benefits flowing from investment in flagship projects will trickle down to local communities. They contribute, in some cases, to displacement and spatial segregation by social class. The cost of maintaining flagships can constitute a long term drain on public finances. It is also clear that imitation effects resulting in the proliferation of standardized models which do not tak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ity, can contribute to the cultural standardization. City center regeneration policy is reasonable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mart growth. But, it is necessary to adopt foreign experience after careful consid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선진 산업국가에서 시행되어온 도시재생 및 문화 선도 프로젝트의 전략,효과,문제점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중심시가지 재생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산업화를 일찍 경험한 서구의 대도시들은 도시 중심부의 인구 및 경제활동이 분산되는 도시쇠퇴가 시작되었으며,1980년대 후반부터 도시재생을 위한 개발 전략들이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재생이란 쇠퇴지역의 경제적,물적,사회적,환경적 조건을 종합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이다. 전통적인 공업도시들 은 쇠퇴하고,낡은 이미지를 변화시키기 위해서,중심시가지 재생 수단으로 문화 선도 프로젝트를 활용하게 된다. 문화 선도 프로젝트는 문화유산을 보전하고,문화시설을 건립하는 등 문화적 요소를 중심으로 도시를 재생하는 전략으로서 처음 미국 도시들에서 시행되었으며,후에 많은 유럽도시들이 채택했다. 문화 선도 프로젝트는 물적 재생, 기업 투자와 숙련된 노동력의 유입,관광과 고용증대 등의 효과가 있다. 문화전략은 도시마케팅의 주요 수단으로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Baltimore,Pittsburgh,Manchester 등의 사례연구에서,선도 프로젝트의 결과 사업,문화,유흥이 있는 중심지와 이를 둘러싼 빈곤지역이 발생하는 등 재분배 문제가 나타났다. 경제적 편익이 자동적으로 지역사회로 파급될 것이라는 증거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또한 사회계층에 따른 배제나 분리를 가져왔다. 선도 프로젝트를 계속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공공재정의 고갈을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모방효과로 인해,지역성을 고려하지 않은 모델을 채택하여 문화표준화의 위험도 있다. 중심시가지의 재생은 지속가능한 개발 이념과 스마트 성장 운동의 측면에서도 당위성이 있다. 그러나 문화 선도 재생프로젝트의 이러한 문제점음 심사숙고하여 외국의 경험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선진 산업국가에서 시행되어온 도시재생 및 문화 선도 프로젝트의 전략,효과,문제점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중심시가지 재생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본 연구는 선진 산업국가에서 시행되어온 도시재생 및 문화 선도 프로젝트의 전략,효과,문제점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중심시가지 재생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산업화를 일찍 경험한 서구의 대도시들은 도시 중심부의 인구 및 경제활동이 분산되는 도시쇠퇴가 시작되었으며,1980년대 후반부터 도시재생을 위한 개발 전략들이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재생이란 쇠퇴지역의 경제적,물적,사회적,환경적 조건을 종합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이다. 전통적인 공업도시들 은 쇠퇴하고,낡은 이미지를 변화시키기 위해서,중심시가지 재생 수단으로 문화 선도 프로젝트를 활용하게 된다. 문화 선도 프로젝트는 문화유산을 보전하고,문화시설을 건립하는 등 문화적 요소를 중심으로 도시를 재생하는 전략으로서 처음 미국 도시들에서 시행되었으며,후에 많은 유럽도시들이 채택했다. 문화 선도 프로젝트는 물적 재생, 기업 투자와 숙련된 노동력의 유입,관광과 고용증대 등의 효과가 있다. 문화전략은 도시마케팅의 주요 수단으로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Baltimore,Pittsburgh,Manchester 등의 사례연구에서,선도 프로젝트의 결과 사업,문화,유흥이 있는 중심지와 이를 둘러싼 빈곤지역이 발생하는 등 재분배 문제가 나타났다. 경제적 편익이 자동적으로 지역사회로 파급될 것이라는 증거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또한 사회계층에 따른 배제나 분리를 가져왔다. 선도 프로젝트를 계속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공공재정의 고갈을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모방효과로 인해,지역성을 고려하지 않은 모델을 채택하여 문화표준화의 위험도 있다. 중심시가지의 재생은 지속가능한 개발 이념과 스마트 성장 운동의 측면에서도 당위성이 있다. 그러나 문화 선도 재생프로젝트의 이러한 문제점음 심사숙고하여 외국의 경험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