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춘란과 춘란 교배종의 GC/MS를 이용한 향기성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177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향성의 중국춘란과 향기가 없는 한국춘란의 인공교배를 통해 유향성 춘란품종의 육종이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중국춘란과 중국춘란 교배종의 주요 향기성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국춘 란 중 ‘여호접’과 ‘용자’ 그리고 ‘교배종 A’(한국춘란ב여호접’)와 ‘교배종 B’(중국춘란×한국춘란)를 GC/MS를 이용하여 향기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Gas chromatogram 분석에서 중국춘란 ‘여호 접’의 경우 총 50개의 peak가 나타났다. 그 중 5개의 주요 peak에 해당하는 향기성분으로는 farnesol (67.94%), β-farnesene( 1.45%), β-bisabolene(1.03%), perillene (0.98%), guaiacol (0.9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국춘란 ‘용자’의 경우 총 37개의 peak가 나타났다. 그 중 5개의 주요 peak에 대한 성분으로는 β-pinene(75.15%), nerolidol(8.57%), methyl jasmonate(2.99%) α-farnesene(2.48%), β-farnesene (2.11%)으로 추정되었다. ‘교배종 A’의 경우, 총 47개의 peak가 나타났다. 그 중 6개의 주요 peak에 대한 성분으로는 β-caryophyllene(58.72%), trans-α-bergamotene (15.92%), α-selinene(4.02%), α-farnesene(3.49%), β-farnesene (3.48%), nerolidol(2.62%)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교배종 B’의 경우, 총 31개의 peak가 나타났다. 그 중 9개의 주요 peak에 대한 성분으로는 guaiacol(23.38%), 1,4-dimethoxybenzene (12.59%), β-farnesene(10.62%), benzyl alcohol(10.49%), methyl jasmonate(6.46%), trans-α-bergamotene(4.29%), perillene(4.27%), β-caryophyllen(3.85%), methyl heptenone(3.08%)인 것으로 판 단되었다. 4개의 춘란 종류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향기성분 은 β-farnesene이었다. 중국춘란 품종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α-cedrene, cis-α-bergamotene, santalene, eryngial, veratrol, nerylacetone 등의 휘발성분들이 ‘교배종 A’와 ‘교배종 B’에서 검출되었다. 그 중 ‘교배종 A’와 ‘교배종 B’에서 공통으로 발견된 trans-α-bergamotene은 한국춘란 교배친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 정된다. 이는 중국춘란과 한국춘란간의 교배과정을 통해 새로 운 향기성분조성을 지니는 품종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 하였다.
      번역하기

      유향성의 중국춘란과 향기가 없는 한국춘란의 인공교배를 통해 유향성 춘란품종의 육종이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중국춘란과 중국춘란 교배종의 주요 향기성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국...

      유향성의 중국춘란과 향기가 없는 한국춘란의 인공교배를 통해 유향성 춘란품종의 육종이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중국춘란과 중국춘란 교배종의 주요 향기성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국춘 란 중 ‘여호접’과 ‘용자’ 그리고 ‘교배종 A’(한국춘란ב여호접’)와 ‘교배종 B’(중국춘란×한국춘란)를 GC/MS를 이용하여 향기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Gas chromatogram 분석에서 중국춘란 ‘여호 접’의 경우 총 50개의 peak가 나타났다. 그 중 5개의 주요 peak에 해당하는 향기성분으로는 farnesol (67.94%), β-farnesene( 1.45%), β-bisabolene(1.03%), perillene (0.98%), guaiacol (0.9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국춘란 ‘용자’의 경우 총 37개의 peak가 나타났다. 그 중 5개의 주요 peak에 대한 성분으로는 β-pinene(75.15%), nerolidol(8.57%), methyl jasmonate(2.99%) α-farnesene(2.48%), β-farnesene (2.11%)으로 추정되었다. ‘교배종 A’의 경우, 총 47개의 peak가 나타났다. 그 중 6개의 주요 peak에 대한 성분으로는 β-caryophyllene(58.72%), trans-α-bergamotene (15.92%), α-selinene(4.02%), α-farnesene(3.49%), β-farnesene (3.48%), nerolidol(2.62%)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교배종 B’의 경우, 총 31개의 peak가 나타났다. 그 중 9개의 주요 peak에 대한 성분으로는 guaiacol(23.38%), 1,4-dimethoxybenzene (12.59%), β-farnesene(10.62%), benzyl alcohol(10.49%), methyl jasmonate(6.46%), trans-α-bergamotene(4.29%), perillene(4.27%), β-caryophyllen(3.85%), methyl heptenone(3.08%)인 것으로 판 단되었다. 4개의 춘란 종류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향기성분 은 β-farnesene이었다. 중국춘란 품종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α-cedrene, cis-α-bergamotene, santalene, eryngial, veratrol, nerylacetone 등의 휘발성분들이 ‘교배종 A’와 ‘교배종 B’에서 검출되었다. 그 중 ‘교배종 A’와 ‘교배종 B’에서 공통으로 발견된 trans-α-bergamotene은 한국춘란 교배친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 정된다. 이는 중국춘란과 한국춘란간의 교배과정을 통해 새로 운 향기성분조성을 지니는 품종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ross-hybridization between fragrant Cymbidium forrestii ROLF and non-fragrant C. goeringii LINDLEY was performed to produce new fragrant hybri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jor f ragrance components in C. forrestii ‘Yeohojeop’ and ‘Yongja’, and the hybrids C. goeringii × ‘Yeohojeop’ (hybrid A) and C. forrestii × C. goeringii (hybrid B)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alyses. In total, 50 peaks were observed in the gas chromatogram of ‘Yeohojeop’, with five major peaks appearing to correspond with farnesol (67.94%), β-farnesene (1.45%), β-bisabolene (1.03%), perillene (0.98%), and guaiacol (0.92%). The gas chromatogram of ‘Yongja’ included 37 peaks, five of which were presumed to be β-pinene (75.15%), nerolidol (8.57%), methyl jasmonate (2.99%), α-farnesene (2.48%), and β-farnesene (2.11%). A total of 47 peaks were observed in the gas chromatogram of ‘hybrid A’, six of which were considered to be β-caryophyllene (58.72%), trans-α-bergamotene (15.92%), α-selinene (4.02%), α-farnesene (3.49%), β-farnesene (3.48%), and nerolidol (2.62%). Finally, among the 31 peaks from ‘hybrid B’, nine major peaks were presumed to be guaiacol (23.38%), 1,4-dimethoxybenzene (12.59%), β-farnesene (10.62%), benzyl alcohol (10.49%), methyl jasmonate (6.46%), trans-α-bergamotene (4.29%), perillene (4.27%), β-caryophyllen (3.85%), and methyl heptenone (3.08%). Among these fragrance components, β-farnesene was most commonly detected in these four Cymbidium taxa. Some volatiles that were not detectable in C. forrestii were d etected in hybrids A a nd B , su ch a s α-cedrene, cis-α-bergamotene, santalene, eryngial, veratrol, nerylacetone, and trans-α-bergamotene, and so these are presumed to have originated from C. goeringii. Thus, it appears that hybrids with new fragrance compositions can be bred through the cross-hybridization of C. forrestii with C. goeringii.
      번역하기

      Cross-hybridization between fragrant Cymbidium forrestii ROLF and non-fragrant C. goeringii LINDLEY was performed to produce new fragrant hybri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jor f ragrance components in C. forrestii ‘Yeohojeop’ an...

      Cross-hybridization between fragrant Cymbidium forrestii ROLF and non-fragrant C. goeringii LINDLEY was performed to produce new fragrant hybri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jor f ragrance components in C. forrestii ‘Yeohojeop’ and ‘Yongja’, and the hybrids C. goeringii × ‘Yeohojeop’ (hybrid A) and C. forrestii × C. goeringii (hybrid B)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alyses. In total, 50 peaks were observed in the gas chromatogram of ‘Yeohojeop’, with five major peaks appearing to correspond with farnesol (67.94%), β-farnesene (1.45%), β-bisabolene (1.03%), perillene (0.98%), and guaiacol (0.92%). The gas chromatogram of ‘Yongja’ included 37 peaks, five of which were presumed to be β-pinene (75.15%), nerolidol (8.57%), methyl jasmonate (2.99%), α-farnesene (2.48%), and β-farnesene (2.11%). A total of 47 peaks were observed in the gas chromatogram of ‘hybrid A’, six of which were considered to be β-caryophyllene (58.72%), trans-α-bergamotene (15.92%), α-selinene (4.02%), α-farnesene (3.49%), β-farnesene (3.48%), and nerolidol (2.62%). Finally, among the 31 peaks from ‘hybrid B’, nine major peaks were presumed to be guaiacol (23.38%), 1,4-dimethoxybenzene (12.59%), β-farnesene (10.62%), benzyl alcohol (10.49%), methyl jasmonate (6.46%), trans-α-bergamotene (4.29%), perillene (4.27%), β-caryophyllen (3.85%), and methyl heptenone (3.08%). Among these fragrance components, β-farnesene was most commonly detected in these four Cymbidium taxa. Some volatiles that were not detectable in C. forrestii were d etected in hybrids A a nd B , su ch a s α-cedrene, cis-α-bergamotene, santalene, eryngial, veratrol, nerylacetone, and trans-α-bergamotene, and so these are presumed to have originated from C. goeringii. Thus, it appears that hybrids with new fragrance compositions can be bred through the cross-hybridization of C. forrestii with C. goeringii.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현희, "정향(Eugenia caryophyllata Thunb.) Eugenol 및 그 유도체의 항산화 및 항염증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361-1370, 2011

      2 이주현, "일경일화 복륜무늬 향 춘란 ‘아리울’" 한국육종학회 47 (47): 454-458, 2015

      3 이주현, "일경다화 복륜무늬 향 춘란 ‘줄리’" 한국육종학회 47 (47): 459-463, 2015

      4 전주연, "녹차와 갈근을 혼합한 차의 휘발성 향기성분" 한국생명과학회 20 (20): 350-355, 2010

      5 이상현, "가시오갈피나무의 정유성분 GC/MS 분석" 한국생약학회 38 (38): 327-333, 2007

      6 Gibson R W, "Wild potato repels aphids by release of aphid alarm pheromone" 302 : 608-609, 1983

      7 Chaichana J, "Volatile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Gardenia jasminoides" 23 : 141-145, 2009

      8 Edwards LJ, "Trans-betafarnesene, alarm pheromone of green peach aphid, Myzuspersicae(Sulzer)" 241 : 126-127, 1973

      9 Andersen FJ, "The composition of the floral odor of Cucurbita maxima Duchesne (Cucurbitaceae)" 35 : 60-62, 1987

      10 Kaiser R, "The Scent of Orchids" Elsevier Science Ltd 1993

      1 임현희, "정향(Eugenia caryophyllata Thunb.) Eugenol 및 그 유도체의 항산화 및 항염증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361-1370, 2011

      2 이주현, "일경일화 복륜무늬 향 춘란 ‘아리울’" 한국육종학회 47 (47): 454-458, 2015

      3 이주현, "일경다화 복륜무늬 향 춘란 ‘줄리’" 한국육종학회 47 (47): 459-463, 2015

      4 전주연, "녹차와 갈근을 혼합한 차의 휘발성 향기성분" 한국생명과학회 20 (20): 350-355, 2010

      5 이상현, "가시오갈피나무의 정유성분 GC/MS 분석" 한국생약학회 38 (38): 327-333, 2007

      6 Gibson R W, "Wild potato repels aphids by release of aphid alarm pheromone" 302 : 608-609, 1983

      7 Chaichana J, "Volatile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Gardenia jasminoides" 23 : 141-145, 2009

      8 Edwards LJ, "Trans-betafarnesene, alarm pheromone of green peach aphid, Myzuspersicae(Sulzer)" 241 : 126-127, 1973

      9 Andersen FJ, "The composition of the floral odor of Cucurbita maxima Duchesne (Cucurbitaceae)" 35 : 60-62, 1987

      10 Kaiser R, "The Scent of Orchids" Elsevier Science Ltd 1993

      11 Lee JS, "Studies on species of wild orchid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Korea" 19 : 31-54, 1984

      12 Kromidas L, "Release of antimicrobial actives from microcapsules by the action of axillary bacteria" 28 : 103-108, 2006

      13 Kang DJ, "Relationship between phytoncid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wind velocity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forest" Kookmin Univ 2012

      14 Dorfner R, "Real-time monitoring of 4-vinylguaiacol, guaiacol, and phenol during coffee roasting by resonant laser 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51 : 5768-5773, 2003

      15 Lee ER, "Orchid" Jongienara 2006

      16 Ferreira FM, "Nerolidol effects on mitochondrial and cellular energetics" 26 : 189-196, 2012

      17 Park P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terspecific hybrids among Cymbidium spp" 28 : 126-126, 2010

      18 Huang W, "Molecular cloning and functional analysis of three FLOWERING LOCUS T (FT)homologous genes from chinesecymbidium" 13 : 11385-11398, 2012

      19 Ono T, "Headspace constituents of flowers of Neofinetia falcata" 13 : 53-57, 1999

      20 Fäldt J, "Functional identification of AtTPS03 as (E)-β-ocimene synthase: a monoterpene synthase catalyzing jasmonate- and wound-induced volatile formation in Arabidopsis thaliana" 216 : 745-751, 2003

      21 Rakthaworn P, "Extraction methods for tuberose oil and their chemical components" 43 : 204-211, 2009

      22 Lee JH, "Extraction and safety research of caryophyllene from Eugeniaeflos" Chungang Univ 2012

      23 Nitta M, "Essential oil variation of cultivated and wild perillaanalyzed by GC/MS" 34 : 25-37, 2006

      24 Kim SM, "Effects of oriental orchid fragrance on human brain waves and psychology" Korea Univ 2016

      25 Junsrigival J, "Determination of volatile constituents of Thai fragrance orchid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ith solid-phase microextraction" 12 : 43-57, 2013

      26 Melliou E,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s of Orchis italica and Orchis quadripunctata f rom Greece" 18 : 629-639, 2006

      27 Rao YR,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and head space of flowers of Jasminum sambac ( Linn) Ait" 46 : 49-53, 2002

      28 Rodrigues ACBC, "Antitumor properties of the essential oil from the leaves of Duguetia gardneriana" 81 : 798-803, 2015

      29 Bernhard RA, "Analysis and composition of oil of lemon by gas-liquid chromatography" 3 : 471-476, 1960

      30 Chris G, "A review and synthesis of monoterpenespeciation from forests in the united states" 34 : 1761-1781,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 한국화훼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Flower Industry Development ->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10-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훼연구회 ->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Flower Research Society -> Korean Association for Flower Industry Development
      KCI등재
      2006-09-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훼연구회지 -> 화훼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Flower Research Society -> Flower Research Journal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7 0.50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