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창조적 수업을 위한 비판-구성적 교수모델 탐구 = Kkritisch-konstruktive Didaktik fuer einen kreativen Unterric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307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창조적 수업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현대 독일교육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Klafki의 비판-구성적 교수모델을 탐구한 것이다. 우선 비판-구성적 교수모델의 성립배경과 이 교수모델의 교육철학적 기반인 도야이론(Bildungstheorie)을 살펴 본 후 교육내용으로서 '시대적 핵심문제(epochaltypische Schluesselprobleme)'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어 비판-구성적 교수모델에 입각한 수업 사례를 통해 창조적 수업의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현장의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로써 21세기 '창조화' 시대를 맞아 인권, 성, 평화, 환경, 정보화와 같은 시대의 핵심문제들을 자라나는 세대에게 어떻게 인식시키고, 가르쳐야 할 것인가에 대한 나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창조적 수업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현대 독일교육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Klafki의 비판-구성적 교수모델을 탐구한 것이다. 우선 비판-구성적 교수모델의 성립...

      본 연구는 창조적 수업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현대 독일교육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Klafki의 비판-구성적 교수모델을 탐구한 것이다. 우선 비판-구성적 교수모델의 성립배경과 이 교수모델의 교육철학적 기반인 도야이론(Bildungstheorie)을 살펴 본 후 교육내용으로서 '시대적 핵심문제(epochaltypische Schluesselprobleme)'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어 비판-구성적 교수모델에 입각한 수업 사례를 통해 창조적 수업의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현장의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로써 21세기 '창조화' 시대를 맞아 인권, 성, 평화, 환경, 정보화와 같은 시대의 핵심문제들을 자라나는 세대에게 어떻게 인식시키고, 가르쳐야 할 것인가에 대한 나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zielt darauf, Theorie und Praxis der kritisch- konstruktiven Didaktik Wolfgang Klafkis herauszuarbeiten, um Herausfogerung fuer einen kreativen Unterricht zu finden. Da der Bildungsbegriff in dieser Didaktik im Vordergrund steht, gehe ich auf drei Grundfaehigkeiten, d.h. Selbstbestimmungs-, Mitbestimmungs-, Solidaritaetsfaehigkeit. Dabei geht es um epochaltypische Schluesselprobleme, z. B. Friedensfrage, Umweltproblem, Weltbevoelkerung und Ungleichheit. Klafki nennt den auf Schluesselprobleme gerichteten Unterricht Problemunterricht. Fuer den Problemunterricht gelten Unterrichtsprinzipien wie Lernen des Lernens, Praktisches Lernen, soziales Lernen.
      Mit einem konkreten Beispiel "C-Waffen und die Zukunft der Menschheit" wollte ich zeigen, wie solche Probleme im Unterricht zu behandeln sind. Auf diese Art und Weise kann m.E. unsere Schule auch unsere eigenen Probleme wie Wiedervereini- gung, soziale Ungleichheit, Umweltprobleme, Futurtechnologien usw. im Unterricht kreativ herausarbeiten.
      번역하기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zielt darauf, Theorie und Praxis der kritisch- konstruktiven Didaktik Wolfgang Klafkis herauszuarbeiten, um Herausfogerung fuer einen kreativen Unterricht zu finden. Da der Bildungsbegriff in dieser Didaktik im Vordergrund...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zielt darauf, Theorie und Praxis der kritisch- konstruktiven Didaktik Wolfgang Klafkis herauszuarbeiten, um Herausfogerung fuer einen kreativen Unterricht zu finden. Da der Bildungsbegriff in dieser Didaktik im Vordergrund steht, gehe ich auf drei Grundfaehigkeiten, d.h. Selbstbestimmungs-, Mitbestimmungs-, Solidaritaetsfaehigkeit. Dabei geht es um epochaltypische Schluesselprobleme, z. B. Friedensfrage, Umweltproblem, Weltbevoelkerung und Ungleichheit. Klafki nennt den auf Schluesselprobleme gerichteten Unterricht Problemunterricht. Fuer den Problemunterricht gelten Unterrichtsprinzipien wie Lernen des Lernens, Praktisches Lernen, soziales Lernen.
      Mit einem konkreten Beispiel "C-Waffen und die Zukunft der Menschheit" wollte ich zeigen, wie solche Probleme im Unterricht zu behandeln sind. Auf diese Art und Weise kann m.E. unsere Schule auch unsere eigenen Probleme wie Wiedervereini- gung, soziale Ungleichheit, Umweltprobleme, Futurtechnologien usw. im Unterricht kreativ herausarbeit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비판-구성적 교수모델의 개념과 특징
      • Ⅲ. '주제수업'의 예: 화학무기와 인류의 생존
      • Ⅳ. 나오는 말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비판-구성적 교수모델의 개념과 특징
      • Ⅲ. '주제수업'의 예: 화학무기와 인류의 생존
      • Ⅳ. 나오는 말
      • <參考文獻>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