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첨단재생의료법의 입법 동향과 시사점 = Legislative Trends and Implications of the Advanced Regenerative Medicine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42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줄기세포, 재생의료는 사회적 주목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적 · 산업적으로도 관심이 큰 분야이다. 특히 첨단재생의료 연구의 주된 대상이 되는 줄기세포는 특정한 세포로 분화가 진행되지 않은 채 유지되다가 신경, 혈액, 연골 등 신체를 구성하는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가능성을 갖춘 세포로서 최근 재생의학에 있어 손상된 세포 · 조직 등을 바꾸어 근원적으로 치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재생의료는 국가경쟁력을 확보하여 산업화할 수 있다는 정책적 기대감도 크지만,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잠재적 위험성이 많은 분야라는 점에서 법적 규제가 필요한 분야이다. 이에 따라 몇 차례의 입법을 시도한 끝에, 재생의료 임상연구실시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패스트트랙을 골자로 하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첨단재생의료법)이 지난 8월 2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첨단재생의료법은 2013년부터 준비해온 것으로, 2016년 첫 발의된 이후 약 3년간 논의를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법사위에 계류되어 난항을 겪었던 만큼 이번 법안 통과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첨단재생의료법에 대하여 일각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시술의 안전성 및 유효성에 의문을 가지면서 법안에 대하여 시기상조 논란도 있었다. 오히려 이런 논란을 발판삼아 국가차원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더욱 강화하고 세계적으로 뛰어난 재생의료 분야로 성장시킴으로써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줄기세포, 재생의료는 사회적 주목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적 · 산업적으로도 관심이 큰 분야이다. 특히 첨단재생의료 연구의 주된 대상이 되는 줄기세포는 특정한 세포로 분화가 진...

      줄기세포, 재생의료는 사회적 주목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적 · 산업적으로도 관심이 큰 분야이다. 특히 첨단재생의료 연구의 주된 대상이 되는 줄기세포는 특정한 세포로 분화가 진행되지 않은 채 유지되다가 신경, 혈액, 연골 등 신체를 구성하는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가능성을 갖춘 세포로서 최근 재생의학에 있어 손상된 세포 · 조직 등을 바꾸어 근원적으로 치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재생의료는 국가경쟁력을 확보하여 산업화할 수 있다는 정책적 기대감도 크지만, 불확실성과 그로 인한 잠재적 위험성이 많은 분야라는 점에서 법적 규제가 필요한 분야이다. 이에 따라 몇 차례의 입법을 시도한 끝에, 재생의료 임상연구실시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패스트트랙을 골자로 하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첨단재생의료법)이 지난 8월 2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첨단재생의료법은 2013년부터 준비해온 것으로, 2016년 첫 발의된 이후 약 3년간 논의를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법사위에 계류되어 난항을 겪었던 만큼 이번 법안 통과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첨단재생의료법에 대하여 일각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시술의 안전성 및 유효성에 의문을 가지면서 법안에 대하여 시기상조 논란도 있었다. 오히려 이런 논란을 발판삼아 국가차원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더욱 강화하고 세계적으로 뛰어난 재생의료 분야로 성장시킴으로써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generative medicine has a high policy expectation that it can be industrialized by securing national competitiveness, but it is a field that requires legal regulation in that it is a field of uncertainty and potential risks. After several legislative attempts, the Advanced Regenerative Medicine Act passed the National Assembly"s plenary session on August 2. The advanced regenerative medicine law has been prepared since 2013, and although it has been discussed for about three years since it was first initiated in 2016, it is a significant meaning to pass the bill since it was recently suspended by a judicial commission.
      However, there were some controversial controversies about the bill, as some questioned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stem cell-based procedures. On the contrar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upport the advancement of the new growth engine industry by further strengthening safety and effectiveness at the national level and growing into a world-leading regenerative medicine field.
      번역하기

      Regenerative medicine has a high policy expectation that it can be industrialized by securing national competitiveness, but it is a field that requires legal regulation in that it is a field of uncertainty and potential risks. After several legislativ...

      Regenerative medicine has a high policy expectation that it can be industrialized by securing national competitiveness, but it is a field that requires legal regulation in that it is a field of uncertainty and potential risks. After several legislative attempts, the Advanced Regenerative Medicine Act passed the National Assembly"s plenary session on August 2. The advanced regenerative medicine law has been prepared since 2013, and although it has been discussed for about three years since it was first initiated in 2016, it is a significant meaning to pass the bill since it was recently suspended by a judicial commission.
      However, there were some controversial controversies about the bill, as some questioned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stem cell-based procedures. On the contrar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upport the advancement of the new growth engine industry by further strengthening safety and effectiveness at the national level and growing into a world-leading regenerative medicine fiel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첨단재생의료법의 입법 과정과 주요 내용
      • Ⅲ. 첨단재생의료법의 해외 동향
      • Ⅳ. 첨단재생의료법의 시사점과 향후 과제
      • 요약
      • Ⅰ. 서론
      • Ⅱ. 첨단재생의료법의 입법 과정과 주요 내용
      • Ⅲ. 첨단재생의료법의 해외 동향
      • Ⅳ. 첨단재생의료법의 시사점과 향후 과제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병기, "희귀·난치환자에 새로운 치료 기회 열린다" 후생신보

      2 이민규, "최근 일본의 줄기세포·재생의료에 관한 정책 및 입법 동향" 대한의료법학회 16 (16): 191-219, 2015

      3 보건복지위원회, "첨단재생의료의 지원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 검토보고" 2016

      4 김현철, "첨단재생의료법안 도입의 주요쟁점" 법학연구소 10 (10): 39-64, 2019

      5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제2기 재생의료 지원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2018

      6 김보배,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생명의료법연구소 9 (9): 185-203, 2015

      7 하대청, "유럽의 세포치료제 규제 프레임웍의 특성" 2 (2): 2013

      8 이세정, "신성장분야 규제법제개선연구(Ⅱ)" 2018

      9 박대웅, "보건의료 패러다임 전환기의 규제 쟁점과 시사점–정밀의료・재생의료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0 : 37-62, 2018

      10 김은진, "美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관련 법률 제정의 의미" (5) : 2019

      1 윤병기, "희귀·난치환자에 새로운 치료 기회 열린다" 후생신보

      2 이민규, "최근 일본의 줄기세포·재생의료에 관한 정책 및 입법 동향" 대한의료법학회 16 (16): 191-219, 2015

      3 보건복지위원회, "첨단재생의료의 지원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 검토보고" 2016

      4 김현철, "첨단재생의료법안 도입의 주요쟁점" 법학연구소 10 (10): 39-64, 2019

      5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제2기 재생의료 지원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2018

      6 김보배,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생명의료법연구소 9 (9): 185-203, 2015

      7 하대청, "유럽의 세포치료제 규제 프레임웍의 특성" 2 (2): 2013

      8 이세정, "신성장분야 규제법제개선연구(Ⅱ)" 2018

      9 박대웅, "보건의료 패러다임 전환기의 규제 쟁점과 시사점–정밀의료・재생의료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0 : 37-62, 2018

      10 김은진, "美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관련 법률 제정의 의미" (5) : 2019

      11 "European Medicines Agency"

      12 "Congress.gov : Library of Congres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재)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 (재) 국가생명윤리정책원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