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유 부동산의 사용·수익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819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공유물의 사용수익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논의는 다른 공동소유의 형태인 총유, 합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는 어떠한 물건이 다수의 이해관계 대상이 된다고 하더라도 공동의 목적이 뚜렷하고 일정한 목적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면 이는 공유관계가 아니라 조합 또는 비법인 사단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유물의 사용·수익에 있어서 관리행위의 한계는 분명히 해 둘 필요가 있다. 이는 민법이 공유물에 대한 행위유형으로 보존행위, 관리행위, 처분 또는 변경행위라는 3가지 유형을 인정하면서 그 각각의 행위유형 별로 행사요건에 차이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적법한 관리행위로 인정되기 위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그 행위는 공유자들 사이에 무효일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도 무효가 되어 제3자는 불측의 손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문제에 대하여 기존의 판례는 과반수 지분권을 가지고 있는 공유자의 횡포를 거의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과반수 지분권자는 다른 지분권자와의 어떠한 협의가 없더라도 공유물의 관리방법을 일방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그러한 결정이 공유물 중 특정된 부분을 점유하는 한 유효하다고 한다. 물론 공유물은 다수 지분권자의 이해가 대립되어 그들 사이에 적절한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부득이 지분의 과반수로 결정할 수밖에 없도록 함으로써 공유물을 그 용도에 맞게 사용하도록 하려는 판시 취지는 수긍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과반수 지분권자의 횡포를 방치할 경우 일부의 지분만으로 사실상 공유물 전부를 사용·수익하게 하는 결과가 되어 다른 지분권자의 사용·수익권을 박탈하는 결과가 되어 부당하다. 나아가 이러한 불평등으로 지분권을 행사할 수 없는 소수지분권가 공유물 분할이라는 방법으로 공유관계를 해소하려고 하여도 다수자의 횡포가 방치되는 한 소수지분권의 교환가치는 매우 낮게 평가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결국 소수지분권자는 지분권의 핵심적 가치인 사용·수익권과 교환가치 모두에 대한 불이익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단순히 다수의 논리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지분권의 본질적 가치에 중점을 두는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공유물의 사용수익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논의는 다른 공동소유의 형태인 총유, 합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는 어떠한 물건이 다수의 이해관계 대상이 된다고 하더라도 ...

      공유물의 사용수익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논의는 다른 공동소유의 형태인 총유, 합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는 어떠한 물건이 다수의 이해관계 대상이 된다고 하더라도 공동의 목적이 뚜렷하고 일정한 목적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면 이는 공유관계가 아니라 조합 또는 비법인 사단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유물의 사용·수익에 있어서 관리행위의 한계는 분명히 해 둘 필요가 있다. 이는 민법이 공유물에 대한 행위유형으로 보존행위, 관리행위, 처분 또는 변경행위라는 3가지 유형을 인정하면서 그 각각의 행위유형 별로 행사요건에 차이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적법한 관리행위로 인정되기 위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그 행위는 공유자들 사이에 무효일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도 무효가 되어 제3자는 불측의 손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문제에 대하여 기존의 판례는 과반수 지분권을 가지고 있는 공유자의 횡포를 거의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과반수 지분권자는 다른 지분권자와의 어떠한 협의가 없더라도 공유물의 관리방법을 일방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그러한 결정이 공유물 중 특정된 부분을 점유하는 한 유효하다고 한다. 물론 공유물은 다수 지분권자의 이해가 대립되어 그들 사이에 적절한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부득이 지분의 과반수로 결정할 수밖에 없도록 함으로써 공유물을 그 용도에 맞게 사용하도록 하려는 판시 취지는 수긍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과반수 지분권자의 횡포를 방치할 경우 일부의 지분만으로 사실상 공유물 전부를 사용·수익하게 하는 결과가 되어 다른 지분권자의 사용·수익권을 박탈하는 결과가 되어 부당하다. 나아가 이러한 불평등으로 지분권을 행사할 수 없는 소수지분권가 공유물 분할이라는 방법으로 공유관계를 해소하려고 하여도 다수자의 횡포가 방치되는 한 소수지분권의 교환가치는 매우 낮게 평가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결국 소수지분권자는 지분권의 핵심적 가치인 사용·수익권과 교환가치 모두에 대한 불이익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단순히 다수의 논리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지분권의 본질적 가치에 중점을 두는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scussions over issues concerning use of and profit from jointly owned properties are relatively small compared with other forms of article jointly owned such as collective ownership and partnership-ownership. This is because the rules about unincorporated association are applied even though it becomes a target of common interest but does not have joint ownership, if a certain article has a clear common purpose and exists for a certain purpose. The limitation of management act about the use of and profit from article jointly owned is required to keep clear. The reason is that the civil law has the differences in requirements to exercise act by types of act even though it acknowledges three types of act about articles jointly owned such as act of preservation, act of management, and act of disposal or alteration. If the requirements to be recognized as a legitimate management act are not satisfied, the act is invalid between those who have joint ownership and it is invalid to the outside as well. Thus, it is likely to have unpredictable damages to the third party. However, with respects to this issue, the existing precedents almost neglected tyranny of those who have majority in the right of share. In other words, those who have majority in right of share can unilaterally make a decision on how to manage the article jointly owned without any agreements with other shareholders and such a decision is valid as long as it occupies a certain part of article jointly owned. The purpose of judge is to use article jointly owned based on its purpose by making a decision on the basis of majority in shares if the interest of many shareholders is in conflict and cannot find the appropriate agreements. It can be understood.
      However, if the tyranny of those who have majority in the right of share is neglected as it is, a shareholder can get all use of and profit from article jointly owned only with some of the shares as result. This result is unfair, because other shareholders’right of use of and profit from article jointly owned is deprived. Furthermore, even though those who have minority in the right of share and are not able to exercise the right of share due to these inequalities try to resolve the relationship of share with the method to split the article jointly owned, the exchange value will be evaluated very low as long as the tyranny of the majority is neglected.
      Eventually, those who have the minority in the right of share have no choice but to put up with the disadvantage of the right of use and profit and exchange value which is a core value of right of share. Therefore, with respect to these issues, it is necessary to put emphasis on the intrinsic value of right of share rather than simple approach with logic of the majority.
      번역하기

      Discussions over issues concerning use of and profit from jointly owned properties are relatively small compared with other forms of article jointly owned such as collective ownership and partnership-ownership. This is because the rules about unincorp...

      Discussions over issues concerning use of and profit from jointly owned properties are relatively small compared with other forms of article jointly owned such as collective ownership and partnership-ownership. This is because the rules about unincorporated association are applied even though it becomes a target of common interest but does not have joint ownership, if a certain article has a clear common purpose and exists for a certain purpose. The limitation of management act about the use of and profit from article jointly owned is required to keep clear. The reason is that the civil law has the differences in requirements to exercise act by types of act even though it acknowledges three types of act about articles jointly owned such as act of preservation, act of management, and act of disposal or alteration. If the requirements to be recognized as a legitimate management act are not satisfied, the act is invalid between those who have joint ownership and it is invalid to the outside as well. Thus, it is likely to have unpredictable damages to the third party. However, with respects to this issue, the existing precedents almost neglected tyranny of those who have majority in the right of share. In other words, those who have majority in right of share can unilaterally make a decision on how to manage the article jointly owned without any agreements with other shareholders and such a decision is valid as long as it occupies a certain part of article jointly owned. The purpose of judge is to use article jointly owned based on its purpose by making a decision on the basis of majority in shares if the interest of many shareholders is in conflict and cannot find the appropriate agreements. It can be understood.
      However, if the tyranny of those who have majority in the right of share is neglected as it is, a shareholder can get all use of and profit from article jointly owned only with some of the shares as result. This result is unfair, because other shareholders’right of use of and profit from article jointly owned is deprived. Furthermore, even though those who have minority in the right of share and are not able to exercise the right of share due to these inequalities try to resolve the relationship of share with the method to split the article jointly owned, the exchange value will be evaluated very low as long as the tyranny of the majority is neglected.
      Eventually, those who have the minority in the right of share have no choice but to put up with the disadvantage of the right of use and profit and exchange value which is a core value of right of share. Therefore, with respect to these issues, it is necessary to put emphasis on the intrinsic value of right of share rather than simple approach with logic of the major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지
      • Ⅰ. 서론
      • Ⅱ. 사용·수익 방법의 결정
      • Ⅲ. 사용·수익의 범위와 한계
      • Ⅳ. 특정승계인에 대한 효력
      • 논문요지
      • Ⅰ. 서론
      • Ⅱ. 사용·수익 방법의 결정
      • Ⅲ. 사용·수익의 범위와 한계
      • Ⅳ. 특정승계인에 대한 효력
      • Ⅴ. 사용·수익 방법의 위반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준, "한국민법론" 박영사 2004

      2 송덕수, "신민법강의" 박영사 2012

      3 이재목, "소수지분권자의 과반수 지분권자에 대한 공유물인도청구의 인정 여부" (410) : 2006

      4 곽윤직, "민법주해〔Ⅴ〕물권(2)" 박영사 2000

      5 이은영, "물권법" 박영사 2006

      6 김준호, "물권법" 법문사 2007

      7 김상용, "물권법" 화산미디어 2009

      8 곽윤직, "물권법" 박영사 2008

      9 조해근, "과반수 지분권자 임의로 체결한 공유물 임대차계약의 효력" 4 : 2007

      10 한명수, "공유자1인이 공유물을 배타적으로 점유하는 경우 다른 공유자의 명도청구에 관련된 문제" (291) : 1994

      1 이영준, "한국민법론" 박영사 2004

      2 송덕수, "신민법강의" 박영사 2012

      3 이재목, "소수지분권자의 과반수 지분권자에 대한 공유물인도청구의 인정 여부" (410) : 2006

      4 곽윤직, "민법주해〔Ⅴ〕물권(2)" 박영사 2000

      5 이은영, "물권법" 박영사 2006

      6 김준호, "물권법" 법문사 2007

      7 김상용, "물권법" 화산미디어 2009

      8 곽윤직, "물권법" 박영사 2008

      9 조해근, "과반수 지분권자 임의로 체결한 공유물 임대차계약의 효력" 4 : 2007

      10 한명수, "공유자1인이 공유물을 배타적으로 점유하는 경우 다른 공유자의 명도청구에 관련된 문제" (291) : 1994

      11 윤재식, "공유자 사이의 공유물의 보존행위, In 민사재판의 제문제 제8권" 1994

      12 김학동, "공유의 법률관계(1)" 1995

      13 최윤성, "공유물의 관리에 관한 공유자 간의 특약이 공유지분의 특정승계인에게 승계되는지 여부" 18 : 2007

      14 이희태, "공유물의 관리 및 보존행위" 10 : 1979

      15 김재형, "공유물에 대한 보존행위의 범위" (305) : 1996

      16 김성률, "공유물 이용에 관한 법률관계의 특수성, In 실무연구자료 6권" 2005

      17 김소영, "공유물 분할의 소에 대하여" 24 : 1993

      18 김용규, "공유관계의 대외적 주장" 1981

      19 平野谷之, "物權法" 弘文堂 2012

      20 山野目章夫, "物權法" 日本評論社 2012

      21 石田穣, "物權法" 信山社 2008

      22 淡路剛久, "民法Ⅱ" 有斐閣 2011

      23 川井健, "新版注釈民法(7)" 有斐閣 2012

      24 홍준호, "共有者들 사이의 約定이 共有者의 特定承繼人에게 미치는 效果" 민사판례연구회 33 (33): 275-314, 2011

      25 鹽崎勤, "共有物の保存⋅管理をめぐる諸問題" 31 (31): 1980

      26 上河內千賀子, "ドイツにおける共有物の管理に關する理論形成" (64) : 2002

      27 "Münchener Kommentar zum BGB, Bd.2, C.H.Beck"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저스티스
      외국어명 : The Justic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356 0.6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