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구감소지역의 재정지출구조가 청년인구 순유입에 미친 영향력에 관한 연구 - 경제개발비・사회복지비・일반행정비 세출액을 중심으로 - = Determinants on Influx of Young People - Focused on the Depopulation Area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270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의 후속조치로 관련 시행령이 공포되었고, 인구감소지역 89곳은 새로운 인구유입이라는 정책성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앞으로 어떻게 지역 특화된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우선순위화 된 재정지출 계획을 마련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세부전략 마련이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선정된 경상권역의 인구감소지역을 대상으로 지방정부의 항목별 재정지출이 청년인구 순유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 효과성을 추정하는 과정에서 재정지출의 상호의존적인 효과성과 지방재정지출의 지연효과에 주목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21년까지 총14년간의 패널 데이터 구축을 토대로 총 448개의 표본을 활용하여 지방자치단체 세출 기능별 분류 중에서 경제개발비, 사회복지비, 일반행정비에 해당되는 지방자치단체의 1인당 세출액, 이들 간의 상호작용효과에 해당되는 결합적 재정지출, 그리고 청년인구 순유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 어메니티 환경에 관련된 통제변수를 포함하여 다지역・다기간에 걸쳐 나타난 청년인구 순유입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산업중소기업, 국토 및 지역개발, 수송 및 교통 분야에서 지출된 1인당 경제개발비 세출액과 사회복지비 영역에서의 1인당 세출액은 1년의 시간적 지연을 두고 경상권역내의 인구감소지역의 청년인구 순유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임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동시에 일반행정비 영역에서 지출되는 1인당 세출액은 경상권역내의 인구감소지역의 청년인구 유입에 유의미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경제개발비에 관련된 재정지출을 얼마나 잘 운용하느냐에 따라서 새로운 청년인구의 유입성과가 달라질 수 있고 일반행정비와 같은 소비적 지출의 비중을 높이는 방향성 보다는 투자적인 성격의 재정지출의 비중을 더 높이는 것이 경상권역 인구감소지역으로의 청년인구를 유입시키는데 더 바람직한 정책대안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번역하기

      최근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의 후속조치로 관련 시행령이 공포되었고, 인구감소지역 89곳은 새로운 인구유입이라는 정책성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앞으로 어떻게 지역 특화된 기본계획과 ...

      최근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의 후속조치로 관련 시행령이 공포되었고, 인구감소지역 89곳은 새로운 인구유입이라는 정책성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앞으로 어떻게 지역 특화된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우선순위화 된 재정지출 계획을 마련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세부전략 마련이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선정된 경상권역의 인구감소지역을 대상으로 지방정부의 항목별 재정지출이 청년인구 순유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 효과성을 추정하는 과정에서 재정지출의 상호의존적인 효과성과 지방재정지출의 지연효과에 주목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21년까지 총14년간의 패널 데이터 구축을 토대로 총 448개의 표본을 활용하여 지방자치단체 세출 기능별 분류 중에서 경제개발비, 사회복지비, 일반행정비에 해당되는 지방자치단체의 1인당 세출액, 이들 간의 상호작용효과에 해당되는 결합적 재정지출, 그리고 청년인구 순유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 어메니티 환경에 관련된 통제변수를 포함하여 다지역・다기간에 걸쳐 나타난 청년인구 순유입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산업중소기업, 국토 및 지역개발, 수송 및 교통 분야에서 지출된 1인당 경제개발비 세출액과 사회복지비 영역에서의 1인당 세출액은 1년의 시간적 지연을 두고 경상권역내의 인구감소지역의 청년인구 순유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임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동시에 일반행정비 영역에서 지출되는 1인당 세출액은 경상권역내의 인구감소지역의 청년인구 유입에 유의미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경제개발비에 관련된 재정지출을 얼마나 잘 운용하느냐에 따라서 새로운 청년인구의 유입성과가 달라질 수 있고 일반행정비와 같은 소비적 지출의 비중을 높이는 방향성 보다는 투자적인 성격의 재정지출의 비중을 더 높이는 것이 경상권역 인구감소지역으로의 청년인구를 유입시키는데 더 바람직한 정책대안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태경, "혁신도시 개발정책이 청년인구 유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충북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5 (35): 247-274, 2021

      2 김병석 ; 서원석, "지역의 인구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특성 연구: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1-14, 2014

      3 김유현, "지역의 경제・생활여건이 청년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55 (55): 337-367, 2021

      4 여효성, "지역별 고용창출을 위한 지방재정 개선 방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209, 2019

      5 이장욱, "지방재정지출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학회 17 (17): 1-23, 2020

      6 채종훈 ; 양원식, "지방재정을 고려한 지방정부의 농어촌지역개발사업 투자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7 (27): 185-206, 2015

      7 전승훈, "재정 조세정책의 분배효과- 분위별 회귀분석을 이용한 분석 -" 한국재정정책학회 16 (16): 3-28, 2014

      8 임상수, "인구구조변화와 지방재정 간 관계 분석" 159-179, 2019

      9 김석기, "인구구조 변화와 재정 측면의 과제" 28 (28): 15-16, 2019

      10 이경은 ; 김순은, "인구고령화가 지방재정지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9 (29): 297-325, 2015

      1 임태경, "혁신도시 개발정책이 청년인구 유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충북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5 (35): 247-274, 2021

      2 김병석 ; 서원석, "지역의 인구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특성 연구: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1-14, 2014

      3 김유현, "지역의 경제・생활여건이 청년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55 (55): 337-367, 2021

      4 여효성, "지역별 고용창출을 위한 지방재정 개선 방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209, 2019

      5 이장욱, "지방재정지출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학회 17 (17): 1-23, 2020

      6 채종훈 ; 양원식, "지방재정을 고려한 지방정부의 농어촌지역개발사업 투자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7 (27): 185-206, 2015

      7 전승훈, "재정 조세정책의 분배효과- 분위별 회귀분석을 이용한 분석 -" 한국재정정책학회 16 (16): 3-28, 2014

      8 임상수, "인구구조변화와 지방재정 간 관계 분석" 159-179, 2019

      9 김석기, "인구구조 변화와 재정 측면의 과제" 28 (28): 15-16, 2019

      10 이경은 ; 김순은, "인구고령화가 지방재정지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9 (29): 297-325, 2015

      11 문병근 ; 하종원, "인구고령화가 지방재정수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ㆍ울산ㆍ경남지역의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재정정책학회 11 (11): 59-89, 2009

      12 조임곤, "인구감소지역의 지방재정 현황과 과제" 37-42, 2020

      13 행정안전부, "인구감소지역 지정고시(행정안전부 고시 제2021-66호 2021.10.19.)"

      14 안성조,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의 주요 내용과 의미" 202 : 18-20, 2022

      15 행정안전부,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법률 제18877호 (2022.06.10.)"

      16 이영성, "시ㆍ군ㆍ구의 사회개발비가 지역내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지역학회 25 (25): 5-23, 2009

      17 권용우, "수도권 인구이동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30 (30): 21-39, 1995

      18 최유진, "도시어메니티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분석: 우리나라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299-324, 2017

      19 문동진 ; 홍준현, "도시 규모와 입지에 따른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산업다양성의 영향력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9 (19): 125-152, 2015

      20 임태경,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와 지역경제활성화 간 관계분석: 경상권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6 (36): 233-254, 2022

      21 Hamilton, J. D., "Time series analysi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22 Nelson, Lise, "The global rural : Gentrification and linked migration in the rural USA Progress in Human" 35 (35): 441-459, 2011

      23 Savin, N. E., "The Durbin-Watson test for serial correlation with extreme sample sizes or many regressors" 1989-1996, 1977

      24 Lucas Jr, R. E., "On the mechanics of economic development" 22 (22): 3-42, 1988

      25 Amini, S., "Essays in honor of Jerry Hausman"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