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ㆍ중 인터넷 이용자들의 한국영화 이해에 관한 비교 연구 = 〈엽기적인 그녀〉영화 사이트의 관람후기 게시판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070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 말부터 시작된 한국 대중문화의 유행현상은 “한류(韓流)”라는 이름으로 중국 및 범아시아 지역에 퍼져나가고 있다. 그러나 “한류”에 대한 지금까지의 논의는 경제 논리의 수준...

      1990년대 말부터 시작된 한국 대중문화의 유행현상은 “한류(韓流)”라는 이름으로 중국 및 범아시아 지역에 퍼져나가고 있다. 그러나 “한류”에 대한 지금까지의 논의는 경제 논리의 수준에서 한정적인 연구들이 선행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논의에 문제를 제기하고 대상이 되는 한국의 대중문화 콘텐츠와 이를 받아들이고 있는 수용자들의 대상에 대한 이해를 알아보는 것이 “한류”의 정체성을 밝히는 것임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중국 인터넷 이용자들의 한국 영화 〈엽기적인 그녀〉에 대한 이해를 알아보고 문화교차 연구의 한 가지 사례 제시를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영화〈엽기적인 그녀〉에 대한 중국 인터넷 이용자의 관람후기 게시판을 분석한 결과 반응의 특징을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영화의 현실감과 감정의 세밀하고 현실적인 묘사, 남자 주인공이 보여주는 순수하고 자기희생적인 태도에 대한 호감, 다른 영화에서 보여주지 못한 새로운 느낌을 받는다는 의견, 배역의 개성에 호감, “엽기적 행동”에 대한 거부감을 나타내는 의견이 있었다.
      이 영화가 “한류”와 한국의 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의견이 많았지만 이면에 저항감도 적지 않았다. 또한 중국 인터넷 이용자들과 한국 인터넷 이용자의 이 영화에 대한 이해를 비교해본 결과 한국의 인터넷 이용자들은 영화의 희극성을, 중국 인터넷 이용자들은 현실적이고 신선하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는 이 영화에 대해 신선함과 현실감, 창의성, 내면의 감동에 이끌려 호감을 갖는 것이지 겉으로 드러난 형식이나 방식에 이끌리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들은 이 영화를 한국의 인터넷 이용자와 다르게 이해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구성주의와 해석학에서 이야기하는 사회문화적, 역사적 상황이 다른 문화에서는 같은 대상에 대한 이해가 달라질 수도 있다는 예시를 보여준 것이다. 이렇든 “한류”의 정체성을 파악하지 위해서는 우선 각 문화의 다양성과 특수성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고 현재의 우리와 다른 사람들 사이에 진행되고 있는 문화적 욕구들이 어떻게 생성되고 있는지 현장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덧붙여 한국의 대중문화가 이러한 욕구에 잘 부합되고 있는지, 새로운 무엇을 만들어 내고 있는지 않은지 연구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pularity of Korea pop culture, which called as the name of "Korea wave", has started to spread Out in China and other Asian states from late-1990's. The study about "Korea wave" until now, however, have prevailed within an economic point of view...

      The popularity of Korea pop culture, which called as the name of "Korea wave", has started to spread Out in China and other Asian states from late-1990's. The study about "Korea wave" until now, however, have prevailed within an economic point of view. So, I would like to clarify that this dissertation raises a question in exiting argument and explains the identity of "Korea wave" by investigating the details of pop culture contents of Korea ,and understanding of chinese receiver.
      It shows that chinese receiver, watching the movie 〈My sassy girl〉, has estimated in the affirmative viewpoint after I have analyzed a reply of movie web-site in China. The main features of this analysis prove that there are a lot of good estimation when chinese receiver have seen that movie because it has been well-matched with emotion and fun of story and attraction in the movie. In that order, Some Chinese netizen evaluated that there are some negative point of view as the main actress has a strange and crazy behavior.
      I have also found that Korea pop culture contents has not given to them good image and chinese receiver had a tendency to view objectively to classify with strength and weakness. Analysis to contrast understanding of Chinese netizen with Korea netizen showed that Korea netizen emphasized fun of story, however, Chinese netizen showed that they had a lot of opinion to be fresh and realistic relatively.
      In conclusion, I would like herewith to identify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Chinese netizen and Korean netizen after contacting the movie. The reason has showed that understanding about the same object can be a great deal of various consideration in two more diverse cultures which have many different social-cultural and historical situ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한류의 현황과 중국의 영화시장
      • 4. 한ㆍ중 인터넷 이용자들의 한국영화 이해와 비교
      • 6. 결론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한류의 현황과 중국의 영화시장
      • 4. 한ㆍ중 인터넷 이용자들의 한국영화 이해와 비교
      • 6.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