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는 다른 사람에게 글을 쓰는 이의 생각을 조리 있게 전달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핵심적인 도구라 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말하기 능력이 중요한 것 못지않게, 다른 사람과의 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00087
2007
-
KCI등재
학술저널
377-398(22쪽)
1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글쓰기는 다른 사람에게 글을 쓰는 이의 생각을 조리 있게 전달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핵심적인 도구라 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말하기 능력이 중요한 것 못지않게, 다른 사람과의 원...
글쓰기는 다른 사람에게 글을 쓰는 이의 생각을 조리 있게 전달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핵심적인 도구라 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말하기 능력이 중요한 것 못지않게, 다른 사람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글쓰기 능력을 키우는 것은 대학생들에게 필수적이다.또한, 글은 우리가 복잡하게 전개되는 세계를 인식하는 행위이면서, 자기의 전부를 드러내는 행위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더 세심한 배려가 요구된다. 즉,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단어의 정확한 뜻을 알고, 어문 규범에 맞는 정확한 어휘를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문장은 문법적으로 정확하고, 의미적으로 어색함이 없이 명백한 뜻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글쓰기에 있어 올바른 규범과 의미를 바르게 인식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우리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본 논문은 필자의 청주대학교 학생들의 언어사용 양상 즉, 띄어쓰기, 어휘 사용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장 사용의 오류를 분석함으로써, 청주대학교 학생들의 문장 사용 양상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개선노력을 고취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allacy of Sentence in writing Korean in Cheongju University students
The fallacy of Sentence in writing Korean in Cheongju University stud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현, "현대 국어의 축소어형에 관한 연구-축소어형과 준말의 정의, 축소어형의 조어법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17) : 275-401, 2005
2 박승도, "한글맞춤법의 오류경향에 대한 지도 방법 구안, 적용을 통한 문장 표기 능력 신장" 한국국어교육학회 47 : 77-109, 1991
3 노대규,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국학자료원 1996
4 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05
5 김상태, "판결문 텍스트의 변환을 통한 문장지도" 東西語文學會 19 : 21-42, 2005
6 宋喆儀, "준말에 대한 形態․音韻論的 考察" 檀國大學校 23 : 25-49, 1993
7 김문창, "정서법 연구 서설" 인하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 : 1994
8 김상태, "음운적 단어 설정에 대한 연구: 띄어쓰기 오류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학회 32 : 31-52, 2006
9 김성규, "음성 언어 층위와 문자 언어 층위의 위상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학회 (30) : 65-88, 2001
10 高永根,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 一志社 1993
1 이재현, "현대 국어의 축소어형에 관한 연구-축소어형과 준말의 정의, 축소어형의 조어법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17) : 275-401, 2005
2 박승도, "한글맞춤법의 오류경향에 대한 지도 방법 구안, 적용을 통한 문장 표기 능력 신장" 한국국어교육학회 47 : 77-109, 1991
3 노대규,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국학자료원 1996
4 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05
5 김상태, "판결문 텍스트의 변환을 통한 문장지도" 東西語文學會 19 : 21-42, 2005
6 宋喆儀, "준말에 대한 形態․音韻論的 考察" 檀國大學校 23 : 25-49, 1993
7 김문창, "정서법 연구 서설" 인하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 : 1994
8 김상태, "음운적 단어 설정에 대한 연구: 띄어쓰기 오류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학회 32 : 31-52, 2006
9 김성규, "음성 언어 층위와 문자 언어 층위의 위상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학회 (30) : 65-88, 2001
10 高永根,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 一志社 1993
11 김광해, "우리나라 판결문의 텍스트성에 대한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8 : 271-297, 2000
12 高永根, "언어의 문자화와 관련된 문제, 국어의 이해와 인식, In 갈음김석득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한국문화사 89-98, 1991
13 안배근, "사이시옷의 表記 變遷" 국어문학회 37 : 84-111, 2002
14 김성규, "빠른 발화에서 음절 수 줄이기" 애산학회 23 : 109-137, 1999
15 청주대학교 교양국어편찬위원회, "대학인의 글쓰기" 청주대학교 출판부 2005
16 김상태, "대학생들의 어휘 사용 연구- 청주대 박물관 답사기를 통하여" 한국국어교육학회 (73) : 233-254, 2006
17 金敏洙, "국어정책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3
18 김상태, "국어의 띄어쓰기 오류 분석" 11-25, 2006
19 李翊燮, "국어사랑은 나라사랑" 문학사상사 1998
20 민현식, "국어 정서법 연구" 태학사 1999
21 정길남, "국어 오류 분석" 한국문화사 2003
22 최웅환, "국어 문장의 형성 원리 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0
23 이병규, "국어 교과서 문장의 오류 연구-문법적, 어휘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14 : 275-295, 2004
24 金敏洙, "新國語學(全訂版)" 一潮閣 1995
25 李基文, "國語表記法의 歷史的硏究" 韓國硏究院 1963
26 申昌淳, "國語 正書法 硏究" 集文堂 1992
재 말레이시아 한국 학생들의 국어 학습 인식 조사- 말레이시아 한국인 학교(토요 학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12-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 ![]() |
2013-12-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6 | 1.06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5 | 1.479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