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속성은 정말 술어일까?: 백도형의 『심신 문제』에 대한 후험적 물리주의자의 응답 = Are Properties Really Predicates?: A Reply from an A Posteriori Physicalist to Tohyung Paik’s “The Mind-Body Probl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07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Mind-Body Problem, Tohyong Paik (2014) examines varied theories surrounding the notorious mind-body problem, including property dualism, eliminativism, and reductionism. He then criticizes all of them. He argues that the mind-body problem is unsolvable since we are still under the shadow of Descartes and take mental properties to be universals. Paik’s alternative is nominalism or four-dimensional particularism. However, he neglects a posteriori physicalism which has been the most prominent response to Chalmers’s zombie argument. It assumes that ontological reduction is the best theory that we have at hand and tries to explain away the mind-body problem which is found only in the epistemic level. I argue that we do not need to seriously consider nominalism or particularism when a posteriori physicalism is tenable.
      번역하기

      In The Mind-Body Problem, Tohyong Paik (2014) examines varied theories surrounding the notorious mind-body problem, including property dualism, eliminativism, and reductionism. He then criticizes all of them. He argues that the mind-body problem is un...

      In The Mind-Body Problem, Tohyong Paik (2014) examines varied theories surrounding the notorious mind-body problem, including property dualism, eliminativism, and reductionism. He then criticizes all of them. He argues that the mind-body problem is unsolvable since we are still under the shadow of Descartes and take mental properties to be universals. Paik’s alternative is nominalism or four-dimensional particularism. However, he neglects a posteriori physicalism which has been the most prominent response to Chalmers’s zombie argument. It assumes that ontological reduction is the best theory that we have at hand and tries to explain away the mind-body problem which is found only in the epistemic level. I argue that we do not need to seriously consider nominalism or particularism when a posteriori physicalism is tenab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백도형은 그의 저서 『심신 문제』에서 속성 이원론, 제거론, 환원론 등 심신 문제에 관한 다양한 이론을 검토하여 비판한다. 그는 동시대의 논의가 데카르트의 그늘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또 심적 속성을 보편자로 보기 때문에 심신 문제가 미궁에 빠지게 되었다고 진단한다. 백도형은 대안으로서 유명론 또는 4차원 개별자론을 제안한다. 그러나 그는 찰머스(Chalmers, D.)의 좀비 논증에 대한 최선의 응답으로 발전해 온 후험적 물리주의(A Posteriori Physicalism)를 간과하고 있다. 후험적 물리주의자는 존재적 환원을 최선의 물리주의로서 가정한 후 심신 문제를 인식론 차원에서 설명해 내고자 노력한다. 나는 후험적 물리주의를 받아들이면 굳이 유명론이나 개별자론을 받아들일 필요가 없음을 논증한다.
      번역하기

      백도형은 그의 저서 『심신 문제』에서 속성 이원론, 제거론, 환원론 등 심신 문제에 관한 다양한 이론을 검토하여 비판한다. 그는 동시대의 논의가 데카르트의 그늘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

      백도형은 그의 저서 『심신 문제』에서 속성 이원론, 제거론, 환원론 등 심신 문제에 관한 다양한 이론을 검토하여 비판한다. 그는 동시대의 논의가 데카르트의 그늘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또 심적 속성을 보편자로 보기 때문에 심신 문제가 미궁에 빠지게 되었다고 진단한다. 백도형은 대안으로서 유명론 또는 4차원 개별자론을 제안한다. 그러나 그는 찰머스(Chalmers, D.)의 좀비 논증에 대한 최선의 응답으로 발전해 온 후험적 물리주의(A Posteriori Physicalism)를 간과하고 있다. 후험적 물리주의자는 존재적 환원을 최선의 물리주의로서 가정한 후 심신 문제를 인식론 차원에서 설명해 내고자 노력한다. 나는 후험적 물리주의를 받아들이면 굳이 유명론이나 개별자론을 받아들일 필요가 없음을 논증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우진, "화제중립성과 물리주의" 철학연구회 (83) : 143-162, 2008

      2 한우진, "좀비는 상상가능한가?" 한국분석철학회 (17) : 37-60, 2008

      3 백도형, "심신 문제" 아카넷 2014

      4 김광수, "심리철학과 정신의 자율성" 한국분석철학회 (7) : 1-27, 2003

      5 한우진, "수반에 기초한 물리주의의 딜레마" 철학연구회 (80) : 133-154, 2008

      6 한우진, "선험적 물리주의의 참을 수 없는 사소함" 철학연구회 (79) : 205-222, 2007

      7 최훈, "데이비드슨의 무법칙적 일원론과 백도형의 심신 유명론" 한국분석철학회 (10) : 79-110, 2004

      8 Jackson, F., "What Mary Didn’t Know" 83 (83): 291-295, 1986

      9 Armstrong, D. M., "What Is a Law of N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0 Nagel, T., "What Is It Like to Be a Bat?" 83 (83): 435-450, 1974

      1 한우진, "화제중립성과 물리주의" 철학연구회 (83) : 143-162, 2008

      2 한우진, "좀비는 상상가능한가?" 한국분석철학회 (17) : 37-60, 2008

      3 백도형, "심신 문제" 아카넷 2014

      4 김광수, "심리철학과 정신의 자율성" 한국분석철학회 (7) : 1-27, 2003

      5 한우진, "수반에 기초한 물리주의의 딜레마" 철학연구회 (80) : 133-154, 2008

      6 한우진, "선험적 물리주의의 참을 수 없는 사소함" 철학연구회 (79) : 205-222, 2007

      7 최훈, "데이비드슨의 무법칙적 일원론과 백도형의 심신 유명론" 한국분석철학회 (10) : 79-110, 2004

      8 Jackson, F., "What Mary Didn’t Know" 83 (83): 291-295, 1986

      9 Armstrong, D. M., "What Is a Law of N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0 Nagel, T., "What Is It Like to Be a Bat?" 83 (83): 435-450, 1974

      11 Nagel, E., "The Structure of Science"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 1979

      12 Chalmers, D., "The Conscious Mind"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3 Smart, J. J. C., "Sensations and Brain Processes" 68 (68): 141-156, 1959

      14 Block, N., "Readings in Philosophy of Psychology vol. 1"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15 Davidson, D., "Readings in Philosophy of Psychology vol. 1"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16 Kim, J., "Physicalism or Something Near Enough"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17 Kim, J., "Physicalism and Its Discont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8 Churchland, P. S., "Neurophilosophy" The MIT Press 1986

      19 Kim, J., "Mind in a Physical World" The MIT Press 1998

      20 Levine, J., "Materialism and Qualia: the Explanatory Gap" 64 (64): 354-361, 1983

      21 Perry, J., "Knowledge, Possibility, and Consciousness" The MIT Press 2001

      22 Place, U. T., "Is Consciousness a Brain Process?" 47 (47): 44-50, 1956

      23 Jackson, F., "From Metaphysics to Eth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3 1.11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