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나모르포즈 형식의 거울 반사 원리 연구 = Visual Effect of Anamorphose Form Using Mirror Reflection Princi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35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예술가들은 예술작품을 표현하기 위한 연구를 토대로 아나모르포즈(Anamorphose) 기법을 만들어 왔다. 그것은 원근법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광학(光學)연구를 통해 놀라운 형태를 만들어 주기 때문에, 거울을 이용한 아나모르포즈는 사용자와 화면으로부터 숨겨진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효과적이다. 우리의 선행연구는 거울의 각도계산과 반사소스의 성질이 중심이었던데 반해, 본 연구는 각도와 크기가 정해진 각주(角柱) 거울에 형상을 표현하는 것이다. 우선, 우리는 아나모르포즈가 반사되는 각기둥 표면에 형상을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각기둥 거울을이용하여 반사소스를 통한 새로운 가변형상을 만드는 것을 제안한다. 1 장과 2 장에서는 연구배경과 목적, 아나모르포즈의 정의와 종류에 대해서 분류 조사하였다. 3 장과 4 장에서는 가변 형상에 필요한 형상 채집 원리를 실험 작품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각주(角柱)형식의 아나모르포즈가 의외로 없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각주(角柱)형식의 반사 왜상 제작 방법을 고안하였다. 둘째, 반사광 착지점(着地 点)의 윤곽선과 윤곽선 사이에 생기는 공간을 다른 형태로 채워 넣어 반사 형상을 왜곡시켜줌으로써 의외성과 유희성을 고조시킬 수 있었다. 셋째, 실험을 통하여 윤곽선과 윤곽선 사이의 폭은 시점(視點)이 낮고 멀수록 반사광의 길이가길어짐에 따라 윤곽선 사이의 폭도 넓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 결과를 활용하여 가변 형상 즉, 움직이지 않는 각주의 거울 면에 시점(視點)의 이동만으로 두 개 이상의 형상을 표현 할 수 있는 가변 형상을 제작 할 수 있었다. 끝으로, 예술·디자인분야간의 교류도 물론 중요하지만 기초조형 원리를 연구하는 연구가들과 여러 분야와의 연계가 중요하다고생각되며, 특히 공학 분야와의 학제적(學際的) 연구가 필수라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예술가들은 예술작품을 표현하기 위한 연구를 토대로 아나모르포즈(Anamorphose) 기법을 만들어 왔다. 그것은 원근법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광학(光學)연구를 통해 놀라운 형태를 ...

      예술가들은 예술작품을 표현하기 위한 연구를 토대로 아나모르포즈(Anamorphose) 기법을 만들어 왔다. 그것은 원근법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광학(光學)연구를 통해 놀라운 형태를 만들어 주기 때문에, 거울을 이용한 아나모르포즈는 사용자와 화면으로부터 숨겨진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효과적이다. 우리의 선행연구는 거울의 각도계산과 반사소스의 성질이 중심이었던데 반해, 본 연구는 각도와 크기가 정해진 각주(角柱) 거울에 형상을 표현하는 것이다. 우선, 우리는 아나모르포즈가 반사되는 각기둥 표면에 형상을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각기둥 거울을이용하여 반사소스를 통한 새로운 가변형상을 만드는 것을 제안한다. 1 장과 2 장에서는 연구배경과 목적, 아나모르포즈의 정의와 종류에 대해서 분류 조사하였다. 3 장과 4 장에서는 가변 형상에 필요한 형상 채집 원리를 실험 작품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각주(角柱)형식의 아나모르포즈가 의외로 없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각주(角柱)형식의 반사 왜상 제작 방법을 고안하였다. 둘째, 반사광 착지점(着地 点)의 윤곽선과 윤곽선 사이에 생기는 공간을 다른 형태로 채워 넣어 반사 형상을 왜곡시켜줌으로써 의외성과 유희성을 고조시킬 수 있었다. 셋째, 실험을 통하여 윤곽선과 윤곽선 사이의 폭은 시점(視點)이 낮고 멀수록 반사광의 길이가길어짐에 따라 윤곽선 사이의 폭도 넓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 결과를 활용하여 가변 형상 즉, 움직이지 않는 각주의 거울 면에 시점(視點)의 이동만으로 두 개 이상의 형상을 표현 할 수 있는 가변 형상을 제작 할 수 있었다. 끝으로, 예술·디자인분야간의 교류도 물론 중요하지만 기초조형 원리를 연구하는 연구가들과 여러 분야와의 연계가 중요하다고생각되며, 특히 공학 분야와의 학제적(學際的) 연구가 필수라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tists have created an Anamorphose technique based on the research to express works of art. Since it involves amusing features from optical science as a way to resolve the error of perspective, Anamorphose using the mirror is effective to render the hidden image from the user and the screen.
      Anamorphose has long been used unpredictability with mirrors. Our prior research has focused on calculations of the angles of mirrors and the nature of the reflection sources. This study represents an image in a prismatic mirror whose size and angle are predetermined. First of all, we think of Anamorphose is as the creation of images on a reflective prismatic surface. We suggest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new variable images through reflection source design using prismatic mirrors. In the first two chapters, the background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described, and the definition and type of Anamorphose is classified and investigated. In the next two chapters, the principles of shape sampling for variable images are given through experimental work. From the process described above, we can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ly, we developed a method for producing the reflective anamorphic of the prismatic type. Secondly, by placing different forms in the space between the beams of reflected light, a surprising result could be obtained in the anamorphic phenomenon. Thirdly, through experiments we realized that with a lower and farther perspective, the width between outlines was wider and the length more pronounced. Experiments using a stationary mirror showed that a change in perspective produced variable images. Lastly, we suggest that exchanges between the Arts and the Design sector are important. However, of particular importance is the convergence of research between the Basic Design sector and the Engineering sector.
      번역하기

      Artists have created an Anamorphose technique based on the research to express works of art. Since it involves amusing features from optical science as a way to resolve the error of perspective, Anamorphose using the mirror is effective to render the ...

      Artists have created an Anamorphose technique based on the research to express works of art. Since it involves amusing features from optical science as a way to resolve the error of perspective, Anamorphose using the mirror is effective to render the hidden image from the user and the screen.
      Anamorphose has long been used unpredictability with mirrors. Our prior research has focused on calculations of the angles of mirrors and the nature of the reflection sources. This study represents an image in a prismatic mirror whose size and angle are predetermined. First of all, we think of Anamorphose is as the creation of images on a reflective prismatic surface. We suggest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new variable images through reflection source design using prismatic mirrors. In the first two chapters, the background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described, and the definition and type of Anamorphose is classified and investigated. In the next two chapters, the principles of shape sampling for variable images are given through experimental work. From the process described above, we can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ly, we developed a method for producing the reflective anamorphic of the prismatic type. Secondly, by placing different forms in the space between the beams of reflected light, a surprising result could be obtained in the anamorphic phenomenon. Thirdly, through experiments we realized that with a lower and farther perspective, the width between outlines was wider and the length more pronounced. Experiments using a stationary mirror showed that a change in perspective produced variable images. Lastly, we suggest that exchanges between the Arts and the Design sector are important. However, of particular importance is the convergence of research between the Basic Design sector and the Engineering secto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후쿠다시게오, "후쿠다시게오의 트릭아트" 매일신문사 2012

      2 조열, "예술ž디자인의 빛의 구성" 조형사 1992

      3 진중권,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휴머니스트 2005

      4 백서영, "그래픽 장소 아이콘을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아나몰포시스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179-189, 2014

      5 조열, "거울 반사각제어에 의한 가변형상 제작연구 1" 15 (15):

      6 "cafe.daum.net/pharm-bogun/5KVI/547"

      1 후쿠다시게오, "후쿠다시게오의 트릭아트" 매일신문사 2012

      2 조열, "예술ž디자인의 빛의 구성" 조형사 1992

      3 진중권,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휴머니스트 2005

      4 백서영, "그래픽 장소 아이콘을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아나몰포시스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179-189, 2014

      5 조열, "거울 반사각제어에 의한 가변형상 제작연구 1" 15 (15):

      6 "cafe.daum.net/pharm-bogun/5KVI/54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