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군 영어 교과서의 문화 다양성 분석 = An Analysis of Cultural Diversity in Elementary School 3rd and 4th Grade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54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contents realized in Korean EFL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i.e., 3rd to 4th grades). It particularly focuses on cultural diversity based upon the following 4 categories (i.e., cultural background, cultural types, cultural aspects, and activities for cultural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ultural diversity was not broad enough in all four areas of criteria. Regarding the cultural background, ‘English-speaking’, ‘Asian’ and ‘European’ cultures accounted for more than 75% of the cultural areas. Among the three cultural types (materials, norms, and ideas), ‘Norms’ comprised about 47%, and the sub-topics of each type also tended to focus on a limited range of culture. As for cultural materials, among the four categories, ‘Everyday life of various cultures’ comprised 51%. Out of 10 cultural lesson activities, the top 3 - ‘photos and pictures’, ‘simple information description,’ and ‘website videos’ accounted for more than 75%.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contents realized in Korean EFL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i.e., 3rd to 4th grades). It particularly focuses on cultural diversity based upon the following 4 categories (i.e., cultural backg...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contents realized in Korean EFL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i.e., 3rd to 4th grades). It particularly focuses on cultural diversity based upon the following 4 categories (i.e., cultural background, cultural types, cultural aspects, and activities for cultural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ultural diversity was not broad enough in all four areas of criteria. Regarding the cultural background, ‘English-speaking’, ‘Asian’ and ‘European’ cultures accounted for more than 75% of the cultural areas. Among the three cultural types (materials, norms, and ideas), ‘Norms’ comprised about 47%, and the sub-topics of each type also tended to focus on a limited range of culture. As for cultural materials, among the four categories, ‘Everyday life of various cultures’ comprised 51%. Out of 10 cultural lesson activities, the top 3 - ‘photos and pictures’, ‘simple information description,’ and ‘website videos’ accounted for more than 7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통계: 연도별통계, 1975-2016"

      2 노은영,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 내용 비교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 이세진, "초등영어에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과 문화민감성에 미치는 문화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4 이완기, "초등영어교육론" 문진미디어 2007

      5 김진석, "초등영어 수업에서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평가 틀과 평가도구 개발 방향 연구"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2 (22): 187-214, 2016

      6 서다영, "초등 5,6학년 영어교과서 문화 영역 분석 및 지도 방안" 부산교육대학교 2017

      7 교육부, "영어과 교육과정. 제 2015-74호 [별책 14]"

      8 이선정, "영어 교과서 문화내용 분석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 김동연, "언어·문화 통합 활동 중심 초등영어 교수·학습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2017

      10 강지영,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초등영어 교과서의 문화교육 자료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3·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2015

      1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통계: 연도별통계, 1975-2016"

      2 노은영,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 내용 비교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 이세진, "초등영어에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과 문화민감성에 미치는 문화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4 이완기, "초등영어교육론" 문진미디어 2007

      5 김진석, "초등영어 수업에서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평가 틀과 평가도구 개발 방향 연구"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2 (22): 187-214, 2016

      6 서다영, "초등 5,6학년 영어교과서 문화 영역 분석 및 지도 방안" 부산교육대학교 2017

      7 교육부, "영어과 교육과정. 제 2015-74호 [별책 14]"

      8 이선정, "영어 교과서 문화내용 분석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 김동연, "언어·문화 통합 활동 중심 초등영어 교수·학습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2017

      10 강지영,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초등영어 교과서의 문화교육 자료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3·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2015

      11 Lee, Kang Young, "Treating Culture: What 11 High School EFL Conversation Textbooks in South Korea Do" 8 (8): 76-96, 2009

      12 Van Ek, Jan, "Threshold Level English" Pergamon Press 1980

      13 Bierstedt, R.obert, "The Social Order: An Introduction to Sociology" McGraw Hill 1970

      14 Yuen, Ka-ming, "The Representation of Foreign Cultures in English Textbooks" 65 (65): 458-466, 2011

      15 Finocchiaro, Mary, "The Foreign Language Learner: A Guide for Teachers" Regents 1973

      16 Brooks, Nelson, "The Cultural Revolution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Reports of the Northeast Conference o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National Textbook 19-31, 1975

      17 Rivers, Wilga M., "Teaching Foreign Language Skills" Michigan University Press 1981

      18 Randy Green, "Teaching English as an Intercultural Language (EIcL) in Korea: Investigating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EIcL" 신영어영문학회 (63) : 25-50, 2016

      19 Moran, Patrick R., "Teaching Culture" Heinle and Heinle 2001

      20 Green, Randy, "Strategies That Promote English as an Intercultural Language (EIcL) in the Korean University EFL Classroom" 13 (13): 65-90, 2017

      21 Dubin, Fraida, "Reading by All Means: Reading Improvement Strategies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Addison-Wesley 1990

      22 Brown, H. Douglas,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rentice-Hall 1994

      23 Brooks, Nelson, "Language and Language Learning, Theory and Practice" Harcourt Brace and World 1964

      24 Lado, Robert, "Language Teaching : A Scientific Approach. New York : McGraw-Hill" McGraw-Hill 1964

      25 Stern, Hans Heinrich, "Issues and Options in Language Teach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6 Chastin, Kenneth, "Developing Second Language Skills: Theory and Practice" Rang Mcnally College 1976

      27 Pesola, Carol Ann, "Culture in the Elementary School Foreign Language Classroom" 24 (24): 331-346, 1991

      28 허근, "3ㆍ4학년 초등영어 검정교과서의 문화지도내용 분석 및 언어-문화 통합지도 방안"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2 (12): 207-229, 2013

      29 권은영,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영어 교과서의 문화 내용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2015

      30 강순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 요소" 제주대학교 2015

      31 유지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교재의 의사소통 기능과 소재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32 김가현,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 교과서 문화 내용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Linguistic Science Societ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5 0.608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