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기 열전(列傳) . 上 , 사람에게 비추어 시대를 말하다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163437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천지인, 2009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912 판사항(4)

      • DDC

        951.01 판사항(22)

      • ISBN

        9788995998977 04910(上) : ₩28,000
        9788995998960(세트)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사기 열전(列傳). 上 : 사람에게 비추어 시대를 말하다 / 사마천 원저 ; 이인호 새로 씀.

      • 원서명

        史記 : 三家注本

      • 형태사항

        784 p. : 삽도 ; 23 cm.

      • 일반주기명

        기타표제:고전을 넘어선 고전 강의.
        후주: p. 746-784.
        서지적 각주 수록.

      • 소장기관
        •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도서관(중앙) 소장기관정보
        • 공군사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순천향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신한대학교 중앙도서관(제1캠퍼스-의정부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울산과학기술원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머리말『사기』를 읽는 독자에게 = 10
      • 도론 열전(列傳)을 어떻게 읽을까? = 12
      • 제1 백이열전―열전의 작성 기준과 그 의미를 제시하다 = 32
      • 하늘은 공정하여 착한 사람에게 복을 주는가? = 34
      • 목차
      • 머리말『사기』를 읽는 독자에게 = 10
      • 도론 열전(列傳)을 어떻게 읽을까? = 12
      • 제1 백이열전―열전의 작성 기준과 그 의미를 제시하다 = 32
      • 하늘은 공정하여 착한 사람에게 복을 주는가? = 34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1강의 = 41
      • 1.「백이열전」을 열전의 첫 편으로 삼은 이유 = 42
      • 2. 글의 흐름이 얽히고설키어 변화무쌍 = 43
      • 3. '원망 있음과 원망 없음' = 45
      • 4. 기록해야 역사가 된다 = 47
      • 5. 백이와 숙제는 주나라 곡식을 먹었을까? = 50
      • 제2 관안열전―진정한 우정을 그리워하며 = 56
      • 지기의 혜안, 사람을 알아보는 눈 = 58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2강의 = 64
      • 1.「보임안서」와 함께 읽어야 제 맛이 난다 = 66
      • 2. 현명한 군주와 능력 있는 신하의 윈-윈 게임 = 71
      • 3. 사마천의 독서와 글발 = 75
      • 제3 노자한비열전―춘추전국시대의 도가 및 법가 사상가를 소개한다 = 78
      • 법가의 원류, 도가 = 80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3강의 = 88
      • 1. 노자를 기록한 사마천의 입장 = 90
      • 2.『노자』에서 말하는 도와 덕 = 97
      • 3. 장자가 전하는 메시지 = 115
      • 4. 노자 사상을 한 꺼풀 벗기면 법가 사상이 된다 = 125
      • 제4 사마양저열전―춘추시대 명장 사마양저, 장군의 전형을 제시하다 = 134
      • 명장의 조건 = 136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4강의 = 142
      • 1.「사마양저열전」은 한 편의 단편소설 = 143
      • 2. 사마천이 이상으로 삼은 장군의 모델 = 147
      • 3. 사마양저는 실존 인물일까? = 161
      • 제5 손자오기열전―춘추전국시대 병법가 손자ㆍ오기를 기록하며, 겸하여 손빈과 방연을 곁들이다 = 166
      • 대가의 병법에 담긴 뜻 = 168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5강의 = 182
      • 1.『손자병법』이란? = 183
      • 2. 더욱 노골적인『손빈병법』 = 189
      • 3. 실전에 강했던 장군 오기 = 190
      • 4. 사마천의 군사학 = 193
      • 제6 오자서열전―춘추시대 말기 열혈남아 오자서의 복수기를 기록했다 = 204
      • 깃털만큼 가볍거나 태산보다 무거운 = 206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6강의 = 219
      • 1.「오자서열전」의 인사이드 스토리 = 221
      • 2. 삶과 죽음에 관한 사마천의 인생관 = 224
      • 제7 중니제자열전―춘추시대 말기 공자 대학교 우수 졸업생을 기록했다 = 232
      • 사마천을 매료시킨 두 제자 = 234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7강의 = 263
      • 1. 공자의 제자는 몇 명일까? = 263
      • 2. 사마천이 좋아했던 공자의 제자는 자로와 자공 = 270
      • 3. 공자가 제자들보다 낫다고 생각하는가? = 277
      • 제8 상군열전―전국시대 중반 진나라 개혁파의 선봉장 상앙을 기록했다 = 282
      • 개혁은 목숨을 담보로 한다 = 284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8강의 = 295
      • 1. 사마천이 상군을 혹평한 이유 = 295
      • 2. '법'이라는 키워드로 감상하는「상군열전」 = 301
      • 제9 소진열전―전국시대, 합종 전략의 리더 소진의 일생을 기록했다 = 308
      • 수치와 모욕이 발분의 거름이 될지니 = 312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9강의 = 320
      • 1.「소진열전」의 후일담 = 320
      • 2. 소설로 읽어야 할「소진열전」 = 340
      • 제10 장의열전―전국시대, 연횡 전략의 리더 장의의 활약상을 기록했다 = 358
      • 전국시대 '설득의 기술' = 360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10강의 = 375
      • 1.「장의열전」의 내용도 소설로 간주해야 = 375
      • 2. 귀곡 선생은 누구인가? = 381
      • 3. 우화를 즐겨 사용하는 이유 = 387
      • 제11 저리자감무열전―전국시대, 진나라 제1세대 장군 및 책사들의 권모술수를 기록했다 = 392
      • 난세의 외교를 주름잡은 탁월한 총기 = 395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11강의 = 409
      • 1. 난세에 오히려 기회가 많다 = 409
      • 2. 사마천은 특이한 이야기에 관심이 많았다 = 413
      • 제12 양후열전―전국시대, 진나라 제2세대 장군 양후 위염의 공훈을 기록했다 = 422
      • 장군의 위업도 천자의 권력 앞에서는 위태로울 뿐 = 424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12강의 = 430
      • 1. 위염의 실각과 권력의 속성 = 430
      • 2. 호견법(互見法), 사마천의 하이퍼텍스트(hyper text) = 439
      • 제13 백기왕전열전―전국시대, 진나라 제2세대 장군 백기와 제3세대 장군 왕전을 함께 기록했다 = 450
      • 도대체 내가 하늘에 무슨 죄를 지었기에 = 453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13강의 = 469
      • 1. 사마천이 개입하여 작동시킨 인과응보 = 469
      • 2. 진 제국의 20등급 작위 제도 = 483
      • 제14 맹자순경열전―전국시대 유가를 비롯한 제자백가 사상가를 기록했다 = 490
      • 전국시대 유가의 이상과 좌절 = 493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14강의 = 501
      • 1. 전국시대 학술계 성지, 직하 = 501
      • 2. 공자로부터 맹자를 거쳐 순자까지 = 505
      • 3. 정치적 현실과 학술적 이상에 관하여 = 519
      • 제15 맹상군열전―전국시대 4대 귀공자 중 제나라 맹상군의 일생을 기록하였다 = 536
      • 천하의 인재들을 모으다 = 539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15강의 = 554
      • 1. 계명구도(鷄鳴狗盜)를 비판한 왕안석 = 554
      • 2. 5월 5일생은 부모에게 불리한가? = 555
      • 3. 모순되는 기록 = 557
      • 4. 전국시대의 특징을 압축해준「맹상군열전」 = 562
      • 제16 평원군우경열전―전국시대 4대 귀공자 중 조나라 평원군의 일생을 기록하고 우경을 첨부하였다 = 570
      • 우아하고도 멋진 귀공자 = 572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16강의 = 589
      • 1. 평원군의 득실 = 589
      • 2. 저술에 집착하는 사마천, 그 이면에 담긴 중국인의 영생 관념 = 596
      • 3. 우경의 설득술 = 603
      • 4.「평원군우경열전」에 등장하는 고사성어 3개 = 607
      • 제17 위공자열전―전국시대 4대 귀공자 중 위나라 귀공자 신릉군의 일생을 기록하였다 = 612
      • 사마천이 가장 흠모한 신릉군 = 615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17강의 = 629
      • 1. 신릉군은 어느 정도로 후덕했을까? = 629
      • 2. 문학적으로 감상하는「위공자열전」 = 631
      • 3. 글쓰기 연습의 좋은 참고서 = 646
      • 4. 사마천이 신릉군과 그의 친구들을 흠모한 이유 = 649
      • 제18 춘신군열전―속칭 전국시대 4대 귀공자 초나라 춘신군 황헐의 일생을 기록하였다 = 652
      • 담대한 외교가의 비운과 업적 = 655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18강의 = 666
      • 1. 춘신군은 전국사공자인가? = 666
      • 2. 춘신군을 평가하는 다양한 시각 = 673
      • 3. 춘신군, 강소성, 소주, 상해, 황포강 = 676
      • 제19 범저채택열전―전국시대 말기 진나라 객경으로 활약한 범저와 채택의 일생을 기록하였다 = 680
      • 고난을 피해 큰물에 다다라 = 683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19강의 = 703
      • 1. 범저일까, 범수일까? = 703
      • 2. 객경에 관하여 = 706
      • 제20 악의열전―전국시대 말기 객경 장군 악의의 일생을 기록하며 더불어 악간ㆍ악승을 첨부했다 = 716
      • 군주에게 보내는 편지 = 720
      • 고전을 넘어선 고전 읽기 ◆ 제20강의 = 731
      • 1. 연소왕은 어떻게 인재를 모집했는가? = 731
      • 2. 악의의 묘소와 일반 중국인의 문화 의식 = 734
      • 3. 진자앙이 창연히 눈물을 떨구었던 뜻은? = 736
      • 4.「보연혜왕서」VS「출사표」 = 739
      • 후주 = 746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정보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 구매링크
      정가 판매가(할인율) 포인트(포인트몰)
      예스24.com

      사기열전 (상)

      절판

      미리보기

      28,000원 25,200원 (10%)

      종이책 구매

      1,400포인트 (5%)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책소개

      자료제공 : NAVER

      사기열전(상): 고전을 넘어선 고전 강의 (사람에게 비추어 시대를 말하다, 고전을 넘어선 고전 강의)

      누구나 알고 있지만 누구도 제대로 읽어보지 않은 책 2천 년 전, 사마천의 사기 열전 속으로 떠나는 역사여행! 『사기열전(상) | 사람에게 비추어 시대를 말하다』. BC 90년에 출간된 것으로 추정되는 역사서이다. 중국 전한의 역사가인 사마천이 저술한 것으로 중국의 고대 인물들을 다룬 개인의 전기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2000이 넘은 지금, 역사서가 어떻게 쓰였으며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를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사기 열전의 열(列)은 열거하다, 전(傳)은 전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무엇을 열거하여 누구에게 전한다는 것인가? 사마천은 의로운 사람, 탁월한 사람, 기회를 포착하여 대성한 사람들의 행적을 열거하여 후세에 전하고자 하였다. 〈열전〉은 130편의 사기 중 70편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인호 교수는 이번 〈사기 열전〉에서 각 편마다 해당 열전의 주제 및 취지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특히 감각적이면서 현대적으로 본문을 요약 번역하여 줄거리를 명확히 장악하도록 구성하였으며, ‘고전을 넘어선 고전’ 강의...

      more

      저자소개

      자료제공 : YES24.COM

      more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