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도즙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 및 유리기 소거능 =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Combined with Grape Ju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76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포도즙의 양(0 g, 50 g, 100 g, 150 g, 200 g)을 다르게 첨가하여 포도 양갱을 제조하고, pH, 당도, 색도, 기계적 물성, 총 페놀 함량, DPPH,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포도양갱의 pH는 포도...

      본 연구에서는 포도즙의 양(0 g, 50 g, 100 g, 150 g, 200 g)을 다르게 첨가하여 포도 양갱을 제조하고, pH, 당도, 색도, 기계적 물성, 총 페놀 함량, DPPH,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포도양갱의 pH는 포도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 값이 낮아지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당도는 대조군이 1.47 Brix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포도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당도가 점점 높아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색도는 명도값(L값)과 황색도(b값)이 포도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적색도(a값)는 그와 반대로 증가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포도즙 첨가가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은 포도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보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도 총 페놀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대조군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포도즙 첨가가 증가할수록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색, 향, 맛 등의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포도즙 150 g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항산화 실험에서 포도즙 200 g 첨가군의 결과가 가장 좋았으나, 관능검사 결과, 포도즙 150 g 첨가군을 가장 선호하는 결과를 함께 고려해 볼 때는 포도즙 150 g이 첨가된 양갱시료의 실용화가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yanggae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rape juice (GJ). GJ was incorporated into yanggaeng at different levels (containing 50, 100, 150, and 200 g of GJ in yangga...

      We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yanggaeng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rape juice (GJ). GJ was incorporated into yanggaeng at different levels (containing 50, 100, 150, and 200 g of GJ in yanggaeng, respective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water. Sugar conten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however, pH showed a decrease with increasing levels of GJ. In terms of color, lightness and yellowness decreased significantly but re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GJ. In a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were increased; however,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GJ.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1,1-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GJ concentration increased in the formulation. The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yanggaeng containing the 150 g level of GJ showed the best preference in terms of color, taste, texture, flavor, and overall accept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ape juice may be a useful ingredient in yanggaeng to improve quality and antioxidant potentia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혜민, "흑임자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43-147, 2013

      2 인준교, "홍삼엑기스의 산(pH) 및 온도처리에 의한 기능성 사포닌 함량증대" 한국자원식물학회 19 (19): 139-21, 2006

      3 구수경, "홍삼양갱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219-226, 2009

      4 전미라, "칼슘 첨가 마늘 페이스트로 제조한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95-200, 2009

      5 조미자, "저장기간에 따른 참깨 다식의 조직 특성 변화" 한국식품영양학회 18 (18): 1-3, 2005

      6 표서진, "오디즙 첨가 양갱의 제조 조건 최적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6 (26): 283-294, 2011

      7 김애정, "오디시럽을 이용한 오디양갱 제조 및 품질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2 (22): 62-67, 2012

      8 최인경, "쑥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313-317, 2013

      9 오혜림, "숙지황 농축액 첨가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8 (28): 1-8, 2012

      10 김정현, "생육단계별 포도 잎의 생리활성 성분 및 항산화능" 한국식품과학회 44 (44): 772-778, 2012

      1 서혜민, "흑임자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43-147, 2013

      2 인준교, "홍삼엑기스의 산(pH) 및 온도처리에 의한 기능성 사포닌 함량증대" 한국자원식물학회 19 (19): 139-21, 2006

      3 구수경, "홍삼양갱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219-226, 2009

      4 전미라, "칼슘 첨가 마늘 페이스트로 제조한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95-200, 2009

      5 조미자, "저장기간에 따른 참깨 다식의 조직 특성 변화" 한국식품영양학회 18 (18): 1-3, 2005

      6 표서진, "오디즙 첨가 양갱의 제조 조건 최적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6 (26): 283-294, 2011

      7 김애정, "오디시럽을 이용한 오디양갱 제조 및 품질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2 (22): 62-67, 2012

      8 최인경, "쑥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313-317, 2013

      9 오혜림, "숙지황 농축액 첨가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8 (28): 1-8, 2012

      10 김정현, "생육단계별 포도 잎의 생리활성 성분 및 항산화능" 한국식품과학회 44 (44): 772-778, 2012

      11 한지민, "블루베리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265-271, 2013

      12 김애정, "발효홍삼 농축액을 이용한 노인용 기능성 간식(양갱)의 항산화성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5 (25): 83-89, 2012

      13 정복미, "늙은 호박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양갱의 영양성분"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 (20): 614-618, 2004

      14 최은정, "녹차가루를 첨가한 양갱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415-422, 2010

      15 안준배, "국내산 포도 및 송이가지를 이용한 trans-resveratrol 고함유 기능성 식품소재 제조공정 및 식품 안전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2 (12): 192-197, 2008

      16 Park YO,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with pear" 18 : 692-699, 2011

      17 Roberts CK, "Oxidative stress and metabolic syndrome" 84 : 705-712, 2009

      18 Folin O,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12 : 239-243, 1912

      19 Piljac-Zegarac J, "Fluctuation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dark fruit juices in refrigerated storage" 113 : 394-400, 2009

      20 Karthikeyan K, "Efficacy of grape seed proanthocyanidins on cardioprotection during isoproterenol induced myocardial injury in rats" 53 : 109-115, 2009

      21 Kim HB,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frui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c rats" 43 : 140-108, 2001

      22 Giovanelli G, "Comparison of poly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ild Italian blueberries and some cultivated varieties" 112 : 903-908, 2008

      23 Iacopini P, "Catechin, epicatechin, quercetin, rutin, and resveratrol in red grape : Content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interactions" 21 : 589-598, 2008

      24 Gulcin I, "Antiradic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tal anthocyanins from Perilla nankinensis Decne" 101 : 287-293, 2005

      25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26 Kim WS, "Agarand gelatin. In: Cookery Science & Experiment" Life Science 197-,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