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알로에(Aloe vera L.)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loe vera L. Pow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76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oe is an attractive potential food source because it has functional uses. It has been widely used as a well-being food and drink.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stimated by measurin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by add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aloe powder (0%, 1%, 3%, 5%, all w/w) as a substitute for flour. In this study,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oisture content, and hardness of cook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loe powder, while the pH, spread factor and L and b values slightly decreased. Sensory evaluation scores in terms of texture were shown to be very similar statistically, but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were lower than the contro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quality of cookies with the addition of 1% aloe powder were the most suitable in terms of taste, flavor,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번역하기

      Aloe is an attractive potential food source because it has functional uses. It has been widely used as a well-being food and drink.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stimated by measurin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 investigated the quality ...

      Aloe is an attractive potential food source because it has functional uses. It has been widely used as a well-being food and drink.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stimated by measurin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by add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aloe powder (0%, 1%, 3%, 5%, all w/w) as a substitute for flour. In this study,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oisture content, and hardness of cook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loe powder, while the pH, spread factor and L and b values slightly decreased. Sensory evaluation scores in terms of texture were shown to be very similar statistically, but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were lower than the contro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quality of cookies with the addition of 1% aloe powder were the most suitable in terms of taste, flavor,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신윤, "흑미 미강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82-191, 2012

      2 이정옥, "흑마늘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71-77, 2009

      3 임은정, "파래 첨가 쿠키의 품질 특성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300-305, 2008

      4 이예경, "키토산 청국장을 첨가하여 제조한 ?펠 쿠키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5 (15): 437-443, 2005

      5 정사무엘, "커피추출 잔여물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33-38, 2011

      6 송윤희, "청국장분말 첨가 발아현미 쿠키의 품질특성 및 최적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4 (24): 321-330, 2009

      7 문성원, "청국장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633-639, 2008

      8 방병호,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4 (24): 210-216, 2011

      9 박경심, "청국장 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한국조리학회 16 (16): 250-258, 2010

      10 설남규, "제주산 알로에 베라(Aloe vera Linne)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4 (44): 643-647, 2012

      1 주신윤, "흑미 미강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82-191, 2012

      2 이정옥, "흑마늘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71-77, 2009

      3 임은정, "파래 첨가 쿠키의 품질 특성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300-305, 2008

      4 이예경, "키토산 청국장을 첨가하여 제조한 ?펠 쿠키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5 (15): 437-443, 2005

      5 정사무엘, "커피추출 잔여물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33-38, 2011

      6 송윤희, "청국장분말 첨가 발아현미 쿠키의 품질특성 및 최적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4 (24): 321-330, 2009

      7 문성원, "청국장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633-639, 2008

      8 방병호,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4 (24): 210-216, 2011

      9 박경심, "청국장 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한국조리학회 16 (16): 250-258, 2010

      10 설남규, "제주산 알로에 베라(Aloe vera Linne)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4 (44): 643-647, 2012

      11 강호진, "인삼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595-1599, 2009

      12 김귀순, "연잎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398-404, 2008

      13 이은준, "연근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6 (26): 394-399, 2011

      14 이진실, "양송이버섯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98-105, 2009

      15 신두호, "알로에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0 (20): 399-405, 2007

      16 최은희, "알로에 원액 첨가 설기떡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330-335, 2007

      17 윤향식, "쌀된장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432-435, 2005

      18 최상호, "쌀가루 첨가량을 달리한 울금 쿠키의 품질특성" 한국조리학회 18 (18): 215-226, 2012

      19 최해연, "솔잎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414-1421, 2009

      20 고희철, "산수유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957-962, 2010

      21 지정란, "블루베리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433-438, 2010

      22 신정혜, "마늘 즙 첨가에 따른 쿠키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609-614, 2007

      23 이신영, "국내산 3종 알로에의 부위별 화학적 성분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1 (11): 175-184, 2007

      24 임영순, "구기자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품질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5 (35): 77-83, 2003

      25 전혜련, "건오디박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234-243, 2013

      26 Kim JY, "Quality of wet noodle prepared with wheat flour and mushroom powder" 30 : 1373-1380, 1998

      27 Shin YS, "Preparation of yogurt added with aloe ver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24 : 254-260, 1995

      28 Koh WB, "Effect of sugar particle size and levelon cookies spread" 7 : 159-165, 1997

      29 Shin IY, "Characteristics ofsugar cookies with replacement of sucrose with sugar alcohols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sugar alcohol cookies" 28 : 850-857, 1999

      30 AACC,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