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의 최신 쟁점 연구 = A study on major legal issues in China's carbon trading system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47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property control right, carbon emission rights can avoid being classified as traditional property rights and promote privatization of public resources, so private property protection can be promoted more appropriately. The greenhouse gas emission enacted by the Kyoto Protocol consists of three systems. These are the Joint Implementation (Jul), 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and the Emission Trading (ET).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joint implementation system was to promote cooperation among EU signatory countries in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and Joint Implementation Scheme can provide technology and financial support to developing countries to cooperate in economic and resource development. Regarding the legal nature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civil rights or public law rights, that is, property rights or administrative rights, since the legal nature is not clearly defined, much discussion is needed on this topic as well. Two types of carbon emission allocation distribution methods are mainly discussed, free distribution and paid auction. Choosing a more appropriate method is a good measure to avoid mass emission of carbon. Currently, most of China's carbon emission trading laws are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total amount of carbon allowances allowe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initial distribution system, and transactions between the parties are not perfectly regulated. Since this causes anti-monopoly issues such as monopoly of allocation and unfairness of price formation in carbon emission trading activities, the optimal amendment to the law should be standardized after intensive discussion. On the other hand, if you look at the situation of the pilot operation of the carbon credit market in China, market transactions are not active, and there is a lack of a system for predicting future carbon prices through accurat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utures prices. It is ultimately necessary to maintain a unified carbon trading market for all of China and to boldly liquidate and organize the carbon market in the pilot region. Full disclosure of carbon emission market transaction information helps to alleviate carbon market information asymmetry and avoid distorted governance and insider trading. Several issues can be raised in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carbon credits. The fact that a causal relationship must exist and that the defendant's actions must be traced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carbon emission and property rights litigation issue. Although the US court does not stipulate the property rights status of carbon emissions by law, in practice, the property rights of carbon emissions are stipulated on the contrary. In relation to the carbon emission contract law, with respect to the legal uncertainty of carbon emission rights, the participating entity clearly recognizes the restrictive nature of the rights and attempts to approach it from the angle of consideration of the contract while avoiding the components and attributes that are excessively linked to the property properties. there is a bar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for the buyer to remedy any legal risks arising from the carbon emission trading system, such as change of ownership, sincerity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force majeure, illegal risk, eligibility of both parties, collateral and compensation clauses. Regarding the carbon emission tax law issue, in March 2009, China made clear guidelines considering the clean development enterprise income tax. In international negotiations on carbon emissions, the reliability of the joint marketing system for carbon emissions is key, and transparency through information disclosure and fairness of transactions must be ensured. A carbon emission dispute resolution body must use the national or regional law most closely related to the contract or dispute as its governing law.
      번역하기

      Based on the property control right, carbon emission rights can avoid being classified as traditional property rights and promote privatization of public resources, so private property protection can be promoted more appropriately. The greenhouse gas ...

      Based on the property control right, carbon emission rights can avoid being classified as traditional property rights and promote privatization of public resources, so private property protection can be promoted more appropriately. The greenhouse gas emission enacted by the Kyoto Protocol consists of three systems. These are the Joint Implementation (Jul), 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and the Emission Trading (ET).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joint implementation system was to promote cooperation among EU signatory countries in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and Joint Implementation Scheme can provide technology and financial support to developing countries to cooperate in economic and resource development. Regarding the legal nature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civil rights or public law rights, that is, property rights or administrative rights, since the legal nature is not clearly defined, much discussion is needed on this topic as well. Two types of carbon emission allocation distribution methods are mainly discussed, free distribution and paid auction. Choosing a more appropriate method is a good measure to avoid mass emission of carbon. Currently, most of China's carbon emission trading laws are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total amount of carbon allowances allowe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initial distribution system, and transactions between the parties are not perfectly regulated. Since this causes anti-monopoly issues such as monopoly of allocation and unfairness of price formation in carbon emission trading activities, the optimal amendment to the law should be standardized after intensive discussion. On the other hand, if you look at the situation of the pilot operation of the carbon credit market in China, market transactions are not active, and there is a lack of a system for predicting future carbon prices through accurat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utures prices. It is ultimately necessary to maintain a unified carbon trading market for all of China and to boldly liquidate and organize the carbon market in the pilot region. Full disclosure of carbon emission market transaction information helps to alleviate carbon market information asymmetry and avoid distorted governance and insider trading. Several issues can be raised in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carbon credits. The fact that a causal relationship must exist and that the defendant's actions must be traced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carbon emission and property rights litigation issue. Although the US court does not stipulate the property rights status of carbon emissions by law, in practice, the property rights of carbon emissions are stipulated on the contrary. In relation to the carbon emission contract law, with respect to the legal uncertainty of carbon emission rights, the participating entity clearly recognizes the restrictive nature of the rights and attempts to approach it from the angle of consideration of the contract while avoiding the components and attributes that are excessively linked to the property properties. there is a bar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for the buyer to remedy any legal risks arising from the carbon emission trading system, such as change of ownership, sincerity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force majeure, illegal risk, eligibility of both parties, collateral and compensation clauses. Regarding the carbon emission tax law issue, in March 2009, China made clear guidelines considering the clean development enterprise income tax. In international negotiations on carbon emissions, the reliability of the joint marketing system for carbon emissions is key, and transparency through information disclosure and fairness of transactions must be ensured. A carbon emission dispute resolution body must use the national or regional law most closely related to the contract or dispute as its governing la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재산규제권에 근거하면 탄소배출권은 기존의 전통 재산권으로 분류되는 것을 회피하여 공공자원의 사유화를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유재산 보호를 더 적절히 추진할 수 있다. 교토의정서가 제정하는 온실가스 배출은 세 가지 제도로 구성되어 있다. 공동이행제도(Jul: Joint Implementation)과, 청정개발체제(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배출권 거래제도(ET: Emission Trading)가 그것이다. 공동이행제도를 확립한 목적은 EU 각 협약국으로 하여금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서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함이었다. 청정개발체제 및 공동이행제도는 개발도상국에 기술 및 자금지원을 제공하여 경제 및 자원 발전에 협력할 수 있다. 탄소 배출 감축량의 법적 성질과 관련해서도 민사권리나 공법 권리, 즉 재산권인가 아니면 행정인가의 문제에 대해서 법적 성질이 분명하게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도 많은 논의를 해야 한다. 탄소 배출 할당 분배방식은 무상분배와 유상 경매 두 가지가 주로 거론되는데, 보다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탄소의 대량 배출을 회피하는 좋은 대책이 된다. 현재 중국 탄소 배출 거래 법률은 대부분 탄소배출권 허용 총량 설정 및 초기 분배제도 확립에 편중되어 있고, 당사자 간의 거래행위 등은 완벽하게 규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것은 탄소배출권 거래행위에 할당 독점 및 가격형성의 불공정성 등 반독점법 쟁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추후 집중적으로 논의하여 최적의 법률 개정안이 규범되어야 한다. 한편, 중국 탄소배출권 시장이 시범 운영되는 상황을 보면 시장거래가 활발하지 않고 선물가격과 같이 정확한 통계 분석으로 미래 탄소 가격을 전망하기 위한 제도가 부족하다. 궁극적으로는 중국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하나의 통일된 탄소거래시장을 유지하고, 시범지역 탄소 시장에 대해서는 과감히 청산 및 정리작업을 하는 것이 앞으로 필요한 당면과제가 된다. 탄소배출시장 거래 정보의 전면 공개는 탄소시장 정보 비대칭을 완화하여 왜곡된 지배구조와 내부자거래를 회피하도록 해준다. 탄소배출권의 국제 협력에 있어서도 여러 쟁점이 제기될 수 있다. 탄소 배출액 準물권 소송문제에 대해서는 반드시 인과관계가 존재하고 피고 행위를 추적해야만 한다는 사실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미국법원에서는 법률로 탄소 배출액의 재산권 지위를 규정하지는 않고 있으나, 실무 과정에서는 도리어 탄소 배출액의 재산권 속성을 규정하고 있다. 탄소 배출액 계약법과 관련해서는 탄소배출권이 법적으로 지니는 불확실성과 관련하여 참가 주체는 해당 권리의 제한적 성질을 분명히 인식하여 지나치게 재산권 속성과 연결하는 요건은 회피하면서 계약의 代價 각도에서 접근을 시도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소유권의 변경, 탄소 배출 감축의 진실성, 불가항력, 불법 리스크, 쌍방 당사자의 적격성, 담보 및 보상조항 등 구매자가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에서 법적 위험이 발생하면 이를 구제하도록 해야 한다. 탄소배출권 세법문제와 관련해서 중국은 2009년 3월 청정개발기업 소득세를 감안하여 지침을 분명히 한 바 있다. 탄소 배출과 관련한 국제 협의에 있어서는 탄소 배출액 공동 경매제도의 신뢰성이 관건이며, 정보 공개를 통한 투명성 확보 및 거래의 공정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탄소 배출 관련 분쟁 해결기구는 계약이나 분쟁 사실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가 ...
      번역하기

      재산규제권에 근거하면 탄소배출권은 기존의 전통 재산권으로 분류되는 것을 회피하여 공공자원의 사유화를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유재산 보호를 더 적절히 추진할 수 있다. 교토의정...

      재산규제권에 근거하면 탄소배출권은 기존의 전통 재산권으로 분류되는 것을 회피하여 공공자원의 사유화를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유재산 보호를 더 적절히 추진할 수 있다. 교토의정서가 제정하는 온실가스 배출은 세 가지 제도로 구성되어 있다. 공동이행제도(Jul: Joint Implementation)과, 청정개발체제(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배출권 거래제도(ET: Emission Trading)가 그것이다. 공동이행제도를 확립한 목적은 EU 각 협약국으로 하여금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서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함이었다. 청정개발체제 및 공동이행제도는 개발도상국에 기술 및 자금지원을 제공하여 경제 및 자원 발전에 협력할 수 있다. 탄소 배출 감축량의 법적 성질과 관련해서도 민사권리나 공법 권리, 즉 재산권인가 아니면 행정인가의 문제에 대해서 법적 성질이 분명하게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도 많은 논의를 해야 한다. 탄소 배출 할당 분배방식은 무상분배와 유상 경매 두 가지가 주로 거론되는데, 보다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탄소의 대량 배출을 회피하는 좋은 대책이 된다. 현재 중국 탄소 배출 거래 법률은 대부분 탄소배출권 허용 총량 설정 및 초기 분배제도 확립에 편중되어 있고, 당사자 간의 거래행위 등은 완벽하게 규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것은 탄소배출권 거래행위에 할당 독점 및 가격형성의 불공정성 등 반독점법 쟁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추후 집중적으로 논의하여 최적의 법률 개정안이 규범되어야 한다. 한편, 중국 탄소배출권 시장이 시범 운영되는 상황을 보면 시장거래가 활발하지 않고 선물가격과 같이 정확한 통계 분석으로 미래 탄소 가격을 전망하기 위한 제도가 부족하다. 궁극적으로는 중국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하나의 통일된 탄소거래시장을 유지하고, 시범지역 탄소 시장에 대해서는 과감히 청산 및 정리작업을 하는 것이 앞으로 필요한 당면과제가 된다. 탄소배출시장 거래 정보의 전면 공개는 탄소시장 정보 비대칭을 완화하여 왜곡된 지배구조와 내부자거래를 회피하도록 해준다. 탄소배출권의 국제 협력에 있어서도 여러 쟁점이 제기될 수 있다. 탄소 배출액 準물권 소송문제에 대해서는 반드시 인과관계가 존재하고 피고 행위를 추적해야만 한다는 사실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미국법원에서는 법률로 탄소 배출액의 재산권 지위를 규정하지는 않고 있으나, 실무 과정에서는 도리어 탄소 배출액의 재산권 속성을 규정하고 있다. 탄소 배출액 계약법과 관련해서는 탄소배출권이 법적으로 지니는 불확실성과 관련하여 참가 주체는 해당 권리의 제한적 성질을 분명히 인식하여 지나치게 재산권 속성과 연결하는 요건은 회피하면서 계약의 代價 각도에서 접근을 시도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소유권의 변경, 탄소 배출 감축의 진실성, 불가항력, 불법 리스크, 쌍방 당사자의 적격성, 담보 및 보상조항 등 구매자가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에서 법적 위험이 발생하면 이를 구제하도록 해야 한다. 탄소배출권 세법문제와 관련해서 중국은 2009년 3월 청정개발기업 소득세를 감안하여 지침을 분명히 한 바 있다. 탄소 배출과 관련한 국제 협의에 있어서는 탄소 배출액 공동 경매제도의 신뢰성이 관건이며, 정보 공개를 통한 투명성 확보 및 거래의 공정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탄소 배출 관련 분쟁 해결기구는 계약이나 분쟁 사실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가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효순, "탄소배출권 및 탄소배출권거래제의 민사법적 검토" 한국환경법학회 38 (38): 161-213, 2016

      2 손영화,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의 도입쟁점에 대한 연구" 법학연구소 17 (17): 345-369, 2014

      3 "중국 탄소배출권 거래 홈페이지"

      4 한재각,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안」에 대한 의견 -공정하고 효과적인 감축방안이 필요하다-" 국회기후변화대응·녹색성장 특별위원회 2011

      5 김혜정,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안」심사경과와 해설" 법제처 (5월) : 2011

      6 채애리, "배출권의 법적 성격 고찰 -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법학회 35 (35): 411-441, 2013

      7 박광수 ; 이영기, "금융위기의 유럽 탄소배출권시장에 대한 영향 분석" 한국유럽학회 31 (31): 209-237, 2013

      8 이동은, "국제기후변화법제와 국제통상법체제의 조화적 공존을 위한 법적고찰: 탄소배출권 무상할당조치와 WTO 보조금협정을 중심으로" 서울국제법연구원 27 (27): 67-114, 2020

      9 "财政部文告2009年第三期《财政部 国家税务总局关于中国清洁发展机制基金及清洁发展机制项目实施企业有关企业所得税政策问题的通知》 财税[2009]30号"

      10 丁丁, "论碳排放权的法律属性" (6) : 2012

      1 남효순, "탄소배출권 및 탄소배출권거래제의 민사법적 검토" 한국환경법학회 38 (38): 161-213, 2016

      2 손영화,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의 도입쟁점에 대한 연구" 법학연구소 17 (17): 345-369, 2014

      3 "중국 탄소배출권 거래 홈페이지"

      4 한재각,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안」에 대한 의견 -공정하고 효과적인 감축방안이 필요하다-" 국회기후변화대응·녹색성장 특별위원회 2011

      5 김혜정,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안」심사경과와 해설" 법제처 (5월) : 2011

      6 채애리, "배출권의 법적 성격 고찰 -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법학회 35 (35): 411-441, 2013

      7 박광수 ; 이영기, "금융위기의 유럽 탄소배출권시장에 대한 영향 분석" 한국유럽학회 31 (31): 209-237, 2013

      8 이동은, "국제기후변화법제와 국제통상법체제의 조화적 공존을 위한 법적고찰: 탄소배출권 무상할당조치와 WTO 보조금협정을 중심으로" 서울국제법연구원 27 (27): 67-114, 2020

      9 "财政部文告2009年第三期《财政部 国家税务总局关于中国清洁发展机制基金及清洁发展机制项目实施企业有关企业所得税政策问题的通知》 财税[2009]30号"

      10 丁丁, "论碳排放权的法律属性" (6) : 2012

      11 環境省 総合環境政策局 環境経済課, "税制担当地球温暖化対策のための税の導入"

      12 温 琪, "碳排放权交易制度研究" 江西财经大学 2018

      13 孙法柏, "碳排放交易市场机制的比较与借鉴" (10) : 2011

      14 魏庆坡, "碳交易市场跨国合作法律问题硏究" 对外经济贸易大学 2016

      15 朱家贤, "环境金融法研究" 法律出版社 2009

      16 高广生, "气候变化与碳排放权分配" (6) : 2006

      17 华 炜, "欧盟碳排放权交易机制的法律实践及对中国的启示" (3) : 2017

      18 邓海峰, "排污权: 一种基于私语境下的解读" 北京大学出版社 2008

      19 諸富徹, "排出量取引制度におけるオークション方式の検討" 会計検査院 (41) : 2010

      20 平湯直子, "排出權取引制度の槪要" Keio Economic Observatory 2007

      21 史学瀛, "我国碳排放权交易处罚规则与履约风险规制路径" (1) : 2020

      22 潘晓滨, "我国碳排放交易法律诉讼问题" (4) : 2016

      23 曹明德, "我国碳排放交易法律制度研究" 中国政法大学出版社 2016

      24 刘兰翠, "我国CDM 项目的现状与思考" 2007

      25 刘立伟, "发展自愿减排市场,拓宽碳交易途径" (11) : 2010

      26 吕忠梅, "关于排污权的特殊用益物权或准物权属性" (4) : 2000

      27 倪晓宁, "低碳经济下的国际贸易问题研究" 中国经济出版社 2012

      28 장승화, "企業構造調整과 WTO 補助金協定" 법무부 2002 (2002): 9-38, 2002

      29 刘明明, "中国碳排放配额初始分配的法律思考" (4) : 2019

      30 曹明德, "中国碳排放交易面临的法律问题和立法建议" (5) : 2021

      31 "https://crsreports.congress.gov/product/pdf/R/R41836/14"

      32 "http://www.rggi.org/design"

      33 "http://www.mondaq.com/unitedstates/x/63262/tax+authorities/First+IRS+Guidan ce+Under+Subpart+F+On+US+Tax+Treatment+Of+Gain+From+The+Sale+O f+Surplus+CO2+Emissions+Allowances"

      34 "http://www.mof.gov.cn/zhengwuxinxi/caizhengwengao/2009niancaizhengbuwengao/caihengwengao200903/200905/t20090518_158515.html"

      35 "http://www.env.go.jp/policy/tax/about.html"

      36 "http://www.chaireeconomieduclimat.org/wp-content/uploads/2011/01/11-01-18-Mansanet-CO2-and-Portfolio-Manangement.pdf"

      37 "http://www.arb.ca.gov/cc/inventory/data/tables/ghg_inventory_sector_sum_2000-13_20150831.pdf"

      38 Kateryna Holzer, "WTO law issues of emissions trading" 4-, 2016

      39 Daniel R. McKeithen, "United States: First IRS Guidance under Subpart F On U.S. Tax Treatment Of Gain From The Sale Of Surplus CO2 Emissions Allowances" 2008

      40 Ramseur Jonathan, "The Regional Greenhouse Gas Initiative: Lessons Learned and Issues for Policymaker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7

      41 Purdon, M, "The Political Economy of California and Québec’s Cap-and-Trade Systems" 2014

      42 Yale, E, "Taxing Cap and Trade Environmental Regulation" 37 (37): 2008

      43 Environmental Defense Fund, "Québec : An Emissions Trading Scheme Case Study" 2015

      44 State of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Linkage Readiness Report" 2013

      45 K Russell LaMotte, "Legal aspects of carbon trading:Kyoto, Copenhagen, and beyo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46 Freestone, D, "Legal aspects of carbon trading: Kyoto, Copenhagen, and beyo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47 M.J. Mace, "Legal and design issues arising in linking the EU ETS with existing and emerging emissions trading schemes" 6 (6): 2009

      48 Wilder, Martijn, "Legal Aspects of Carbon Trading, Kyoto, Copenhagen, and Beyo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49 Wilder, Martijn, "Legal Aspects of Carbon Trading, Kyoto, Copenhagen, and Beyo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50 Editors of the William & Mary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Review, "Fourth Circuit Summary" 21 (21): 1997

      51 Goers, S. R, "Design Issues for Linking Emissions Trading Schemes—A Qualitative Analysis for Schemes from Europe, Asia and North America" B,1 (B,1): 2012

      52 Nichlas Stern, "Climate Change and the Creation of a New Era of Progress and Prosperity" Public Affairs 2009

      53 Deatherage, Scott, "Carbon trading law and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54 Patrick Parenteau, "Carbon Trading in China: Progress and Challenges" 46 (46): 10197-, 2016

      55 Tracy D. Perry, "Carbon Cap And Trade Programs:Potential U.S. Tax Issues" 2009

      56 "California Greenhouse Gas Emission Inventory - 2015 Edition (based upon IPCC Fourth Assessment Report's Global Warming Potentials)" 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ir Resources Board

      57 Maria Mansanet-Bataller, "CO2 Prices and Portfolio Management during Phase II of the EU ETS" Climate Economics Chair 2011

      58 Mace M J, "Analysis of the legal and organisational issues arising in linking the EU Emissions Trading Scheme to other existing and emerging emissions trading schemes"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and Development, Institute for European Environmental Policy, World Resources Institute 2008

      59 Peter Morrell, "An evaluation of possible EU air transport emission trading scheme allocation methods" 35 (35):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